1,054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기타 조회 수 10359 추천 수 35 2004.10.17 23:21:13
성경본문 : 누가복음 17:7-10 
2004. 10.17.                      
제자도(道)의 본질
눅 17:7-10

주인과 종
예수님은 삼년 동안의 공생애 중에 많은 사람들을 만나서 함께 먹고 마시면서 어울리기도 하고, 여러 병을 고치시키고 하셨으며,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유의 가르침이나 신앙과 종교의 본질에 관한 가르침을 많이 주셨습니다. 그런 가르침 중에서는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것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마저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 적이 있으니까 그 형편을 알만 합니다. 이제 2천년이 지난 오늘 우리가 그 말씀을 정확히 이해한다는 것은 것의 불가능할지도 모릅니다. 지난 2천년이라는 세월의 틈이 너무 멀기도 하지만 그 가르침을 왜곡한 역사가 너무 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오늘 우리가 읽은 말씀도 우리가 따라가기 쉽지 않으며, 더구나 왜곡될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일단 우리의 어떤 고정된 신앙적 경험의 틀을 잠시 내려놓고, 이것을 우리는 ‘선험적’(a priori)이라고 말하는데, 이 말씀 자체와 직접 부딪칠 필요가 있습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주인과 종의 비유’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너희 가운데 누가 농사나 양치는 일을 하는 종을 데리고 있다고 하자.”(7절). 고대 사회에서 주인과 종의 관계는 지금 우리가 상상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주인은 종을 인격체로 다루지 않고 소나 돼지처럼 자신이 마음대로 처리할 수 있는 소유물로 생각했습니다. 고대까지 갈 필요도 없이 2백 년 전만 하더라도 미국에서는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팔려온 흑인들이 있었습니다. 소가 우시장에서 팔리듯이 흑인들은 노동력에 따라서 값이 매겨졌습니다. 백인 주인들은 노예들을 자기들과 똑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현상이 여러분의 눈에는 이상하게 보이겠지만 그때는 당연했고 자연스러웠습니다. 이렇게 최근의 역사에서도 노예가 물건처럼 다루어졌으니까 로마가 지배하던 2천년 전의 상황은 우리의 생각을 뛰어넘습니다. 제가 어느 책에서 읽은 기억으로는 남자 노예가 앞에 있어도 여자 주인은 스스럼없이 속옷을 갈아입을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옆에 있는 남자 노예가 사람으로 보이는 게 아니라 귀여운 강아지쯤으로 보였다는 것입니다. 주인과 종에 대한 예수님의 비유는 이렇게 오늘 우리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그런 상황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그 종이 하루 종일 농사나 양치는 일을 하다가 저녁때가 되어 집에 돌아왔지만 주인은 그에게 ‘어서 밥부터 먹게’ 하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인이 먹을 저녁밥을 지어야 하고, 주인이 먹는 동안 시중을 든 다음, 모든 집안일이 끝난 다음에야 겨우 자기 일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주인이 집안에서 일하는 종을 따로 두지 않은 걸 보면 아마 그렇게 큰 부자는 아닌 것 같습니다. 만약 집안일을 하는 종이 따로 있었다면 하루 종일 밭이나 들에서 일하다 지친 몸을 끌고 집으로 돌아온 종들이 좀 쉴 수 있었을 테지요.
예수님은 이 비유에 대해서 이렇게 주석을 달았습니다. 이 주인의 무리한 명령을 종이 그대로 따랐다고 해서 주인이 종에게 고마워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입니다. 아무리 종이지만 거의 기계처럼 주인에게 봉사했다면 주인이 마땅히 고맙게 생각할 것 같은데, 그럴 이유가 없다는 예수님의 주석은 좀 이해하기 곤란합니다. 강아지도 귀여워해주고, 소도 시간 맞추어 먹을거리를 주어야 하는데 하물며 인간을 이렇게 함부로 다루어도 괜찮다는 말인가요?. 위에서 언급한대로 고대사회에서 주인과 종의 관계는 이런 게 상식적인 것이었습니다. 물론 제도나 법이 그런 걸 가능하게 했지만 인간의 의식 자체가 그렇게 고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종을 아무렇게나 다루면서도 주인은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물론 종을 자기 자식이나 동생처럼 생각한 특별한 경우도 없지는 않았겠지만 일반적으로 주인은 종이 감당해야 할 비인간적인 고통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노예윤리
예수님은 이 비유의 결론을 이렇게 맺으셨습니다. “너희도 명령대로 모든 일을 다 하고 나서는 ‘저희는 보잘 것 없는 종입니다. 그저 해야 할 일을 했을 따름입니다’ 하고 말하여라.”(10). 종이 하루 종일 노동에 시달린 몸으로 집에 돌아와서 저녁 내도록 주인을 시중들었대도 주인이 전혀 칭찬 한 마디, 고맙다는 말 한 마디 없다면 좀 짜증이 날만도 한데도 무조건 자기를 낮추는 게 바로 종이 지녀야 할 바른 태도인 것처럼 예수님은 하나님 앞에서 우리도 이런 태도를 지녀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런 가르침이 오랜 세월동안 기독교인의 미덕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일단 이런 가르침 자체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인간의 교만이 하늘 끝까지 닿았다는 점에서 보면 종처럼 자기를 낮추는 태도야말로 우리 기독교인들이 반드시 배워야 할 신앙적 자세입니다. 예수님께서 다른 자리에서도 늘 겸손을 강조하셨으며, 당신 자신이 십자가에 달려죽기 까지 자기를 낮추셨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우리는 자학적인 수준에 이르는 수고를 기울였어도 자랑하지 말고 끝까지 자기를 낮추어야 할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원칙적인 관점에서 옳습니다만 이 가르침이 우리의 생명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확대 적용되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앞에서 미국의 노예제도를 지적했는데, 만약 오늘의 본문을 통해서 미국의 역사에 있었던 그런 노예제도를 합리화한다면 그것은 말씀에 대한 오해이며 왜곡입니다. 이렇게 극단적인 문제를 거론할 필요도 없이 기본적으로 기독교 신앙이 이 가르침에 근해서 일종의 노예윤리로 작용할 가능성은 많습니다. 예컨대 정상적인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포기하면서까지 교회 일에 매달리게 하는 일들이 우리에게 종종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종이니까 다른 일은 거들떠보지 말고 오직 교회 일에만 생명을 걸어야 한다는 논리가 그렇습니다. 이런 상태가 더 왜곡되면 교회 지도자를 주인처럼 따르는 게 곧 신앙인 것처럼 강요됩니다. 이런 신앙적 정서는 교회가 기독교인들의 죄책감을 자극하는 것과 맞물려 상승됩니다. 노예의 심리에는 기본적으로 열등감이 구조적으로 자리 잡고 있듯이 기독교 신자들에게는 죄책감이 그런 작용을 합니다. 주인이 그 어떤 요구를 해도 기계적으로 따라가는 그런 노예윤리를 기독교 신앙으로 착각하는 일이 우리의 현실에서 허다합니다.

바리새인들을 향한 경고
거의 노예윤리와 흡사한 것처럼 들리는 오늘의 가르침은 우리 모두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어떤 특정한 상황과 사람들을 대상으로만 설득력이 있습니다. 즉 이 가르침은 기독교 신앙이 노예 심리라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절대적인 사건이라 할 신앙을 사물화하고 상대화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입니다. 그들은 곧 바리새인들이었습니다.
예수님 당시의 바리새인들은 자신들의 신앙행위를 통해서 하나님으로부터 보상을 받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 유명한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 비유에 보면 바리새인은 자기가 죄 많은 세리와 달리 “일주일에 두 번이나 단식하고 모든 수입의 십분의 일을 바칩니다.”라고 자기의 업적을 늘어놓았습니다. 구조적으로 경건하게 살아갈 수 없었던 세리에 비해서 매우 월등한 삶의 조건 안에서 살아갔던 바리새인은 그런 조건을 무시한 채 하나님이 자신들을 특별하게 대우해 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이런 걸 기득권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에게는 어느 정도 그런 마음들이 있습니다. 지금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자기들만 구원받을 거라고 믿습니다. 그렇게 믿는 것까지야 어찌할 수 없거나 신앙의 속성상 필요한 대목이기도 하지만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을 배타적으로 여기는 것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런 생각은 구원과 하나님의 나라를 자기들의 좁은 범주 안에 가두어두고 자기들 방식으로 독점하려는 것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에 가서도 등급의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마당이니 유구무언입니다. 만약 하나님 나라에서도 그 사람의 능력과 업적에 따라서 차등이 있다면 그것은 절대적인 생명이 완성된 하나님의 나라가 결코 아닙니다.
요즘 대입 수시모집에서 고교등급제 적용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시골에 있는 고등학교와 서울 강남에 있는 고등학교 사이에 실제로 학습 수준의 차이가 있으니까 그것을 입시에 반영하겠다는 유수의 사립대학교와 그것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교육부 사이의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 이전에도 이미 고교 평준화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상당히 강하게 제기되었습니다. 대학의 발전을 위해서 성적이 좋은 학생들을 선발하겠다는 대학 측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그게 바람직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고교 평준화 정책이 전체적인 실력 하락을 불러왔다고 하면서 공정한 경쟁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미 서울 강남과 하양 사이에 교육 조건이 불합리한 가운데서 어떤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다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설령 그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고등학교 때의 점수만으로 대학입학의 자격을 매긴다는 그 제도 자체가 완벽하지 않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독일도 그렇지만 네덜란드의 경우에 의학대학 입시는 단지 최고 수준의 성적을 받은 학생부터 차례대로 뽑는 게 아니라 그 이하의 학생들도 일정 부분 선발하도록 제도화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의 이 비유는 잘났기 때문에 특별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리새인을 향한 경고입니다. 하나님 앞에서는 잘난 사람과 못난 사람의 차이가 하나도 없다는 뜻입니다. 교회가 이런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지향하는 공동체라고 한다면, 그런 하나님의 뜻이 이 땅에 이루어지기를 위해서 기도하는 공동체라고 한다면 이 세상을 향해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는지 대답은 나와 있습니다..

존재론적 기쁨
오늘 본문을 단지 업적과 상벌 중심의 사유에 빠져있는 바리새인들을 향한 경고라고 보는 것은 말씀에 대한 소극적인 해석입니다. 부정적인 의미에서 소극적이라는 게 아니라 말씀의 어두운 면이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이제 이 말씀의 적극적인, 또는 밝은 면을 보아야 합니다. 주인과 노예의 관계는 아무리 뜯어봐도 밝은 부분은 없을 것 같지만 우리의 영적인 시각을 조금만 아래로 돌리면 그 세계가 들어올 것입니다. 그게 무엇일까요?
노예가 자기의 행위를 전혀 내세우지 않았다는 말은 그 행위 자체가 그의 존재론적 토대라는 뜻입니다. 노동을 통해서 자기를 발견하는 노예는 그 노동을 내세우지 않습니다. 그 노동을 통해서 그가 구원을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저는 노예적인 삶을 미화하거나 추상화하는 게 아닙니다. 오늘의 가르침도 노예의 삶 자체에 대한 합리화가 아닙니다. 자기의 행위에서 이미 존재론적 토대를 발견한 사람의 영적인 깊이를 가리킵니다. 이런 경험은 우리의 일상에서도 가능합니다. 참된 작곡가는 그 작곡 행위를 통해서 기쁨과 구원을 경험합니다. 시인들도 그렇고 철학자와 신학자들도 그렇습니다. 만약 반대급부를 통해서만 자기의 행위에 값을 매기려는 예술가나 학자들이 있다면 그들은 사이비입니다. 거꾸로 이런 보상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행위에서 인간은 전혀 기쁨과 구원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보상에 관계없는 행위, 값으로 측정되지 않는 행위, 그러니까 그것 자체로 진정한 기쁨과 구원을 경험할 수 있는 행위야말로 우리가 이 땅에서 추구해야 할 가장 소중한 것입니다. 그런 것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일까요? 그것은 각각의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구체화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영적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제가 알아서 선택하며 살아갑니다.
우리가 오늘 본문에서 종의 수고를 고마워하지 않은 주인의 태도를 보면 이런 사실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주인이 종에게 시킨 노동은 종으로 하여금 구원을 경험하게 하는 행위 자체입니다. 그것이 절대적이고 결정적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보상이 필요 없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한다는 사실 말고 우리가 받아야 할 것은 이 세상에 아무 것도 없습니다. 만약에 우리가 어떤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또한 기독교인들이 하늘나라에 가서 다른 사람보다 더 큰 상을 받아야 된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하나님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 말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더 시급하고 더 절실한 일은 전혀 없습니다. 아무 보상을 받지 않아도 이렇게 하나님 안에서 존재하는 것만으로 여러분의 삶은 충분히 행복하고 즐겁습니까? 그런 영성이 확보되어 있나요? 그게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제자도(道)의 본질입니다.

profile

[레벨:11]권현주

October 22, 2004
*.208.101.249

자신의 행위에서 연유된 현실적인 보상 따위에 의해
자신의 행위내용을 결정한다는 것의 천박성을 경고하고있다는 해석이 빛납니다.

묵묵하게 자신의 몫을 다해간다는 것은
존재론적 토대로서, 기쁨의 원천이 된다는 것이죠.

이럴때 항상 남는 의문은
나의 몫을 어떻게 발견하느냐? 라는 것입니다.

특히 감동적인 해석이었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3494
154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499
153 성령강림절 경계를 넘어서 [5] 2008-06-22 16525
152 부활절 사랑과 계명 [7] 2008-04-27 16534
151 주현절 세례 받은 하나님의 아들 (마 3:13-17) [4] 2014-01-13 16551
150 주현절 카리스마의 영적 원리 [5] 2007-01-21 16554
149 사순절 하나님을 찬양하라! [34] 2008-03-16 16558
148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에 관한 이야기 [10] 2011-08-15 16620
147 성령강림절 살리시는 하나님의 능력 (왕상 17:8-24) [7] 2013-06-09 16652
146 부활절 생명과 죽음 (눅 24:1-12) [8] [1] 2013-03-31 16679
145 창조절 하나님의 기쁨 (눅 15:1-10) [21] 2016-09-11 16705
144 성령강림절 제자의 삶과 하나님 나라 (눅 9:57-62) [6] 2013-06-30 16730
143 성령강림절 존귀와 영광을 받으실 분 [20] 2010-09-12 16738
142 창조절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막 12:38-44) [6] 2018-11-12 16782
141 기타 현재의 고난, 7월30일 2006-07-30 16811
140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file [6] 2010-10-10 16839
139 주현절 메시아는 비밀이다 (마 17:1-9) [17] 2011-03-07 16885
138 성령강림절 이사야의 하나님 경험 [7] 2009-06-08 16887
137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7] 2011-01-23 16911
136 부활절 예수의 정체에 대한 질문 [27] [2] 2010-04-25 16917
135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와 구속 2009-12-25 16949
134 사순절 하나님의 부르심 앞에서 [22] 2009-03-02 17025
133 성령강림절 하나님과의 평화가 답이다 [6] 2008-06-08 17081
132 성령강림절 신앙경험은 새롭게 '봄'이다 [18] 2009-11-09 17109
131 주현절 영적 자유의 토대 [22] 2011-02-27 17146
130 부활절 새 하늘과 새 땅 (계 21:1-6) [10] 2013-04-28 17154
129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4] 2014-11-23 17190
128 창조절 신앙의 위기 앞에서 (빌 4:1-9) [6] 2011-10-09 17216
127 기타 카이사르의 것과 하나님의 것, 10월16일 [1] 2005-10-16 17219
126 성탄절 하나님의 영광과 아기 예수 [8] 2008-12-25 17257
125 기타 하나님 나라의 전복성 2006-07-16 17276
124 성령강림절 안식일과 해방 [10] 2010-08-22 17283
123 사순절 여호와를 알리라! [16] 2011-04-11 17287
122 창조절 위선에서 낮춤으로! (마 23:1-13) [11] 2011-10-30 17294
121 주현절 하나님이 생명이다 [10] 2011-02-15 17298
120 성령강림절 이웃에 대한 질문 [16] [2] 2010-07-11 17308
119 주현절 예레미야의 하나님 경험 (렘 1:4-10) [12] 2013-02-03 17401
118 성령강림절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에 관해서 [9] [1] 2007-09-30 17403
117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얼굴과 등 [11] 2009-09-28 17438
116 주현절 가난한 사람들 [23] 2011-02-06 17481
115 기타 참된 안식 [1] 2008-05-01 17662
114 성령강림절 천국, 질적인 변화의 세계 [18] 2011-07-24 17669
113 사순절 마리아의 나드 향유 [11] 2007-03-25 17790
112 주현절 예수 그리스도의 ‘파루시아’ [7] 2008-02-03 17888
111 기타 신앙적 일상과 재림신앙 [2] 2006-10-15 17936
110 기타 용서의 능력 [1] 2004-07-02 17946
109 부활절 예수는 양의 문이다 (요 10:1-10) [2] 2014-05-11 17968
108 대림절 우리를 구원하실 이 (미 5:2-6) [4] [2] 2012-12-24 17995
107 기타 메시야니즘의 기초 [1] 2008-05-01 18082
106 성령강림절 말씀은 성취된다 [10] 2008-07-06 18124
105 기타 세겜의 약속을 기억하라 [9] [1] 2010-01-01 18223
104 성령강림절 이웃에 대한 질문 (눅 10:25-37) [19] 2013-07-14 18321
103 사순절 “나는 아니지요?” [23] 2011-04-18 18367
102 사순절 하나님과 화목하라! (고후 5:16-21) [12] [1] 2013-03-10 18371
101 주현절 예수가 왕이다 (마 2:1-12) [3] 2013-01-07 18387
100 기타 하늘생명의 밥 [1] 2006-08-20 18397
99 기타 하나님을 알자 [4] 2004-06-30 18446
98 주현절 성령 임재와 마술 [21] 2010-01-11 18472
97 성령강림절 예수는 생명의 밥이다 [22] 2009-08-10 18505
96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꿈 이야기 [27] 2009-08-31 18518
95 성령강림절 대재앙 앞에서 [8] 2008-05-25 18537
94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누군가? [16] 2010-07-19 18593
93 주현절 하나님의 ‘선택의 신비’ [10] 2011-01-17 18601
92 대림절 그 날이 오리라! (렘 33:14-18) [16] [1] 2012-12-02 18616
91 성령강림절 요한의 죽음과 예수의 죽음 [17] 2009-07-27 18670
90 기타 낡은 것과 새것 (고후 5:16-21) [2] 2004-07-02 18785
89 창조절 하나님을 기억하라 (신 8:11-18) [16] 2011-11-21 18801
88 대림절 인자가 오리라 file [8] 2010-11-28 18815
87 성령강림절 율법을 넘어서 [2] 2008-06-29 18824
86 사순절 유혹 받으신 예수 (마 4:1-11) [10] 2014-03-09 18835
85 성령강림절 한 말씀만 하소서 [17] 2010-06-07 19046
84 사순절 믿음이란 무엇인가? [11] 2008-02-17 19059
83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24] 2011-01-09 19078
82 성령강림절 믿음과 행함의 긴장관계 [25] 2009-09-14 19088
81 주현절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고전 1:18-31) [16] 2014-02-02 19114
80 주현절 원수사랑, 가능한가? [16] 2011-02-22 19126
79 주현절 하나님의 은폐, 하나님의 침묵 [17] 2010-01-18 19147
78 성령강림절 은혜의 보좌 앞으로! [28] 2009-10-26 19255
77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이다! [12] 2011-05-22 19281
76 대림절 관용과 주의 재림 (빌 4:4-7) [7] [3] 2012-12-17 19295
75 성령강림절 믿음과 종됨의 관계 file [18] 2010-10-04 19340
74 사순절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라! [13] 2011-03-21 19347
73 사순절 여호와는 가까이 계시다 (사 50:4-9) [10] 2013-03-24 19361
72 성령강림절 하나님은 누구인가? file [8] 2010-09-26 19369
71 사순절 그리스도에 대한 인식과 믿음 [27] 2010-03-22 19427
70 기타 생명이 죽음을 삼키다, 7월2일 2006-07-02 19434
69 주현절 이사야 예언의 성취 (눅 4:14-21) [7] [1] 2013-01-27 19476
68 성령강림절 구하라 찾으라 두드리라! (눅11:5-13) [10] 2013-07-29 19489
67 창조절 제자의 길과 소유의 길 (눅 14:25-33) [10] 2013-09-08 19500
66 주현절 포도주 사건의 실체와 의미 [20] 2007-01-14 19565
65 부활절 예수는 왜 선한 목자인가? [11] 2009-05-04 19693
64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file [8] 2010-12-20 19719
63 사순절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26] 2009-04-06 19728
62 성탄절 성탄에 참여하는 길 [18] 2007-12-25 19732
61 기타 다윗왕조의 존재근거 [1] 2006-08-06 19745
60 성령강림절 영원한 본향 하늘나라 [8] 2010-08-09 19765
59 성령강림절 세례 요한의 죽음 (막 6:14-29) [10] 2015-07-13 19777
58 기타 예배로서의 삶 [5] [1] 2006-09-03 19871
57 성령강림절 그리스도의 가난과 우리의 부요 [23] 2009-07-13 19901
56 부활절 막달라 마리아와 부활의 주 [17] 2011-04-24 19943
55 기타 높은 사람, 낮은 사람 [2] [2] 2006-10-08 20126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