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기타 조회 수 9411 추천 수 32 2004.10.04 00:24:34
성경본문 : 예레미야 8:18-23 
2004. 10.3.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렘 8:18-23

탄식의 이유
우리는 방금 2천6백 년 전 예루살렘에서 예언하던 예레미야의 시(詩)를 읽었습니다. 산문이나 소설 형식의 글을 제대로 읽고 이해하기도 힘든데 시를 정확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더더욱 어렵습니다. 우리가 평소에도 시를 즐겨 읽지 않는 이유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데 있는 것처럼 예언자들에 의해서 기록된 시들도 역시 이런 범주에 속해 있기 때문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예언자들의 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말은 그 예언자들의 영성이 지나치게 깊어서 우리가 도저히 따라잡기 힘든 경우도 있고, 거꾸로 우리의 영성이 말할 수 없이 무뎌서 예언자들의 시와 소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소통불능의 상태를 극복하려면 평소에 우리의 영성이 그만큼 깊어질 수 있도록 영적인 훈련을 하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흡사 모차르트의 음악을 이해하려면 그런 정도의 음악적 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영성을 확보하는 훈련의 한 방법이 예언자들의 시를 정확하게 읽고 이해하고 우리의 삶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뜻에서 오늘 예레미야의 시를 정확하게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그 첫 출발은 예레미야가 탄식하고 있는 이유를 밝히는 작업입니다.
지난 9월 둘째 주일의 설교 본문도 역시 예레미야(렘 2:4-13)서(書)였습니다. 이미 그때 예레미야가 처한 삶의 정황에 대해서 잠시 말씀드렸습니다. 아시리아를 정복하고 신흥 제국으로 부상한 바벨론과 이집트 사이에서 유다 왕들은 이집트와 동맹을 맺었다가 결국 바벨론에 의해서 함락당하고 마는 그 역사적 위기가 바로 이 시의 배경입니다. 오늘 본문의 내용을 보면 위기가 차츰 임박하고 있을 때라기보다는 이미 전쟁의 참화 속으로 빠져버린, 더 나아가서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수많은 인재들이 포로가 되어 바벨론으로 끌려가 버린 이후의 때라고 보아야 합니다. 19절 말씀에 의하면 유다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신음 소리를 냈다고 합니다. “야훼께서 시온에 안 계시는가? 왕 노릇 그만 하시려고 물러나셨는가?” 예레미야 자신도 이런 처참한 상황을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인지, “앞이 캄캄하고 마음은 떨립니다.”(21절)라고 읊습니다.
예레미야가 직면하고 있는 유대의 상황은 백약이 무효가 된 상태였습니다. 바벨론에 의해서 쑥대밭이 된 나라를 앞에 두고 이런 비탄의 시를 지었다는 말입니다. 이는 흡사 우리가 일제에 의해서 식민지가 된 1910년대의 상황과 비슷하거나 아니면 6.25 전쟁으로 인해 남북한이 초토화한 그런 상황과도 비슷합니다. 그는 지금 모든 삶의 토대가 파괴되었고, 모든 희망들이 사라져버린 그 사태를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는 그런 절망의 상황 속에서 탄식하고 있는 예레미야의 시를 읽었습니다.

낯선 텍스트
바로 이 순간, 그러니까 우리와 전혀 다른 상황 속에서 씌어진 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읽는 이 순간 우리에게 적지 않은 딜레마가 있습니다. 예레미야의 이 시가 우리에게 별로 절실하게 다가오지 않는다는 게 바로 그것입니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모든 성경말씀을 늘 절실하게 받아들입니다. 그들이 그만큼 영적으로 예민하기 때문이기도 있지만 말씀을 과장하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습니다. 자기연민이 강한 사람은 티브이에서 나오는 모든 드라마의 주인공을 자기와 동일시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억지도 꾸며낸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그런 시시한 이야기에 빠져들어서 울고불고 합니다. 이렇듯 성경말씀을 과장하거나 아전인수로 해석하는 방식이 ‘알레고리’인데, 이런 방식이 한국교회에는 거의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은 성경말씀을 좀더 객관적 태도를 유지한 채 읽도록 해야 합니다. 설령 그 말씀을 통해서 은혜를 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크게 문제는 안 됩니다. 은혜라는 게 우리의 감정을 일시적으로 감동시키는 것이라기보다는 진리의 영과 생명의 세계에 깊숙이 들어감으로써 자연스럽게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은혜 받는 일에 조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신앙생활을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게 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가능한대로 성령이 주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우리의 의도와 욕망을 제어하라는 말입니다.
다시 질문해 봅시다. 2천6백 년 전 바벨론에 의해서 예루살렘이 함락당한 그 사건이 우리와 무슨 연관이 있습니까? 그런 사건으로 인해서 “앞에 캄캄하고 마음이 떨립니다”는 예레미야의 마음이 우리와 동일시될 수는 도저히 없습니다. 이런 역사적 사건으로 우리의 마음이 떨리기 시작한다면 그건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이거나 자기를 속이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예루살렘의 함락은 예레미야에게만 절실한 문제이지 오늘 우리에게는 전혀 그렇지 못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오늘 우리는 그것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읽었습니다. 아무런 감동도 없이 읽었을지 모릅니다. 대개의 기독교인들이 우리와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다만 하나님의 말씀으로 감동을 받지 않으면 믿음이 없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니까 억지로라도 감동이 있는 것처럼 자기를 몰아갈 뿐입니다. 이게 바로 고대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이 쓴 시와 역사적 증언을 읽는 오늘 우리 기독교인들의 딜레마입니다.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이스라엘의 특별한 역사를 배경으로 한 예레미야의 시를 읽는 우리에게 그런 딜레마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 시의 내면으로 통하는 길을 발견하기만 하면 이 시는 우리에게 오늘도 여전히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예레미야의 생각과 마음에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문제가 무엇일까요? 다른 예언자들도 그렇습니다만 예레미야도 자기 민족의 몰락 앞에서 좌절하거나 슬퍼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그 사건을 분석했습니다. 일종의 역사비평을 통해서 얻은 대답을 시 형식으로 담아낸 것이 바로 오늘 본문입니다. 그는 이렇게 시를 썼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아직도 우상을 섬기며 내 속을 썩여 주느냐? 어찌하여 남의 나라 허수아비를 들여다가 섬기며 내 속을 썩여 주느냐?”(19 후).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즉 여러분의 역사의식은 어디에 근거하고 있습니까? 한 나라가 망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아시리아의 군대에 의해서 망한 북이스라엘, 바벨론의 군대에 의해서 망한 남유다의 모습을 본다면 당연히 군사력이 한 나라의 운명을 결정짓는 요소일 것입니다. 이 말은 옳습니다. 지금 예레미야가 피를 쏟듯이 탄식하고 있는 예루살렘 함락 사건도 역시 바벨론의 막강한 군사력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니까 누구나 그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역사적 경험은 우리에게도 많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침략을 받은 우리의 선조들이 상당한 정도의 군사력을 갖추고 있었을 때는 나를 지킬 수 있었지만 없었을 때는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 만약 이라크가 미군의 최신 무기를 막아낼 만큼의 군사력이 있었다면 저렇게 당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지금도 전 세계 모든 나라는 자기 나라를 지켜내기 위한 군사력 증강에 모든 힘을 쏟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무기 보유 시도를 제가 동의하지는 않지만 자기들의 생존을 위해서 그런 몸부림을 치고 있다는 그 현실만은 인정합니다. 미국과 북한의 싸움이라는 것은 누가보아도 골리앗과 다윗의 경우처럼 결과는 이미 뻔하기 때문에 북한은 늘 벼랑끝 전술을 선택했습니다. 자신들의 생존을 군사력에만 의존하려는 북한체제도 위험하지만, 자기들의 생존에 머무는 게 아니라 다른 나라에 대한 지배권 강화를 위해서 군사비 지출을 세계에서 제일 많이 하는 미국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어쨌든지 큰 나라와 작은 나라 불문하고 모두가 군사력으로 자기 나라를 지켜내려고 끊임없이 경쟁하고 있는 게 바로 오늘 우리의 현실입니다.
그런데 예레미야의 역사분석은 좀 달랐습니다. 다른 예언자들과 마찬가지로 예레미야도 역시 하나님이 역사를 주관하신다고 보았습니다. 만약에 하나님이 역사의 주인이라고 한다면 역사의 모든 문제를 하나님으로부터 바라보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게 당연합니다. 예언자들이 이런 역사적 위기가 있을 때마다 ‘회개하라’고 외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자신들에게 임한 재난과 재앙의 원인이 곧 하나님의 뜻을 거스른 데 있다고 보았다는 것입니다. 회개한다고 해서 그런 재앙이 사라지거나 아니면 아예 그런 재앙이 임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우리가 오늘 야훼 하나님의 뜻을 아무리 철저하게 지킨다고 하더라도 불행한 사건들이 일어나는 것처럼 회개라는 것이 모든 실제적인 문제들을 일소할 수 있는 직접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예언자들이 한결같이 ‘회개하라’고 선포한 이유는 ‘회개’의 의미를 단순히 종교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훨씬 깊은 차원에서 생각했다는 데 있습니다. 즉 종교적 의식(儀式)의 차원이 아니라 영적인 차원이라는 말씀입니다. 이 영은 바로 생명의 근원이라는 점에서 인간 삶의 가장 심층에 놓여 있는 세계입니다. 따라서 오늘 우리는 회개하라는 예언자들의 선포가 담지하고 있는 근원적 의미를 확보하는 게 중요합니다. 오늘 본문에서 예레미야는 그것을 ‘우상’과 ‘허수아비’라고 말합니다.

우상과 허수아비
다시 그 본문을 읽겠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아직도 우상을 섬기며 내 속을 썩여 주느냐? 어찌하여 남의 나라 허수아비를 들여다가 섬기며 내 속을 썩여주느냐?”(19 후).
왜 그들은 우상을 섬겼습니까? 자신들의 신세가 망하게 되었다고 신음 소리를 내면서도 그들은 여전히 우상을 섬겼다는 게 좀 이상합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나는 그들이 우상을 섬기는 일과 예루살렘이 망한 것과는 별로 상관없다고 생각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그들이 우상을 우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예루살렘 사람들의 경우가 어느 쪽에 속하는지 내가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만, 대략적으로 두 가지의 가능성이 모두 포함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의 눈에는 그들의 그런 행동과 생각이 어리석어 보일지 모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은 자기들 나름대로 가장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길을 선택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인 그들이 일부러 하나님의 뜻을 어기고 우상을 섬겼다기보다는 오히려 가장 행복한 길이 바로 거기에 있다는 생각으로 그들은 우상을 섬겼다는 말씀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우상은 무엇일까요? 하나의 작은 예를 들겠습니다. 우리의 중고등 학생들은 좋은 대학에 들어가야 한다는 오직 한 가지의 목표만을 향해서 사육당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우리나라 교육의 이데올로기입니다. 인간의 전인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부분적으로 역설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 한 가지의 목표가 지상명령으로 작동되는 사회가 바로 우리의 모습니다. 그런 것이 곧 우상입니다. 인간이 만든 생산품, 조직, 체계, 문화를 절대화함으로써 인간의 근본적인 삶이 훼손되는 행위가 곧 우상숭배입니다. 물론 좋은 대학에 들어가서 경쟁력을 갖춘 다음에 연봉이 많은 회사에 취직하는 것이 생명을 살리는 길이라는 주장도 일리가 있습니다. 설령 그런 경쟁에서 이긴 사람에게는 생명의 조건들이 보장될지 모르지만 그 결과로 인해서 훨씬 많은 사람들의 삶이 훼손당한다면 우리는 그런 체제가 생명을 살리는 길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예수님 당시에도 안식일에 지체장애자를 고친 예수님의 행위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바리새인들에게는 안식일에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곧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었지만 예수님은 안식일이라 하더라도 생명과 관계된 일을 막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상황만 놓고 본다면 바리새인들에게 율법은 우상이었습니다. 비록 종교적인 법이었지만 그것이 절대화함으로써 더 이상 생명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자신들의 종교적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그런 것은 모두 우상입니다.
예레미야는 그런 우상들은 허수아비라고 진단합니다. 이게 곧 예레미야의 역사의식이었습니다. 무능력한 허수아비를 믿는다면 그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는데도 예루살렘 사람들은 늘 그런 것에 마음을 두고 살았습니다. 그런 사실이 예레미야의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물론 우상숭배를 일소하고 창조자 야훼 하나님만을 바르게 믿고 그런 삶의 내용을 갖춘다고 하더라도 재앙과 불행이 없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그런 범주를 뛰어넘는 일에 대해서 우리는 할말이 없습니다. 다만 그런 일이 없도록 기도할 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레미야 예언자의 호소는 여전히 호소력이 있습니다. 허수아비에 불과한 우상의 실체를 인식하고 참된 생명의 창조자이신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믿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참된 생명을 얻는 길이라는 그 호소 말입니다.
profile

profile

기절초

October 06, 2004
*.208.101.249

자기시대의 허상을 파악한다는 것은 본질에 대한 철저한 감각이 전제되지않으면
가능하지않읍니다.
온전한 삶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
그런 삶이 가능할 수 있다고 전제하기란 불가능하기때문이죠.
이런 맥락에서 우상과 허수아비를 극복한,
본질적으로 하나님을 만나는 체험을 한다는 것은,
그래서 엄청난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힘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 같읍니다.
'만난다'는 이 적접적인 체험, 조지 폭스가 일상으로 경험했던 그 세계는
어떻게 열리는 거죠?
profile

[레벨:100]정용섭

October 07, 2004
*.235.145.20

어떻게 열리는가?
그 길에 대해서 내가 확실하게 알고 있거나,
아니면 알고 있는 것처럼 주장하면
그 순간에 바로 사이비 교주가 되는 겁니다.
그렇다고 해서 아무 것도 인식하는 세계가 없다는 말도 아닙니다.
이런 영성의 세계가 어떻게 열릴까?
시인들이 시의 세계에 어떻게 들어가는지를 비교해서 생각하면 됩니다.
황지우의 시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있을 거다"라는 시집을 읽으셨나요?
존재론적인 인식이 투명하고 투철한 시를 쓰는 사람 같았습니다.
그가 경험한 자신과 주변의 어떤 고유한 세계는
다른 사람에게 설명될 수 없습니다.
그런 세계는 늘 다양한 모습으로 자기를 드러내기 때문에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규정할 수 없습니다.
만약 참된 시라고 한다면
바로 그 시의 세계가
기독교적 영성의 세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원초적 언어의 세계를 모색하는 시와
원초적 생명의 근원을 추구하는 종교는
비슷한 길을 가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열리는가?
왕도는 없습니다.
우연하게 주어지기도 하고
오랜 공부와 구도의 과정을 통해서 주어지도 하겠지요.
다만 약장사 같은 소란스러움에서는 결코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만은 분명합니다.
득음, 득도, 성령충만은 비슷한 경험에 속합니다.
결국 인간을 자유하게 하는 어떤 힘들의 작용이지요.
그런 세계를 경험한 사람이 이 세계를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대해서는
아무도 간섭할 수 없습니다.
비록 폭스가 역사의식이 불투명했다고 하더라도
그 책임을 우리가 물을 수 없습니다.
물론 역사를 철저하게 왜곡하는 경우,
즉 적극적으로 친일에 가담하는 경우라면
그 사람의 예술과 학문과 종교까지 질문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내버려두는 게 낫습니다.
다시, 어떻게 열릴까요?
근본적으로는 그 세계가 열린다기보다는
나를 여는 게 중요합니다.
그게 무얼까?
나를 연다는 게....
어린아이같은 무심의 상태로
이 세계를 직관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철저한 사회과학의 기준으로 세계를 뚫어보야할까요?
모르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범접할 수 없는 큰 세계와 힘이,
때로는 유와 무를 뛰어넘고,
사랑과 미움을 밀쳐내면서 우리의 삶에 개입하는 그런 힘을
우리가 어렴풋이라도 느끼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겠지요.
천천히 그 길을 가다보면
무언가 보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1000
553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 (사 52:7-10) file [4] 2015-12-25 10485
552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눅 23:33-43) [4] 2013-11-24 10494
551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499
550 주현절 하나님은 생명이다! (신 30:15-20) [5] 2014-02-16 10504
549 기타 야곱의 두려움, 7월17일 [4] 2005-07-17 10509
548 대림절 초림과 재림 사이에서 (살전 5:16-24) [6] 2014-12-14 10513
547 부활절 사랑함이 사랑받음이다. (요 14:15-21) [14] 2014-05-25 10515
546 성령강림절 하나님도 생각을 바꾸시는가? [5] 2007-09-23 10542
545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557
544 기타 희망의 눈, 2005. 8.15. [1] [1] 2005-08-14 10570
543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573
542 창조절 예수는 머릿돌이다 (마 21:33-46) [6] 2014-10-06 10573
541 창조절 죽음 이후에 대한 질문 (눅 20:27-38) [26] 2016-11-06 10574
540 기타 요셉의 침묵, 8월7일 [1] 2005-08-07 10579
539 기타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신가? 4월24일 2005-04-24 10588
538 기타 새 하늘과 새 땅 12월4일 [1] 2005-12-04 10603
537 성령강림절 '달리다굼' 말씀하시다 (막 5:21-24, 35-43) [10] 2015-06-28 10625
536 기타 숨어있는 평화의 왕 [7] 2006-04-09 10631
535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마 21:23-32) [6] 2014-09-28 10644
534 성령강림절 전적으로 새로운 세상! [4] 2007-11-25 10647
533 성령강림절 말씀을 수호하라! [9] 2007-10-28 10650
532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657
531 성령강림절 일상의 종말론적 지평 [10] 2007-10-07 10659
530 주현절 상을 받는다는 것 (고전 3:1-9) [8] 2017-02-13 10665
529 주현절 법과 자유 (마 5:13-20) [18] 2014-02-09 10680
528 창조절 '예수 따름'의 문제 (막 10:17-31) [8] 2015-10-11 10692
527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735
526 대림절 그는 목자시다 (사 40:1-11) [2] 2014-12-08 10744
525 성령강림절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 (골 3:1-11) [10] 2013-08-04 10747
524 대림절 물 세례와 불 세례 (마 3:1-12) [5] 2016-12-04 10756
523 창조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살전 4:13-18) [8] 2014-11-09 10759
522 성령강림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4] 2018-06-03 10768
521 대림절 기뻐하고 노래하라! (습 3:14-20) file [10] 2015-12-13 10771
520 주현절 가난한 사람들 [9] 2009-01-25 10778
519 성령강림절 성령 가득한 삶 (엡 5:15-20) [10] 2015-08-16 10779
518 기타 삶과 행위, 7월3일 2005-07-04 10784
517 기타 영에 속한 사람, 5월15일 [3] 2005-05-17 10803
516 기타 민중의 소리와 하나님의 통치 [2] 2006-06-25 10810
515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821
514 주현절 구원의 현실화 (눅 4:14-21) [9] 2019-01-27 10825
513 기타 약속과 순종의 상호성, 6월5일 [1] [2] 2005-06-05 10840
512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846
511 부활절 저 분은 주님이십니다! [8] 2007-04-22 10847
510 기타 믿음의 토대, 1월15일 [3] [1] 2006-01-15 10867
509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878
508 부활절 회개, 세례, 성령 (행 2:36-41) [8] 2014-05-04 10883
507 주현절 복과 화 (눅 6:17-26) [4] 2019-02-17 10884
506 성령강림절 우리는 하나다! [9] 2007-08-12 10889
505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927
504 성령강림절 지혜와 평화 [9] 2009-10-05 10934
503 창조절 끝까지 견디는 자 (마 24:1-14) [5] 2014-11-03 10962
502 창조절 욥의 운명, 욥의 믿음 (욥 1:1, 2:1-10) [14] 2015-10-04 10966
501 기타 생명 상실의 두려움을 넘어서 [2] 2009-01-01 10977
500 대림절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7] 2016-12-11 10985
499 성령강림절 성령의 도우심(롬 8:22-27) [14] 2015-05-24 10989
498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1002
497 성령강림절 하나님과 정의 [6] 2008-09-28 11012
496 성령강림절 정의로운 안식일 [6] 2007-09-02 11057
495 성령강림절 하나님과 계명 [4] 2007-07-22 11073
494 기타 모세의 하나님 경험, 8월29일 [8] [2] 2005-08-28 11087
493 창조절 하나님의 평화, 평화의 하나님 (빌 4:4-9) [15] 2013-11-18 11096
492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113
49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절망 (사 5:1-7) [1] 2013-08-18 11141
490 기타 평화의 은총, 6월26일 [1] 2005-06-26 11187
489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189
488 창조절 서기관과 과부 (막 12:38-44) [14] 2015-11-08 11196
487 대림절 "깨어 있으라!" (막 13:24-37 [5] 2017-12-03 11204
486 성령강림절 기쁨에서 평화까지 [14] 2007-11-18 11216
485 기타 예언 전통 앞에서, 1월19일 2006-01-29 11220
484 창조절 죄의 심연 (딤전 1:12-17) [6] 2013-09-15 11272
483 성령강림절 이스라엘과 브니엘 (창 32:22-31) [12] 2014-08-04 11299
482 창조절 삶과 죽음의 경계 (눅 20:27-38 [8] 2013-11-10 11304
481 창조절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 (출 33:12-23) [4] 2020-10-18 11311
480 창조절 왜 복음인가? (롬 1:8-17) [7] 2017-10-29 11312
479 기타 죄로부터의 해방, 6월19일 [2] 2005-06-20 11325
478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348
477 기타 그리스도의 얼굴의 빛 [5] 2006-02-26 11349
476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2020-12-06 11353
475 대림절 "너는 누구냐?" (요 1:19-28) [4] 2020-12-13 11376
474 성령강림절 교회와 성령 충만 (행 2:1-13) [11] 2017-06-04 11384
473 기타 높은 곳에서의 부르심, 10월2일 2005-10-02 11396
472 부활절 죽임과 살림 (행 5:27-32) [14] 2013-04-07 11450
471 창조절 청함 받은 자와 택함 받은 자 (마 22:1-14) [7] 2017-10-16 11451
470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453
469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457
468 성령강림절 인간화해의 길 [9] 2007-09-16 11464
467 기타 오시는 구원의 하나님, 12월25일 [1] 2005-12-25 11489
466 기타 영혼의 노래, 12월18일 [1] 2005-12-18 11504
465 주현절 "회개하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4] 2017-01-22 11513
464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519
463 주현절 무화과 나무와 하늘 [9] 2009-01-19 11525
462 주현절 하나님 나라와 제자도 (마 4:12-23) [4] 2014-01-26 11529
461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11] 2016-10-23 11546
460 성령강림절 믿음의 위험성 [9] 2008-09-21 11564
459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570
458 기타 하늘나라와 일상, 7월24일 [2] 2005-07-24 11578
457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595
456 사순절 영원한 생수는 예수다! (요 4:5-26) [10] 2014-03-23 11604
455 주현절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다. (출 24:12-18) [14] 2014-03-03 11613
454 기타 금송아지와 야훼의 노, 10월9일 2005-10-09 11620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