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4

축제의 능력

사순절 조회 수 13194 추천 수 0 2010.03.15 21:17:40
설교듣기 : mms://wm-001.cafe24.com/dbia/2010/dawp_0314.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00314.wmv 
성경본문 : 누가복음 15:11-32 

축제의 능력

(눅 15:11-32)

 

 

누가복음 15장에는 예수님이 말씀하신 세 가지 비유가 나옵니다. 첫째는 잃은 양의 비유, 둘째는 잃은 드라크마의 비유, 세 번째는 소위 탕자의 비유입니다. 세 비유의 공통점은 소중한 것을 잃었다가 다시 찾았을 때 느끼는 기쁨입니다. 차이점은 잃었던 대상이 서로 다르다는 것입니다. 첫째는 양이고, 둘째는 돈이고, 셋째는 사람입니다. 세 번째 비유가 가장 길고 드라마틱합니다. 연극 무대로 치면 대충 4막으로 전개됩니다.

 

 

탕자 이야기

제 1막은 살림살이가 넉넉한 어느 집입니다.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작은 아들이 아버지에게 자기 몫의 유산을 미리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둘째 아들의 태도가 좀 괘씸해 보였지만 아버지는 요구한 대로 재산을 나눠주었습니다. 당시 풍습에 따르면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기 전에 유산을 미리 받을 경우에는 돌아가는 몫이 훨씬 작습니다. 둘째 아들은 자기 몫을 챙겨 먼 나라로 떠났습니다. 지루한 고향집을 벗어난 것입니다.

제 2막은 탕자의 새로운 삶입니다. 둘째 아들은 한번 멋지게 살아보겠다는 야망을 품었겠지요. 그러나 세상이 자기 뜻대로 되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원하지 않던 일들이 자주 일어납니다. 젊은이들에게는 그런 유혹이 더 강렬합니다. 그는 허랑방탕하게 살면서 재산을 탕진했다고 합니다. 입에 풀칠을 하기도 힘들어졌습니다. 그 나라에 흉년이 들자 그는 막노동판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일터가 돼지 농장이었습니다. 돼지는 유대인들에게 혐오의 대상입니다. 둘째 아들의 형편이 얼마나 절박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돼지 사료로 허기를 면해보려고 했지만, 그것마저도 뜻대로 안 됐습니다. 그는 어느 날 아버지가 계신 자기 집을 생각했습니다. 가족들이 기다리고 있는 곳입니다. 거기에는 먹을 것이 많았습니다. 지금 자기의 처지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곳입니다. 빈털터리로 집으로 돌아가는 건 체면이 서지 않는 일이었지만 여기서 굶어죽을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그는 아버지의 아들이 아니라 품꾼으로 돌아갈 작정을 했습니다.

제 3막은 다시 아버지의 집입니다. 아버지는 거지 행색으로 돌아온 아들을 멀찍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들을 끌어안고 입을 맞춥니다. 아들은 하나님과 아버지에게 죄를 지었다고, 그러니 이제부터는 아들이라는 말을 들을 자격이 없노라고 말했습니다. 눈물콧물을 흘리면서 자기의 잘못을 인정했겠지요. 성서기자는 이 순간에 아버지가 아들에게 무슨 말을 했는지 설명하지 않습니다. 오냐, 알았다, 너를 용서하마, 하고 말했을까요? 타지에서 얼마나 고생했냐, 하고 말했을까요? 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종들에게 명령을 내립니다. 좋은 옷을 아들에게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고 했습니다. 옷, 가락지, 신은 아들의 신분을 그대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아들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입니다. 문 안에 들어서지 못할지도 모른다고, 또는 크게 훈계를 들을 거라는 걱정을 했겠지요. 그런데 아버지는 아무 소리도 않고 집을 떠나기 전의 그 아들로 그대로 인정합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살진 송아지를 잡게 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먹고 즐기자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눅 15:23,24) 그러자 거기 모였던 모든 이들이 즐거워했다고 합니다.

제 4막은 잔치를 벌이고 있는 집밖에서 펼쳐집니다. 밭에서 하루 종일 일하다가 집으로 돌아오던 큰 아들은 집안에서 들려오는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종을 불러 자초지종을 물었습니다. 종들에게서 사실을 전해들은 큰 아들은 화가 나서 집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그 장면이 매우 상징적입니다. 밖에서 떠돌던 둘째는 집으로 들어갔고, 집에서 효자 노릇하던 첫째는 밖에 머물렀습니다. 아버지가 밖으로 나와서 큰 아들에게 들어가자고 권했습니다. 큰 아들은 자기의 불만을 털어놓았습니다. 그의 불평은 아버지의 행위가 공정하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한눈팔지 않고 아버지를 섬긴 자기를 위해서는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잡아주지 않았으면서 창녀들과 노느라 재산을 낭비한 작은 아들을 위해서는 살진 송아지를 잡았다는 겁니다. 이렇게 불공정하게 일을 처리하느냐는 주장입니다. 나름으로 일리가 있습니다. 제 3자가 보았으면 큰 아들의 주장이 옳다고 생각할 겁니다. 아버지는 큰 아들에게 이렇게 해명합니다. 아버지의 재산은 살진 송아지만이 아니라 모두 큰 아들의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 사실을 알기만한다면 큰 아들은 섭섭할 게 하나도 없습니다. 이에 반해 둘째 아들의 형편은 전혀 다릅니다. 그는 재산도 없고 아들 자격도 없습니다. 그는 잃었던 자식이었습니다. 그를 다시 얻었으니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은 마땅한 일입니다.

위의 비유에서 어떤 이들은 둘째 아들을 주인공으로 여깁니다. 그게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전체 이야기에서 둘째 아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큽니다. 그가 재산을 받아서 외국으로 나가 허랑방탕하게 살다가 아버지에게 돌아오는 이야기는 세상에 취해서 살다가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기로 한 기독교인의 전형적인 모습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야기의 전체적인 구조에서 본다면 둘째 아들이 주인공은 아닙니다. 아버지가 주인공입니다. 그래서 어떤 성서학자는 이 이야기를 탕자의 회개가 아니라 아버지의 사랑으로 읽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이 비유에서 둘째 아들만이 아니라 첫째 아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이야기의 결론 부분에서 첫째 아들과 아버지의 대화가 나옵니다. 비유의 근본적인 교훈도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눅 15장이 다루고 있는 세 가지 비유가 어떤 상황에서 나왔는지를 보면 이 사실이 더 확실해집니다. 눅 15:1,2절에는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두 종류의 사람들이 나옵니다. 하나는 세리와 죄인들이고, 다른 하나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입니다. 세리와 죄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러 가까이 나오자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다음과 같이 수군거렸다고 합니다. “이 사람이 죄인을 영접하고 음식을 같이 먹는다.” 이런 수군거림은 비유에 나오는 첫째 아들의 불평과 거의 똑같습니다. 15장 전체를 읽는 독자라고 한다면 세리와 죄인이 둘째 아들로, 바리새인과 서기관이 큰 아들로 대비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둘째 아들이 아니라 첫째입니다. 그는 평소에 잘 하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아버지와 대립했습니다.

누가복음 기자는 이 이야기를 통해서 초기 기독교가 처한 삶의 자리를 간접적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초기 기독교는 유대인들이, 특히 종교적인 엘리트 집단인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우습게 생각하는 이방인들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꾸려갔습니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의 뜻을 따랐던 유대인들을 대표합니다. 유대교와 이방 기독교는 시간이 지나면서 크게 대립했고, 결국 이방인 기독교 공동체는 더 이상 유대교 안에 머물러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누가 공동체는 이런 상황에서 예수님이 공생애 중에 말씀하신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를 기억해하고 복음서에 기록하게 된 것입니다. 자신들을 둘째 아들로, 유대인들을 첫째 아들로 인식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일단 누가공동체의 이런 노력을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이 비유에 담긴 더 근원적인 영적 가르침의 자리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것이 무엇일까요?

 

 

축제로서의 삶

저는 설교 말머리에서 눅 15장에 나오는 세 가지 비유의 주제가 동일하게 잃은 것을 찾았을 때의 기쁨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것이 세 번째 이야기에서 극대화합니다. 아버지는 큰 잔치를 벌였습니다. 모두가 즐거워하고 기뻐했습니다. 문제는 거듭 말씀드리지만 큰 아들입니다. 그 많은 사람 중에서 큰 아들 한 사람만 잔치에 참여하기 싫어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는 제가 앞에서 설명한대로 성서본문이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그의 논리에는 두 가지 사실이 자리합니다. 하나는 성실하게 산 자기에게 아버지는 잔치를 베풀어 주신 일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아버지가 큰 아들을 위해서 실제로 잔치를 벌여준 일이 없었을까요? 그랬을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매일의 삶이 잔치였을 테니까요. 아버지의 소유가 큰 아들의 소유라는 사실을 모두가 인정하고 있었을 테니까요. 큰 아들도 그걸 몰랐을 리가 없습니다. 큰 아들이 트집을 잡듯이 불평하는 이유는 동생을 향한 아버지의 태도입니다. 이것이 큰 아들이 불평하는 논리의 두 번째 사실입니다. 그의 표현을 직접 인용하겠습니다.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눅 15:30) ‘이 아들’은 ‘당신의 아들’이라는 의미입니다. 동생을 동생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입니다.

여러분들도 자녀들을 키우면서 큰 아들의 이런 불평을 듣거나 또는 자녀의 입장에서 직접 불평을 터뜨린 적이 있을 겁니다. 입으로 말을 하지 않더라도 속으로 그렇게 생각할 때는 많았겠지요. 유산 문제로 가족들 사이에 소송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자기가 불이익을 받았다는, 또는 불이익을 받지 않겠다는 주장이 충돌할 때 이런 일들이 벌어집니다. 유산 문제만이 아니라 이 세상의 원리가 대략 이런 식입니다. 공정한 대우를 해달라는 요구가 서로 충돌합니다. 경쟁력이 높은 사람에게 더 많은 대우를 해주고, 없는 사람에게 적은 대우를 해주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이 세계에서 그런 경우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높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 사회가 대학을 졸업하지 않는 사람을 인정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언젠가 EBS에서 독일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방영한 적이 있습니다. 굴뚝청소부 마이스터 자격증을 따는 교육이었습니다. 굴뚝청소부 장인이 되는 것에 그 학생들은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연봉도 충분히 받습니다. 둘째 아들을 위해서 살진 송아지를 잡을 수 있는 사회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행동을 공정하지 못하다고 생각한 큰 아들은 집밖에 머물렀습니다. 풍악과 춤추는 소리에 참여하지 못한 것입니다. 이것보다 더 큰 불행은 없습니다. 실제 물질적인 손해는 결정적인 것이 아닙니다. 그런 손해는 나중에 보충할 수도 있고, 손해를 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런 것들은 결국 우리의 손에서 사라지고 맙니다. 잔치의 즐거움과 기쁨은 나중에 보충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삶은 쏜살 같이 지나가고 마니까요. 큰 아들의 심정은 이해할만 합니다. 정말 억울하다고 생각했겠지요. 자존심이 상했을지도 모릅니다. 아버지 앞에서 동생을 ‘당신의 아들’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마음이 굳어졌습니다. 우리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발견하는 삶의 태도입니다. 이런 방식의 삶에서 축제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아버지는 큰 아들과 전혀 달랐습니다. 물론 아버지도 둘째 아들이 얼마나 방탕하게 살았는지, 거꾸로 첫째 아들이 얼마나 성실하게 살았는지를 알고 있습니다. 누가 더 바람직한 인간인지는 조금만 들여다보면 환히 드러납니다. 성실하지 못한 사람을 성실하다고, 똑똑하지 못한 사람을 똑똑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아버지는 이 상황을 전혀 다른 관점으로 보았습니다. 이런 다른 관점이 바로 우리가 성서에서 배워야 할 영성입니다. 아버지의 고백을 들어보십시오.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이 문장은 24절과 32절에 반복되었습니다. 방탕하게 살다가 쪽박을 차고 집에 기어들어온 둘째 아들을 위해서 잔치를 벌일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습니다. 이런 관점이 바로 삶을 축제로 받아들이는 능력입니다. 여기에서만 삶이 기쁨으로, 자유와 평화로 다가옵니다.

잃었다가 다시 얻었다는 게 무슨 뜻일까요? 본문에서는 일단 둘째 아들이 집을 나갔다가 다시 돌아온 것을 가리킵니다. 우리도 종종 이런 경험을 합니다. 젊은이들이라면 헤어졌던 애인과 다시 친해진 것을 기억하겠지요. 사업가들에게는 부도의 위기를 넘기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런 것들만이 아닙니다.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 우리가 관계하고 있는 모든 것들은 잃었다가 다시 얻은 것입니다. 이는 곧 우리의 소유는 아예 없다는 뜻입니다. 피조물에게 소유가 어떻게 가능하겠습니까? 사람이 피조물이라는 성서의 증언을 허투루 듣지 마십시오. 우리 내부에는 존재의 근거가 없습니다. 모든 것이 밖에서 주어진 것들입니다. 모든 것이 은총입니다. 모든 것이 잃었다가 얻은 것들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잔치를 벌이지 않을 수 있을까요? 우리가 삶을 즐거움과 기쁨으로 살아가지 않을 수 있을까요? 만약 우리 삶에 축제의 기쁨이 사라졌다면 이런 영적인 시각을 알지 못하거나 망각했다는 증거입니다.

당신이 하는 말은 원칙적으로 옳기는 한데, 실제로는 그렇게 살기가 힘들다고 생각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실제 삶이 고단하다고 말입니다. 보기 싫은 사람들이 널려 있다고 말입니다. 물론 한 사람이 감당하기 불가능한 현실의 고통이 있긴 합니다. 그런 일들이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납니다.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듯이 살아가기 힘든 순간이 있습니다. 그때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잃은 것을 다시 얻은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어둠과 같은 현실은 빛의 축제로 바뀔 겁니다. 문제는 잃은 것을 다시 얻었다는 사실을 우리가 올곧게 유지하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순식간에 큰 아들의 논리로 돌아갑니다. 이 세상에 길들여지면서 점점 더 강력하게 그런 논리에 사로잡힙니다. 이런 악순환으로부터 우리가 벗어나서 늘 축제의 능력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길은 없을까요?

저는 여러분들에게 성서가 제시하는 길을 대신 전달해드릴 수 있을 뿐입니다. 그 길로 들어서는가 아닌가는 여러분 각자의 몫입니다. 기독교 신앙의 뿌리가 무엇인지 생각하십시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가 잃었던 생명을 찾았다는 사실이 그것입니다. 그 생명은 단순히 잘 먹고 잘 사는 차원이 아니라 부활이며, 영생입니다. 우리에게 약속으로 주어진 그 생명은 이 세상의 그 어떤 사물이나 이념이나 범주로도 존재유비가 불가능한 하나님의 배타적인 구원 사건입니다. 이 사건에 일치될 때 우리의 삶은 축제가 됩니다. 세상이 전혀 새롭게 다가올 것입니다. 동생을 동생으로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 잃었던 것을 다시 얻었으니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습니까? (사순절 넷째 주일, 3월14일)


profile

[레벨:9]참믿음

March 16, 2010
*.70.211.242

목사님 말씀 감사합니다.

첫째아들 유대인, 둘째아들 이방인 표현, 그 의미 새롭게 배웠습니다.

아버지의 뜻은 우리의 뜻과 전혀 다르다. 그뜻이 무엇인지 성서를 통해 깨달아 가는것이

 영성에 들어가는것  같은데 맞는지요? 

 

목사님 개인적으로 궁금한게 많습니다. 신앙의 기본부터 바로 알고 싶습니다.

 여쭤 볼 목사님들 주변에서 찾기 어렵고 (답변역시 좀 일반적이라~),

 

요즘 믿음이 좋다는 분들 자주 하는 얘기는 "기도 하면 하나님께서 다 이루어 주신다

기도 했더니 이렇게 해결 받았다 , 청년들은 배우자 기도를 세밀하게 기도하라

우리자녀는 기도 한대로 하나님께서 세심하게 응답해 주셨다"

 

 한 예를 든겁니다.

목사님 오늘 질문은 기도입니다. 위에 내용은  아시듯이 믿는자들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새벽기도,철야, 기도원 에서  부르짖고 , 한달, 1년 , 또 금식 까지 하기도 합니다

능력 받기 위해서도 그러구요. 

기도의 내용이 문제죠? 하나님은 어떤기도를 원하시는지요?

그리고 하나님의 기도 응답은 무엇입니까? 어떤 방식으로 나타내시는지요?

 

지난  질문에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큰 도움 되었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6, 2010
*.120.170.243

참믿음 님,

정직하고 순수하신 분이라는 걸

대글에서 알 수 있습니다.

요즘 저는 기차여행을 하면서

오스카 쿨만의 <기도>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독일어에서 번역된 책이랍니다.

원제는 <신약성서가 말하는 기도>입니다.

기도를 신약성서에 바탕을 두고 설명하는 책이죠.

공간복음서의 기도, 바울 서신의 기도, 요한복음과 요한서신의 기도, 기타...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

주기도에 관한 이야기가 자세하게 나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기도'는 평생 공부하고 실천해도 다 알기 힘든

기독교인의 영성생활이라는 것입니다.

그걸 제가 무슨 수로 이 시간에 다 말씀드릴 수 있을까요?

간단히 한두 가지만 말씀드리죠.

1) 기도 응답 받기 위해서 소나무 뿌리를 뽑는 식의 기도는

기도가 아니라 자기 욕망의 투사지요.

2) 기도는 응답되지 않을 때가 더 많답니다.

3) 하나님은 우리의 기대와 다르게 응답하신다는 뜻이에요.

4) 결국 우리의 모든 기도에는 응답이 없는 게 없답니다.

5) 우리가 기도하지 않아도 주님은 다 아십니다.

6) 그래도 우리는 기도해야 합니다. 자신의 형편에 따라서요.

7) 매 순간이 영적 호흡이 되면 더 좋구요.

8) 기도에 관한 책을 읽는 게 도움이 되겠군요.

 

profile

[레벨:13]눈사람

March 17, 2010
*.136.37.80

기뻐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마땅한 것을 마땅히 여길 수 있도록

주님께서 인도하시고 지켜주시길 기도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7, 2010
*.120.170.243

눈사람 님의 영적 수행이

나날이 깊어지기를 바랍니다.

축제의 기쁨이 우리 삶에서

활짝 핀 꽃처럼 찬란하기를 바랍니다.

profile

[레벨:4]선비다움

June 02, 2011
*.15.25.90

목사님의 설교를 통해 성서의 사유방식을 배우는 중입니다.

너무 감사드리구요. 여러번 읽고 듣고 가르침을 받았던 말씀이지만

홈런을 치는 메세지인데요.

 

특히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 우리가 관계하고 있는 모든 것들은 잃었다가 다시 얻은 것입니다. 이는 곧 우리의 소유는 아예 없다는 뜻입니다. 피조물에게 소유가 어떻게 가능하겠습니까? 사람이 피조물이라는 성서의 증언을 허투루 듣지 마십시오. 우리 내부에는 존재의 근거가 없습니다. 모든 것이 밖에서 주어진 것들입니다. 모든 것이 은총입니다. 모든 것이 잃었다가 얻은 것들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잔치를 벌이지 않을 수 있을까요”

 

목사님 말씀대로 제가 피조물이라는 사실을

망각하고 살았군요.

그러기에 잃었다가 얻은것은 너무나 당연한 아버지의 인식이고

아버지의 인식이 곧 아들의 은총으로 ,

기쁨의 삶으로 살아가는 능력이 되는군요.

 

목사님, 닦달하지 않아도 스스로 하나님앞에 결단하게 만드는

놀라운 힘을 말씀에서 받고 감사합니다.

불안했던 제 영혼이 빛을 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3130
754 창조절 나오미와 룻 (룻 1:1-18) [10] 2018-11-04 7812
753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855
752 창조절 행위와 믿음 (약 2:1-10, 14-17) [4] 2015-09-06 7888
751 부활절 부활의 증인이란? (행 5:27-32) [9] 2016-04-03 7890
750 사순절 하나님 여호와를 경배하라! (신 26:1-11) [6] 2016-02-14 7898
749 성령강림절 불순종의 역설 (롬 11:1-2a, 29-32) [17] 2014-08-17 7924
748 부활절 죽임 당한 어린 양 (계 5:11-14) [9] 2016-04-10 7928
747 부활절 하나님은 누군가? (벧전 5:6-11) [8] 2017-05-28 7928
746 부활절 성령 임재의 증거 (행 10:44-48) 2018-05-06 7932
745 주현절 금식 (사 58:1-9a) [2] 2017-02-05 7960
744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8022
743 창조절 십자가와 생명 (마 16:21-28) [6] 2017-09-03 8023
742 성령강림절 하늘의 양식 (요 6:35, 41-51) [8] 2015-08-10 8028
741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8033
740 성령강림절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마 14:22-33) [2] 2020-08-09 8080
739 부활절 바울, 부활의 예수를 만나다! (행 9:1-6) [4] 2019-05-05 8097
738 주현절 사랑, 하나님의 존재 방식 [9] 2016-01-31 8123
737 주현절 하늘이 열리고 … (요 1:43-51) [7] 2021-01-17 8145
736 대림절 구원의 바위 (시 89:1-4, 19-26) [4] 2017-12-24 8157
735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 (골 1:1-14 [9] 2016-07-11 8191
734 창조절 자기 의(義)와 하나님의 의 (빌 3:4-14) [2] 2020-10-04 8202
733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양식 (요 6:24:35) file [15] 2015-08-02 8213
732 부활절 예수의 살과 뼈 (눅 24:36-48) [4] 2018-04-15 8228
731 성령강림절 빈 들에서 배불리 먹다 (마 14:13-21) [8] 2017-08-06 8236
730 창조절 용서, 그 불가능한 명령 (마 18:21-35) [9] 2020-09-13 8310
729 창조절 영벌인가, 영생인가! (마 25:31-46) [3] 2020-11-22 8333
728 창조절 고난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11:18-20) [12] 2015-09-20 8336
727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344
726 창조절 생명 완성의 때 (마 25:1-13) [2] 2020-11-08 8359
725 성령강림절 거듭남과 성령 (요 3:1-13) [2] 2018-05-27 8360
724 사순절 영적 시각 장애 (요 9:35-41) [2] 2017-03-26 8375
723 창조절 죽음 넘어! (출 12:1-14) 2017-09-11 8381
722 창조절 예수는 영원한 대제사장이다 (히 5:1-10) [8] 2015-10-18 8388
721 창조절 말씀과 삶의 일치로 인한 복 (약 1:17-27) [4] 2018-09-02 8392
720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눅 3:15-17, 21-22) [4] 2016-01-10 8404
719 창조절 새로운 창조를 기다리며... (사 65:17-25) [4] 2016-11-14 8409
718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37] 2016-06-13 8420
717 주현절 고난 받는 하나님의 종 (사 49:1-7) [4] 2017-01-15 8426
716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 (마 21:33-46) 2017-10-08 8445
715 사순절 고난의 그리스도 (사 50:4-9) [8] 2015-03-29 8470
714 창조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사실 (눅 14:25-33) [15] 2016-09-04 8474
713 주현절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 (막 9:2-9) [4] 2015-02-15 8496
712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다시 오신다!" (살전 5:16-24) [4] 2017-12-17 8524
711 사순절 "내 뒤로 물러가라!" (막 8:31-38) [7] 2018-02-25 8570
710 주현절 변모의 예수, 하나님의 아들 (눅 9:28-36) [3] 2016-02-07 8648
709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664
708 성령강림절 쉼 (마 11:16-19, 25-30) [2] 2020-07-06 8675
707 사순절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고전 1:18-25) [10] 2015-03-08 8688
706 기타 자유의 길, 분열의 길, 2월13일 2005-02-13 8731
705 주현절 예수 부활의 증인들 (고전 15:1-11) [8] 2019-02-12 8754
704 부활절 예수의 평화 (요 14:23-29) [4] 2019-05-26 8756
703 창조절 '주의 날'과 일상 (살전 5:1-11) [4] 2020-11-15 8769
702 성탄절 행위에서 존재로! (갈 4:4-7) [5] 2020-12-27 8779
701 성령강림절 다윗과 예루살렘 성전 [10] 2015-07-19 8783
700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790
699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806
698 주현절 악령과 예수 (막 1:21-28) [2] 2015-02-02 8814
697 사순절 죄의 본질 (창 2:15-17, 3:1-7) [1] 2017-03-05 8819
696 대림절 예수 강림! (살전 3:9-13) [6] 2018-12-02 8909
695 주현절 회개 세례와 성령 세례 (행 19:1-7) [6] 2018-01-07 8927
694 주현절 나사렛 예수와 죄용서 (행 10:34-43) [6] 2017-01-09 8931
693 성령강림절 은혜의 자족성 (고후 12:2-10) [13] 2015-07-05 8933
692 창조절 용서의 능력과 기술 (마 18:21-35) [2] 2017-09-17 8967
691 주현절 태초에 ... (창 1:1-5) [7] 2015-01-11 8973
690 주현절 완전한 사람 (마 5:38-48) [2] 2017-02-19 8996
689 성탄절 종의 삶과 아들의 삶 (갈 4:4-7) [9] 2018-01-01 9016
688 성령강림절 갈곳 없는 사람들 (요 6:56-69) [15] 2015-08-23 9017
687 창조절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한 삶 (빌 1:21-30) [7] 2017-09-24 9036
686 부활절 "위의 것을 찾으라!" (골 3:1-4) [2] 2020-04-12 9038
685 성령강림절 모세와 예수 (출 1:8-2:10) [7] 2014-08-24 9048
684 기타 부활을 증거하는 여인 [1] 2005-03-27 9104
683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9133
682 부활절 예수의 손과 옆구리 (요 20:19-29) [2] 2020-04-19 9135
681 기타 갈릴래아 나자렛 사람, 3월20일 [1] 2005-03-20 9145
680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file [7] 2015-12-06 9168
679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9190
678 창조절 알파와 오메가 (계 1:4-8) [12] 2015-11-22 9195
677 사순절 예수 죽다! (눅 23:26-49) file [7] 2016-03-21 9208
676 주현절 만물의 무상 앞에서 (고전 7:29-31) [12] 2015-01-25 9239
675 기타 영은 바람이다, 2월20일 [2] 2005-02-20 9242
674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2018-12-10 9249
673 기타 나는 야훼다, 2월27일 [1] 2005-02-27 9250
672 대림절 '노래하라!' (습 3:14-20) [2] 2018-12-16 9255
671 기타 바울의 역사인식, 7월31일 [3] 2005-07-31 9263
670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9275
669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 (고전 1:3-9) 2020-11-29 9295
668 창조절 믿음-구원-열림-따름 (막 10:46-52) [6] 2015-10-25 9327
667 부활절 오래된 미래 (행 4:32-35) [4] 2018-04-09 9343
666 사순절 하나님과 화목하라! (고후 5:16-21) [15] 2016-03-06 9358
665 기타 환상와 현실, 2월6일 [1] [2] 2005-02-07 9359
664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9376
663 부활절 믿음과 사랑의 계명 (요일 3:16-24) [5] 2015-04-26 9419
662 성령강림절 예수만이 안식이다 (마 11:16-19, 25-30) [5] 2017-07-10 9442
661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471
660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476
659 기타 내면적 삶이란? [1] [1] 2004-07-02 9505
658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505
657 기타 언어의 집 [1] 2004-07-02 9510
656 기타 야훼가 말씀하시는 통로, 3월6일 [1] 2005-03-07 9529
655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52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