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4

나사렛 예수와 죄용서 (행 10:34-43)

주현절 조회 수 8900 추천 수 0 2017.01.09 10:22:40
설교듣기 : https://youtu.be/31uwHftZJFo 
설교보기 : https://youtu.be/DTS-piYk9Nc 
성경본문 : 사도행전 10:34-43 

나사렛 예수와 죄 용서

10:34-43, 주현 후 첫째 주일, 201718

 

34 베드로가 입을 열어 말하되 내가 참으로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아니하시고 35 각 나라 중 하나님을 경외하며 의를 행하는 사람은 다 받으시는 줄 깨달았도다 36 만유의 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화평의 복음을 전하사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보내신 말씀 37 곧 요한이 그 세례를 반포한 후에 갈릴리에서 시작하여 온 유대에 두루 전파된 그것을 너희도 알거니와 38 하나님이 나사렛 예수에게 성령과 능력을 기름 붓듯 하셨으매 그가 두루 다니시며 선한 일을 행하시고 마귀에게 눌린 모든 사람을 고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함께 하셨음이라 39 우리는 유대인의 땅과 예루살렘에서 그가 행하신 모든 일에 증인이라 그를 그들이 나무에 달아 죽였으나 40 하나님이 사흘 만에 다시 살리사 나타내시되 41 모든 백성에게 하신 것이 아니요 오직 미리 택하신 증인 곧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신 후 그를 모시고 음식을 먹은 우리에게 하신 것이라 42 우리에게 명하사 백성에게 전도하되 하나님이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의 재판장으로 정하신 자가 곧 이 사람인 것을 증언하게 하셨고 43 그에 대하여 모든 선지자도 증언하되 그를 믿는 사람들이 다 그의 이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는다 하였느니라.

 

지금 이 자리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는 우리는 모두 기독교인들입니다. 기독교인들의 모임이 교회입니다. 교회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예수님이 생전에 직접 교회를 세운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 승천 이후 즉시 교회가 시작되지도 않았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교회라고 부르는 모임이 언제 정확하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없습니다.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특성이 드러나는 시점입니다. 그 시점은 예수의 복음이 이방인들에게 전파되는 때를 가리킵니다. 만약 이런 일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교회는 역사에 등장하지 못하고 유대교의 한 아류로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은 예수의 복음이 전 세계 사람들에게 전파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겁니다. 1:8절에 따르면 승천 전승에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세계 선교, 즉 이방인 선교에 대한 당위성을 담보하는 문장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예수의 제자들이 당시 처한 상황을 추정해보십시오. 그들은 모태 유대교인들입니다. 유대교가 저들의 운명이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를 믿으면서도 여전히 유대교인으로 살았습니다. 유대교를 떠날 생각은 전혀 없었습니다. 유대교 안에 머물면서 예수의 재림을 기다리는 경건한 사람들로 자리 매김을 했습니다. 유대교 당국에서도 그들을 묵인했습니다.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로마가톨릭교회 안에 여러 종류의 수도회가 자리하고 있는 것처럼 예수 추종자들은 유대교 안에서 나사렛파로 자리했습니다. 그들에게 이방인 선교는 관심거리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그들이 예상하지 못한 어떤 일들이 주변에서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방인들이 예수의 복음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겁니다. 안디옥, 에베소, 빌립보, 로마 등등, 이방인 지역에 복음 공동체가 우후죽순으로 세워졌습니다. 소위 이방 기독교의 출발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인의 숫자에서도 유대인보다는 이방인이 더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방 기독교인들은 유대교의 율법과 거리를 두고 신앙생활을 했습니다. 이방 기독교의 대표자는 바울입니다. 사도행전은 바울의 이방인 선교에 대한 보도입니다. 이방인 선교의 신학적 정당성을 피력한 것입니다. 사도행전을 기록한 누가는 바울이 본격적으로 이방인의 사도로 활동하기 전에 이미 예수의 수제자인 베드로의 활동에서 이방인 전도의 신학적 단초를 찾았습니다. 이방인 선교의 역사적 뿌리가 깊다는 사실을 알리려는 것이었습니다.

 

베드로와 고넬료

오늘 설교 본문인 행 10:34-43절은 이방인인 고넬료 집에서 행한 베드로의 설교입니다. 베드로가 이방인 로마 백부장의 집에 들어간다는 게 지금 우리 눈에는 이상하게 보이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당시로서는 큰 모험입니다. 사도행전의 저자 누가는 이 사건을 의도적으로 아주 길고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이 사건이 당시로서는 뜨거운 감자처럼 예민한 이슈였다는 뜻입니다. 그 배경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넬료는 로마 군대의 백부장으로서 가이사랴에 주둔하고 있던 로마 수비대의 장교였습니다. 이방인이었지만 유대교로 개종한 그는 어느 날 오후에 환상 중에 천사를 봅니다. 천사는 그에게 말합니다. 욥바에 사람을 보내서 베드로라 하는 사람을 집으로 모셔 오라는 겁니다. 고넬료는 믿을만한 심부름꾼을 50km 떨어진 욥바에 보냅니다. 다른 한편 욥바에 잠시 머물고 있던 베드로는 기도하다가 환상을 봅니다. 각종 짐승과 기어 다니는 것과 새들이 들어 있는 보자기가 하늘에서 내왔습니다. ‘잡아먹으라.’는 소리가 들립니다. 유대인으로서는 먹을 수 없는 짐승들이라서 베드로는 거절합니다. 다시 하나님이 깨끗하게 한 것을 더럽다고 하지 말라는 소리를 듣습니다. 별로 기분 좋은 환상이 아니었습니다. 그 환상이 끝나는 순간에 멀리 가이사야에서 고넬료가 보낸 심부름꾼들이 들이닥칩니다. 그 심부름꾼들과 함께 베드로는 길을 떠나 다음날 고넬료 집에 도착합니다. 고넬료는 베드로에게 그간 자기에게 일어난 이상한 현상을 설명한 뒤에 행 10:33절에서 이렇게 말을 마칩니다. ‘내가 곧 당신에게 사람을 보내었는데 오셨으니 잘하였나이다. 이제 우리는 주께서 당신에게 명하신 모든 것을 듣고자 하여 다 하나님 앞에 있나이다.’ 이 말을 들은 베드로는 34-43절까지 긴 설교를 합니다. 당시 이방인 선교에 대한 신학적 근거라 할 이 설교로 인해서 기독교는 앞으로 당당하게 이방인 선교를 추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가 오늘 우리에게까지 영향을 미친 겁니다. 만약 이런 신학적 해석이 없었다면 이방인 선교는 동력을 얻지 못했을 것이며, 예수의 복음은 유대교 안에서 소수의 목소리로 머물러 있었겠지요. 베드로는 무슨 설교를 한 것일까요?

 

베드로의 설교

베드로는 일단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않으신다.’는 말로 설교를 시작합니다. 유대인이냐 이방인이냐, 율법을 지켰냐 아니냐 하는 것이 하나님 앞에서 중요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유대인들의 편협한 율법주의적 사고방식을 비판하는 이야기입니다. 율법주의는 분리주의적 사고방식입니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 배운 사람과 못 배운 사람, 유대인과 이방인을 분리합니다. 베드로 설교는 이런 율법적이고 분리적인 사고방식이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서 극복되었다고 말합니다. 36절에서 그는 하나님이 만유의 주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평화의 복음을 주셨다고 했습니다. 이 말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유대인과 율법을 지킨 사람들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 남자만이 아니라 여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 백인만이 아니라 유색인까지, 지식인만이 아니라 지식이 없는 사람까지 모든 이들에게 해당된다는 뜻입니다. 독선적인 선민의식과 엘리트주의에 빠져 있는 사람들에게는 기분 나쁜 주장입니다. 특히 이방인들을 낮추어보던 유대인들에게는 꺼림칙한 주장입니다. 베드로 설교는 그 다음 구절부터 바로 그 예수 그리스도가 누군지를 설명합니다. 그가 누군지를 알려면 그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그에게 일어난 일을 케리그마라고 합니다. 그것은 인류의 구원을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일어난 사건을 가리킵니다.


이어지는 베드로의 설교에 의하면 하나님은 나사렛 예수에게 성령과 능력을 가득 채워주셨습니다(10:38). 예수님은 갈릴리와 유대 땅을 다니면서 선한 일을 행하시고 마귀에게 눌린 사람을고치셨습니다. 이런 능력이 나타난 이유는 하나님이 예수와 함께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나사렛 예수를 나무에 달아죽였습니다. 유대 종교권력과 로마 정치권력, 그리고 그런 권력을 추종하던 이들의 야합에 의해서 일어난 어처구니없는 사건이었습니다. 이것으로 예수의 역사가 끝장났다면 정의가 굴복당하고 불의가 승리한다는 논리가 성립되었을 겁니다. 인류 역사에는 이런 논리가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베드로는 40절에서 반전을 언급합니다. ‘하나님이 사흘 만에 그를 다시 살리셨다.’고 말입니다. 인간의 악을 하나님이 굴복시키고 궁극적으로 승리하셨다는 뜻입니다. 인간의 악은 인간적인 방식으로 자행됩니다. 교묘한 자기 합리화에 떨어집니다. 겉으로 보이는 힘에만 의지합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방식으로 악을 이기셨습니다. 십자가에 처형당한 나사렛 예수를 특별한 사람들에게 생생한 생명으로 경험하게 하셨습니다. 예수의 부활 경험입니다.


베드로의 설교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갑니다. 부활의 예수를 경험함으로써 그를 따르던 이들에게 새로운 영적 시각이 열렸습니다. 예수가 궁극적인 심판자라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42절은 이렇습니다.

 

우리에게 명하사 백성에게 전도하되 하나님이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의 재판장으로 정하신 자가 곧 이 사람인 것을 증언하게 하셨고...

 

예수님이 살아 있는 사람만이 아니라 죽은 사람까지 모든 이들의 심판자라는 말은 정말 놀라운 진술입니다. 삶과 죽음을 단순히 생물학적 차원이 아니라 더 심층적으로 보기 때문에 이런 진술이 가능합니다. 하나님 안에서의 생명은 생물학적인 삶과 죽음 현상을 넘어섭니다. 그래서 요한은 예수를 믿는 자들은 죽어도 살고 살아서 믿는 자들은 영원히 죽지 않는다고 선포할 수 있었습니다(11:25,26). 여기서 심판은 단순히 하나님을 믿지 않거나 부도덕하게 행동한 사람들을 징벌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심판은 생명 심판입니다. 심판을 받는다는 말은 생명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저는 하나님의 심판을 기다립니다. 알곡과 가라지를 구분하는 하나님의 심판이 나를 기다리고 있기에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운 이 세상살이에서도 용감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정의로운 심판이 저를 생명으로 이끌어주신다는 사실을 믿는다는 뜻입니다.

 

죄 용서

생명을 얻는다는 것이 무슨 말일까요?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기는 하지만 이런 말들이 관념적으로 들리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걸 오늘 본문 43절이 정확하게 말합니다.

 

그에 대하여 모든 선지자도 증언하되 그를 믿는 사람들이 다 그의 이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는다 하였느니라.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심판은 생명 심판을 가리킵니다. 생명 심판은 생명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예수를 믿는 사람들이 생명 심판을 받아 생명을 얻는다는 말은 죄를 용서받는다는 것입니다. 죄 용서가 곧 생명을 얻는 길입니다. 왜냐하면 죄가 바로 생명을 파괴하기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죄를 용서받지 못하면 우리는 생명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이런 말을 듣고 잘못한 일을 반성하고 회개하라는 말이구나.’ 하고 언짢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현대 지성인들은 죄라는 말 앞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보입니다.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감과 주체성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심리적 질병 현상이 바로 기독교가 말하는 죄라고 하는 겁니다. 니체와 프로이트 같은 학자들이 그런 방식으로 신랄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런 비판을 받을만한 현상들이 교회에서 종종 일어나긴 합니다. 사람들의 마음에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 겁니다. 그런데 자주 노출되면 신자들의 영혼은 병듭니다.


이런 일은 성서가 말하는 죄를 오해하는 데서 벌어지는 겁니다. 죄는 생명과의 단절이며, 하나님과의 분리입니다. 그런 단절과 분리를 신화적으로 묘사한 이야기가 선악과 설화입니다. 선악과 설화는 인간이 왜 죄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설명하는 게 아니라 죄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는 인간 실존을 가리키는 겁니다. 아담과 이브는 자신들이 스스로 하나님처럼 눈이 밝아져서 자기를 완성시켜보려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이런 실존적인 상황에서 인간은 그 어떤 방식으로도 생명을 얻을 수 없습니다. 생명 충만감을 누리지 못합니다.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온갖 좋은 것을 다 소유해도 영혼이 채워지지 않습니다. 영혼이 피폐하다는 뜻입니다. 최순실과 박근혜 두 사람의 관계에서 일어난 일들을 우리가 속속들이 아는 건 아니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것만 보더라도 그들의 영혼이 피폐하다는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오늘 우리도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영혼의 피폐를 안고 살아갑니다. 생명 충만감을 누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롬 3:9절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면 어떠하냐 우리는 나으냐 결코 아니라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다 죄 아래에 있다고 우리가 이미 선언하였느니라.’ 바울은 모든 인간이 보편적으로 생명 충만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뚫어보았습니다.


나사렛 예수를 믿어 죄 용서를 받고 생명 얻는다는 사실을, 즉 영혼의 피폐성으로부터 해방된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 증거를 손에 들고 싶으신가요? 이 문제는 콘서트 장에 들어갈 수 있는 입장권을 손에 넣는 거와는 차원이 달라서 자신이 실제로 경험하기 전까지는 그것의 실체가 무엇인지 느낄 수 없습니다. 자기 스스로 자기를 완성해야 한다는 강요와 그런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게 어떻게 말로 설명이 되겠습니까? 이 세상이 다 그런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는데 말입니다. 저는 다시 기독교 신앙의 가장 초보적인 가르침을 말씀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사실을 주목하십시오. 믿는다는 것은 신뢰한다는 뜻입니다. 그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그것의 종교의식이 세례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그와 함께 사는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 생명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실제로 믿을 수 있다면 그는 자기 스스로 자기를 성취해야 한다는 강요와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죄로부터의 해방입니다. 그런 해방을 경험한 사람들은 생명을 얻은 사람입니다.


여전히 이런 설명이 실감 나지 않는 분들이 있을지 모릅니다. 지금 당장 취업해야 하고, 집을 구입해야 하고, 결혼도 해야 하고, 부부 문제도 해결해야 하고, 병도 고쳐야 합니다. 일상을 해결하는 것만도 힘에 벅찰 지경입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예수의 운명에 자신의 운명을 일치시킨다는 말은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일 겁니다. 일상의 과잉 현상은 현대인들의 삶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런 삶의 행태에서는 기독교 신앙의 중심으로 들어갈 계기를 찾을 수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궁극적으로는 믿음의 은사를 구해야겠지만 우리 스스로 삶을 성찰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상과의 단절이 필요합니다. 그게 일주일에 한번 만나서 함께 참여하는 예배입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성경공부와 신학공부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도 절실하게는 다가오지 않을 겁니다. 그것보다 더 긴급하고 중요하다고 여기는 일들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간혹 인간의 삶이 고장 난 우주선 안에서의 삶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구 크기의 우주선을 우리가 지금 함께 타고 여행 중이라고 상상해보십시오. 산소 공급기가 고장 났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떤 사람은 각자 숨을 적게 쉬자고 주장합니다. 산소가 밑바닥을 드러내는 시간만 조금 늦출 뿐입니다. 산소 공급기를 고치려고 애를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산소 공급기는 완전히 망가져서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일정 숫자의 사람들을 죽여서 산소 소모량을 줄이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악할 뿐만 아니라 무의미한 일입니다. 유일한 해결책은 가능한 빨리 우주선 밖에서 구원의 손길이 찾아와 주는 겁니다. 나사렛 예수가 바로 밖에서 온 구원자, 즉 메시아입니다. 그를 믿으십시오. 영혼을 피폐하게 하는 죄의 힘으로부터 해방될 것입니다.


profile

[레벨:21]주안

January 09, 2017
*.69.199.48

예수가 그리스도임을 믿습니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구원 곧 죄사함 받았음을 믿습니다.

그래서 늘 감사하며 기뻐합니다.

'내 영혼이 은총 입어 중한 죄짐 벗고 보니~ ~

~ ~주 예수와 동행하니 그 어디나 하늘나라!'

찬양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January 09, 2017
*.164.153.48

죄사함이 실제 삶의 능력으로 경험되는지요.

저도 주안 님과 더불어 찬양하고 싶습니다.

profile

[레벨:17]홍새로

January 09, 2017
*.224.15.62

하나님이 육신을 입고 시간속으로 들어오셨다.
왜? 우리들이 생물학적 삶과 죽음을 넘어서는 생명임을 알려주시려고...
우리가 그런 존재라면 삶이 기쁘지 않을 이유가 어디 있겠습니까? 목사님...
예수님을 알지 못하는 인간의 삶이,
산소공급기가 고장난 우주선을 탄 사람들이란 비유가 참 많이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January 09, 2017
*.164.153.48

기독교 신앙은 2천년의 역사를,

구약까지 포함하면 3천년의 역사를 가슴에 안고 있어요.

말장난이 아니라는 거지요.

산소가 부족해서 호흡이 점점 어려워진다는 사실 자체를

별로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제가 우화 식으로 설명한 우주선 이야기가 실감나지 않겠지요.

profile

[레벨:10]온마음

January 16, 2017
*.165.37.235

니체와 프로이트가 비판한 죄에 대한 집단 노이로제 현상은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기독교 신앙에서 말하는 실존적 죄 개념을 단순하게 인간의 죄책감을 자극하는 병든 심리적 반응으로 접근하고 있는 교회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분노가 생깁니다. 그렇다고 비윤리적인 모습에 대한 반성이 필요없다는 얘기는 결코 아닙니다! 인간을 파멸시킬 수밖에 없는 실존적인 모습들(본능 사회구조 운명 등)인 죄가 오직 예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궁극적으로 극복된다는 사실에 믿음을 걸어야겠습니다. 인간이 아무리 노력해도 잠정적이고 허무한 이 삶을 극복할 수는 없으니까요. 영혼을 울리는 말씀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January 16, 2017
*.164.153.48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죄가 극복된다는 가르침이

자칫하면 값싼 은혜에 떨어질 수 있으니 조심하긴 해야하지만,

그게 삶의 가장 강력한 능력이라는 사실만은 놓치지 말아야겠지요.

온마음 님이 그 능력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갔으면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2342
854 주현절 십자가에 못 박힌 이 (고전 2:1-12) [8] 2020-02-10 5966
853 사순절 흑암과 두려움 가운데서 (창 15:1-12, 17-18) [5] 2019-03-17 5982
852 부활절 순교 영성 (행 7:55-60) [3] 2017-05-14 5985
851 사순절 마리아와 가룟 유다 (요 12:1-8) [4] 2019-04-07 6020
850 창조절 말다툼과 진리의 말씀 (딤후 2:8-15) [2] 2019-10-14 6021
849 창조절 사소한 것들과의 생명 관계 (막 9:30-37) [4] 2018-09-24 6026
848 성령강림절 성령이 도우시리라! (롬 8:22-27) [4] 2018-05-20 6030
847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1-28) [4] 2018-01-28 6036
846 주현절 종말의 능력과 현실 (눅 4:14-21) [5] 2016-01-24 6057
845 부활절 창조의 능력, 부활의 능력 (사 65:17-25) [2] 2019-04-21 6090
844 사순절 아브라함의 믿음, 우리의 믿음 (롬 4:13~25) [2] 2021-02-28 6100
843 대림절 빈 들에서 (눅 3:1~6) [2] 2021-12-05 6115
842 성령강림절 냉수 한 그릇의 궁극적 의미 (마 10:40-11:1) [2] 2020-06-28 6126
841 사순절 "일어나라, 함께 가자!" (막 14:32~42) 2021-03-28 6145
840 사순절 제자도의 위기 (눅 22:24-34) [4] 2019-04-14 6170
839 부활절 그는 "변호인"이다 (요일 1:1~2:2) [1] 2021-04-11 6206
838 부활절 사랑과 계명 (요 14:15-21) 2020-05-17 6211
837 성탄절 영광-찬송 (엡 1:3~14) [2] 2021-01-03 6243
836 성령강림절 예수는 왕인가? (요 6:1-15) [8] 2018-07-29 6367
835 창조절 욥의 회개 (욥 42:1~6) [4] 2021-10-24 6377
834 창조절 삶의 견고한 토대 (시 90:1-6, 13-17) [4] 2020-10-25 6403
833 성령강림절 예수는 생명 충만이다! (요 6:24-35) [2] 2018-08-05 6410
832 사순절 하나님과의 화해 (고후 5:16-21) [5] 2019-03-31 6434
831 사순절 생존의 위기 앞에서 (출 17:1-7) 2020-03-15 6446
830 창조절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 (히 4:12-16) [4] 2018-10-15 6461
829 창조절 '힐링'의 원천 (막 7:24-37) [2] 2018-09-10 6471
828 창조절 만물의 시원성에 대한 질문 (욥 38:1-7) [20] 2018-10-21 6486
827 부활절 빈 무덤 앞에서 (막 16:1~8) [3] 2021-04-04 6544
826 주현절 선지자의 운명 (신 18:15-20) [2] 2021-01-31 6578
825 사순절 "나는 영생을 믿습니다!" (요 3:14~21) [15] 2021-03-14 6579
824 사순절 십계명 "너머" (출 20:1~17) [7] 2021-03-07 6589
823 주현절 은사의 다양성과 성령의 동일성 (고전 12:1-11) [6] 2019-01-21 6623
822 성령강림절 기독교 윤리와 하나님 사랑 (엡 4:25-5:2) [4] 2018-08-13 6628
821 부활절 "우리는 부활의 증인들이다." (행 2:22-32) [2] 2017-04-23 6638
820 주현절 하나님의 회심 (욘 3:1-5, 10) [6] 2018-01-21 6666
819 성령강림절 이스라엘의 선지자 '너머' [16] 2016-07-03 6668
818 부활절 눈이 밝아진 제자들 (눅 24:13-35) [2] 2020-04-26 6696
817 성령강림절 연보도 은혜다! (고후 8:7-15) [6] 2018-07-01 6697
816 사순절 예수와 복음 (막 1:9~15) [9] 2021-02-21 6715
815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 파송 (눅 10:1-11) [2] 2019-07-07 6717
814 성령강림절 못 하실 일이 없는 하나님 (창 18:1-15) [6] 2020-06-14 6745
813 창조절 언약을 통한 생명 경험 (수 24:19-25) [12] 2017-11-12 6756
812 대림절 "파루시아" (약 5:7-10) [5] 2019-12-16 6774
811 부활절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사실에 대한 증거 (요 10:22-30) [13] 2016-04-17 6795
810 성탄절 하나님을 본 사람 (요 1:10-18) 2020-01-05 6810
809 성령강림절 지혜의 근원 (잠 8:1-4, 22-31) [4] 2019-06-16 6812
808 대림절 평화의 왕이 오신다! (미 5:2~5a) [1] 2021-12-19 6813
807 부활절 생명의 은폐와 탈은폐 (골 3:1-4) [7] 2017-04-16 6817
806 사순절 예수의 영광과 영원한 생명 (요 12:20-33) [4] 2018-03-18 6834
805 창조절 하나님께 가까이! (히 10:19~25) [2] 2021-11-14 6839
804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와 씨 비유 (막 4:26-34) [5] 2018-06-17 6874
803 주현절 게네사렛 어부들 이야기 [6] 2019-02-03 6893
802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9] 2017-11-26 6907
801 부활절 사도의 직무 (행 1:15-17, 21-26) [12] 2015-05-17 6938
800 사순절 예수는 심판 주다! (요 9:35-41) [2] 2020-03-22 6947
799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952
798 성령강림절 삼위일체 신앙의 토대 (마 28:16-20) [5] 2017-06-12 6969
797 성령강림절 "너희 죽을 몸을 살리시리라." (롬 8:1-11) 2017-07-16 7029
796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7033
795 성탄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실존 세 가지 (골 3:12-17) [9] 2018-12-30 7075
794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7075
793 사순절 예수의 낮아짐과 높아짐 [4] 2017-04-10 7080
792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7095
791 부활절 "내가 주를 보았다!" (요 20:1-18) [8] 2015-04-05 7096
790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7101
789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롬 10:8-13) [2] 2019-03-10 7139
788 성령강림절 다윗과 임마누엘 (삼하 5:1-5, 9-10) [8] 2018-07-09 7167
787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7170
786 부활절 기독교인의 세상살이 (요 17:6-19) [2] 2018-05-14 7181
785 대림절 평화! (미 5:2-5a) [8] 2018-12-23 7197
784 성령강림절 상투스 상투스 상투스 (사 6:1-8) [10] 2015-05-31 7213
783 부활절 피와 해방 (계 1:4-8) [4] 2019-04-28 7220
782 성령강림절 "나는 하나님이다." (호 11:1-11) [11] 2016-07-31 7265
781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질문 (막 13:1-8) [8] 2015-11-15 7269
780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281
779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하나님 경험 (창 22:1-14) 2017-07-02 7282
778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286
777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믿음과 좌절 (왕상 2:10-12, 3:3-14) [13] 2018-08-19 7291
776 창조절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막 10:23-31) 2018-10-08 7307
775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340
774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6] 2015-06-07 7363
773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371
772 창조절 교회는 성찬 공동체다 (막 14:22-25, 고전 11:23-26) [7] 2014-10-19 7393
771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425
770 성령강림절 집행 유예의 삶 (마 1324-30, 36-43) [14] 2014-07-20 7429
769 사순절 생명과 존재의 근원 (롬 4:13-25) [7] 2015-03-02 7458
768 부활절 생명수 샘물을 값없이 ... (계 21:1-6) 2019-05-19 7467
767 주현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12) [8] 2018-02-12 7470
766 사순절 영광의 몸으로! (빌 3:17-4:1) [3] 2016-02-21 7481
765 부활절 복음의 보편적 능력 (행 8:26-40) [4] 2018-04-29 7514
764 대림절 늘 깨어 기도하라! (눅 21:25~36) [1] 2021-11-28 7531
763 창조절 청함과 택함 "사이" (마 22:1-14) 2020-10-11 7542
762 주현절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고전 1:18-31) [1] 2017-01-29 7549
76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17) [9] 2019-06-10 7563
760 성령강림절 돌보시는 하나님 (창 21:1-7) 2017-06-18 7572
759 성령강림절 산과 언덕이 노래하리라. (사 55:10-13) [6] 2014-07-13 7574
758 사순절 하나님의 영광, 그리스도의 영광 [4] 2015-03-22 7598
757 사순절 예수의 죽음과 매장 (막 15:33-47) [4] 2018-03-25 7602
756 성령강림절 이성적 예배로서의 일상 (롬 12:1-8) [2] 2017-08-27 7629
755 창조절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얼굴 (출 33:12-23) [2] 2017-10-22 7755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