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생명의 왕국

사순절 조회 수 15935 추천 수 0 2011.03.13 22:19:19
설교듣기 : mms://wm-001.cafe24.com/dbia/2011/dawp_0313.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10313.wmv 
성경본문 : 로마서 5:12-19 

생명의 왕국

로마서 5:12-19, 사순절 첫째 주일, 2011년 3월13일

 

 

12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13 죄가 율법 있기 전에도 세상에 있었으나 율법이 없었을 때에는 죄를 죄로 여기지 아니하였느니라 14 그러나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까지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아담은 오실 자의 모형이라 15 그러나 이 은사는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 곧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넘쳤느니라 16 또 이 선물은 범죄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과 같지 아니하니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으나 은사는 많은 범죄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에 이름이니라 17 한 사람의 범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그 한 사람을 통하여 왕 노릇 하였은즉 더욱 은혜와 의의 선물을 넘치게 받는 자들은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생명 안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 18 그런즉 한 범죄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른 것 같이 한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렀느니라 19 한 사람이 순종하지 아니함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 된 것 같이 한 사람이 순종하심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되리라

 

 

     로마서는 신약성서 중에서 신학적인 성격이 가장 강한 책입니다. 바울이 로마에 세워진 그리스도교 공동체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사사로운 편지라고 할 수 없습니다. 전체 분량이 16장에 이릅니다. 일종의 그리스도교 변증 논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한 번도 로마에 가본 적이 없습니다. 물론 그는 로마에 가려고 여러 번 시도했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그 시도가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당시에 로마는 유럽의 모든 정치, 문화, 예술, 경제가 집중되어 있던 도시였습니다. 세계 선교의 꿈을 꾸고 있던 바울에게 로마는 반드시 가봐야 할 도시였습니다. 당장 갈 수는 없지만 일단 글로나마 복음을 전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로마서입니다.

     신학적인 성격이 강한 편지인 까닭에 내용이 까다롭습니다. 특히 오늘 설교의 본문으로 읽은 롬 5:12-19절은 더 그렇습니다. 아담과 그리스도를 비교하면서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을 설명합니다. 바울은 12b절에서 인간의 실존을 죄와 죽음으로 규정합니다.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그의 이런 주장은 구약을 그대로 따른 것입니다. 창세기의 선악과 이야기에 따르면 아담과 이브는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선악과를 취했고, 그로 말미암아 죽음의 운명으로 빠져들었다고 합니다. 이런 설명이 너무 교리적이어서 실질적으로 들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죄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어거스틴은 죄를 교만이라고 했고, 아퀴나스는 자기 사랑이라고 했습니다. 불순종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개념이든지 여기서 핵심은 죄로 인해서 하나님과 분리되었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생명의 근원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과의 분리는 곧 생명과의 분리입니다. 생명과의 분리는 죽음입니다. 바울은 이 사실을 12a절에서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여기서 한 사람은 물론 아담입니다.

     아담 때문에 우리가 죄의 후손이 되었고, 결국 죽을 운명에 떨어졌다는 사실을 기분 나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여기서 아담은 자연인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아담은 모든 인류를 대신합니다. 아담 때문에 우리가 죄인이 된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죄의 실존에 떨어져 있습니다. 아담은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그런데 자신은 하나님께 불순종하지 않았고, 교만이나 자기 사랑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요. 그런 생각은 뭔가 모르는 이야기입니다. 지금 제가 이에 대한 증거를 대야할까요? 우리가 얼마나 이기적인지를 생각해보십시오.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이 크게 발전했지만 우리는 여전히 폭력적입니다. 겉으로 드러난 것만이 아니라 속에 숨은 폭력도 대단합니다. 성서는 인간의 죄가 존재론적이라고 가르칩니다. 우리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힘이라는 뜻입니다. 아무리 많은 노력을 기울여도 인간이 죽는다는 것은 바로 이 사실을 가리킵니다. 죄가 없는 어린아이들의 죽음도 역시 죄 때문일까요?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성서기자들도 마땅히 그런 고민을 했습니다. 그들이 내린 대답은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죄가 유전된다고 했습니다. 너무 야비하다거나 무책임한 대답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성서의 중심에서 볼 때 그렇게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더 이상은 우리가 모릅니다.

     이런 문제를 우리가 이해하기 힘든 이유는 죄의 본질을 혼동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실증적인 죄만을 죄라고 생각합니다. 도둑질하거나 남에게 여러 모양으로 피해를 주는 파렴치한 행위를 가리킵니다. 물론 이런 행위를 고치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크게 변합니다. 구약의 율법은 그런 부도덕한 행위들을 바로잡는 규범들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도덕적인 세상이 된다고 해도, 아무리 사회적 안전망이 갖추어진다고 해도 사람은 죽습니다. 죄는 단순히 인간의 파렴치한 행위만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는 말이 됩니다. 이 사실을 바울은 14절에서 이렇게 설명합니다.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까지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율법 이전에도 모든 사람들이 죽었다는 것은 율법이 가리키는 죄와 의의 차원을 훨씬 뛰어넘는 죽음의 힘이 인간을 지배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것이 예수 이전의 인류가 처해진 엄정한 영적 실존이었습니다. 여기서 키워드는 사망의 왕 노릇입니다.

     어떤 이들은 다르게 생각할 겁니다. 사람이 죽는 거야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그것을 죄와 연결시키는 것은 지나치다고 말입니다. 일리가 있는 주장입니다. 사람은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죽습니다. 생물학적으로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걸 그대로 받아들이고 살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성서의 주장과 생물학적인 주장이 서로 충돌하는 대목입니다. 생물학적인 것에만 머문다면 성서의 주장이 이상하게 들릴 겁니다. 성서의 출발점은 다릅니다. 세상을 하나님의 창조물로 봅니다. 그 창조는 아름다운 것이었습니다. 죽음은 그 모든 것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늙어서 죽는 것이 당연한 게 아니라 왜곡된 것입니다. 죄로 인한 왜곡입니다. 이 왜곡은 율법이나 실정법으로 바로잡히지가 않습니다. 인류 역사에서 모든 시도가 실패했습니다. 왜냐하면 근본적으로 생명의 창조주이신 하나님과의 분열이 극복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여기서 전혀 새로운 한 사건을 제시합니다. 죽음을 불러온 죄와 전혀 상관없는 선물을 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은사이며, 은혜이며,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선물입니다.(15절) 이 선물은 범죄한 아담으로 말미암은 것과 전혀 다른 것입니다. 바울은 그 사실을 16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이 선물은 범죄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과 같지 아니하니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으나 은사는 많은 범죄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에 이름이니라.” 약간 복잡하게 들릴 겁니다. 여기서 아담과 예수 그리스도가 대비됩니다. 아담은 예수의 모형입니다. 아담 한 사람으로 인해서 죄가 들어오고 죽음의 심판을 당하게 되었지만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서 많은 죄가 용서받고 의롭다는 인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바울의 설명은 17절에 이어집니다. 아담으로 인해서 사망이 왕 노릇하게 되었지만, 이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생명이 왕 노릇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8절과 19절에서도 비슷한 논리가 계속됩니다. 그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서 인류가 생명을 얻었다는 사실입니다. 죽음의 왕국이 이제 생명의 왕국으로 변한 것입니다.

     여기까지의 설명은 약간 까다롭긴 하지만 그래도 그런대로 따라갈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런 설명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죽음의 왕국이라는 말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죽는다는 게 분명하니까요. 우리가 아무 것도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하니까요. 그런데 생명의 왕국이라는 말은 확 와 닿지 않습니다. 예수를 믿는 우리는 여전히 죽어야 할 운명에 처해졌습니다. 여전히 허무에 굴복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죄의 지배를 받습니다. 죄와 사망의 왕국에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생명이 왕 노릇한다니요. 모순된 주장처럼 들립니다. 이런 모순을 벗어나기 위해서 종교적 열광주의에 떨어지기도 하고, 율법주의에 떨어지고 합니다. 한국교회의 신앙이 얼마나 열광적인지를 아실 겁니다. 마치 구름을 타고 있는 것처럼 살아갑니다. 한국교회의 신앙이 얼마나 율법적인지를 아실 겁니다. 교회에 나가면서 지켜야 할 일이 산더미 같습니다. 성수주일과 십일조가 신앙의 절대적인 기준입니다. 이런 것에 자발적으로, 또는 억지로 맞추면서 만족을 느낍니다. 이것으로 생명의 왕국으로 들어간 것은 아닙니다. 도대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 삶에 생명이 왕 노릇하게 되었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이 질문에 대답하려면 로마서의 중심 주제로 돌아가야 합니다. 바울의 논리는 그 중심으로부터 뻗어나갑니다. 칭의(稱義)가 그것입니다. 더 자세하게 이름을 붙이면 이신칭의(以信稱義), 즉 믿음으로 의롭다고 인정받는다는 뜻입니다. 바울은 롬 1-4장에서 이것을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그걸 전제하고 오늘 본문을 읽어야 합니다. 칭의의 조건은 율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을 믿는 것입니다. 율법의 행위로는 아무도 의로워질 수 없습니다. 의로워진다는 것은 실증적인 차원이 아니라 법적인 차원입니다. 우리는 실제로 의로워질 수 없습니다. 의롭다고 인정을 받을 뿐입니다. 실제로 의로운 분은 예수 그리스도 뿐입니다. 칼뱅은 예수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전가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칭의론에 근거해서 생명의 왕국이라는 말을 보아야 합니다. 우리가 실증적으로 의로운 사람이 아닌 것처럼 지금 실증적으로 생명의 왕국에 들어간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의롭다고 인정하신 것처럼 우리는 그분의 생명 나라에 들어갔다고 인정받은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이 신비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전가된 것, 즉 덧입혀진 것입니다. 우리가 생명과 완전히 일치된 것은 아닙니다. 생명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가 완전히 생명의 빛으로 변화된 것이 아닙니다. 생명의 빛이 우리를 비추고 있을 뿐입니다. 죽음의 위협도 받습니다. 생명과의 완전한 일치, 빛과의 완전한 일치는 종말에 이뤄질 것입니다. 그러나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생명의 왕국에 들어갔다는 사실은 분명합니다. “더욱 은혜와 의의 선물을 넘치게 받는 자들은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생명 안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롬 5:17b)

     바울의 이런 주장은 옳은가요? 옳다면 근거가 충분한가요? 바울은 자기도 잘 모르는 이야기를 그냥 그럴듯하게 한 것일까요? 이런 신앙의 깊은 세계를 말로 설명하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잘 아실 겁니다. 일단의 죄수들이 동굴에 갇혔습니다. 그들은 대를 이어 거기서 살았습니다. 후손들은 자기들이 경험한 동굴이 모든 세계라고 생각했습니다. 어느 날 한 젊은이가 우연하게 동굴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 세계는 전혀 달랐습니다. 모든 게 달랐습니다. 꽃향기와 바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는 동굴로 돌아가서 동굴 밖의 세계를 전했습니다. 아무도 그의 말을 듣지 않았습니다. 동굴 안에서는 동굴 밖의 세계를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원로들은 이 젊은이를 처형했고, 동굴은 옛날 그대로 조용해졌다고 합니다. 바울은 지금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그 생명의 왕국을 경험한 사람입니다. 그의 경험에 동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것을 어떤 신앙적인 규범으로 제시할 수는 없습니다. 교회 생활을 잘하는 것이 그 생명의 왕국에 들어간 것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교회 자체도 생명의 왕국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길은 없습니다. 생명의 왕국에서 주인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그의 통치에 참여한다는 것은 그의 운명과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그의 운명이 무엇인지를 아는 게 여기서 우선적으로 중요합니다. 그의 운명에서 하나님 나라가, 즉 생명의 왕국이 완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운명을 잘 안다고 생각하시겠지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아직도 그의 십자가와 부활을 다 알지 못합니다. 여전히 그것은 하나님이 행하시는 생명 왕국의 비밀입니다. 종말이 와야 다 드러날 생명이 신비입니다.

     지금 여기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은 생명이 왕 노릇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완성될 순간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지금 세상은 여전히 죽음이 왕 노릇하고 있습니다. 그게 어떤 것인지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여러분이 잘 알 것입니다. 자본이 왕처럼 군림합니다. 성공이 최고의 가치가 되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돈벌이의 수단으로 다루고 있고, 자연을 물건 다루듯이 하고 있습니다. 인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가르쳐야 할 학교가 비인간적인 일을 마다하지 않습니다. 교회마저도 세속적인 성장주의에 물들어가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종말론적인 생명의 왕국에 참여하기 원한다면 지금 여기서 반(反)생명, 사이비 생명을 믿음으로 대항하며 살아가십시오. 생명의 주인이신 예수님이 여러분과 함께 하십니다.


profile

[레벨:5]신마적

March 14, 2011
*.50.107.203

정용섭 교수님....

제가 고민하는게 인간의 본성이란 무엇인가...

기독교에서 말하는 죄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등입니다...

얼마전 베리타스에서 한신대학교 명예교수로 계시는 김이곤 교수께서

유전적 원죄에 대해 칼럼을 기고했는데 혹시 보셨나요?

김이곤 교수님은 유전적 원죄론이 초기교회의 오독으로 인한것이라 비판하시지만 결론은

정 교수님과 놀랍도록 같네요 !!!

 

링크입니다

 

http://www.veritas.kr/contents/article/sub_re.html?no=9675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4, 2011
*.120.170.250

신마적 님,

나를 교수라고 부르는 걸 보니

영남신학대학교에서 내 수업을 들은 분인 것 같소.

반갑소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구약학자이신 김이곤 교수님의 글이

바로 저 위 내 설교 주제와 똑같소이다.

신마적 덕분에 좋은 글을 읽을 수 있었소.

김이곤 교수님의 글이 말하려는 핵심은

창 3장의 타락설화를 원죄의 유전이라는 관점을 읽지 말고

죄의 위협적이고 전염적인 관점으로 읽으라는 것이구료.

창 3장과 롬 5장을 교회가,

특히 어거스틴 같은 사람이 잘못 해석해서

결국 인간을 죄의 숙명으로 몰아넣는 원죄 개념이 파생되었다는 분석이오.

전체적으로 옳은 말씀이기는 하지만

원죄 개념 자체가 김이곤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그런 성격이니까

기독교 교리가 잘못된 것이라고 말할 필요는 없어요.

즉 죄가 유전된다는 교리를

죄 숙명주의로 깎아내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오.

죄의 존재론적 능력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인간의 삶에 죄가 극단적으로, 보편적으로 개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유전되는 원죄 개념으로 설명한 것 뿐이기 때문이오.  

사족으로,

조직신학에서는 이런 문제를 쉽게 정리하는 데 반해서

성서학에서는 빙빙 돌다가 결국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구료. ㅎㅎ

 

 

 

 

profile

[레벨:14]저별과 달

March 18, 2011
*.115.210.196

(다른 길은 없습니다. 생명의 왕국에서 주인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그의 통치에 참여한다는 것은 그의 운명과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그의 운명이 무엇인지를 아는 게 여기서 우선적으로 중요합니다. 그의 운명에서 하나님 나라가, 즉 생명의 왕국이 완성되었기 때문입니다)

 

목사님, 이 말씀이 저의 심령에 깊이 와 닿습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바울이 예수를 통하여 깨달은 하나님나라, 생명의 왕국, 그의 운명,또한 우리의 운명 등이

 마냥 궁금 하기도 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 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8, 2011
*.120.170.250

별과달 님,

바울이 경험한 예수의 하나님 나라, 칭의, 구원이 무엇인지 궁금하지요?

나도 그렇습니다.

2천년 전 예수 사건이 어떻게 지금 우리에게 궁극적인 사건이 될 수 있는지,

그것을 따라가기가 그렇게 간단한 게 아닙니다.

이론적으로는 다 알아도

현실로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것을 알려면 초기 그리스도교의 고유한 신앙의 세계만이 아니라

구약의 전체 구원역사도 쭉 뚫고 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그런 쪽으로 생각하기를 귀찮아 합니다.

그냥 예수 믿고 구원받는다는 사실에 열광적으로 매달릴 뿐이에요.

마치 삶의 근본이 무엇인지 성찰하지 않고

무조건 아파트 평수 늘리고 연봉 올리는 것에 집착하는 것과 비슷한 거지요.

좋은 주말을 맞으세요.

profile

[레벨:13]진인택

March 31, 2011
*.239.93.193

반갑습니다. 목사님 아직도 사진뒤의 나무와 산들은 가을내지 겨울 인것 같네요.

죄스런 죽음은 모르고 죽는 것인 것 같습니다. 사도 바울이 우리에게 소개해주신 선물이 죽음과 생명이 안도의 균형을 이루게 하엿습니다. 그리고  죽음뒤의 생명이 더욱더 내게 새로움과 설레임을 느끼게 합니다. 내 죄의 삯이 들어와서 나감을 확인함이 구원의 확신임을 다시 한번 알 수 있습니다. 말씀을 듣고 깨달아 감에 따라 말씀이 생명의 빛이란 것을 깨닫게 됩니다. 내 죄를 대속해 주신 예수님, 생명의 왕국통치에 늘 들어가 있습니다. 목사님의 말씀에 더욱더 새로와 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0651
553 창조절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신다! (빌 4:4-9) [9] 2016-11-20 10463
552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눅 23:33-43) [4] 2013-11-24 10465
551 주현절 하나님은 생명이다! (신 30:15-20) [5] 2014-02-16 10479
550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480
549 대림절 초림과 재림 사이에서 (살전 5:16-24) [6] 2014-12-14 10481
548 기타 야곱의 두려움, 7월17일 [4] 2005-07-17 10489
547 부활절 사랑함이 사랑받음이다. (요 14:15-21) [14] 2014-05-25 10489
546 성령강림절 하나님도 생각을 바꾸시는가? [5] 2007-09-23 10529
545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539
544 기타 희망의 눈, 2005. 8.15. [1] [1] 2005-08-14 10551
543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553
542 창조절 예수는 머릿돌이다 (마 21:33-46) [6] 2014-10-06 10558
541 기타 요셉의 침묵, 8월7일 [1] 2005-08-07 10561
540 창조절 죽음 이후에 대한 질문 (눅 20:27-38) [26] 2016-11-06 10561
539 기타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신가? 4월24일 2005-04-24 10570
538 기타 새 하늘과 새 땅 12월4일 [1] 2005-12-04 10591
537 기타 숨어있는 평화의 왕 [7] 2006-04-09 10612
536 성령강림절 '달리다굼' 말씀하시다 (막 5:21-24, 35-43) [10] 2015-06-28 10616
535 성령강림절 전적으로 새로운 세상! [4] 2007-11-25 10628
534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마 21:23-32) [6] 2014-09-28 10629
533 성령강림절 말씀을 수호하라! [9] 2007-10-28 10636
532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643
531 성령강림절 일상의 종말론적 지평 [10] 2007-10-07 10646
530 주현절 상을 받는다는 것 (고전 3:1-9) [8] 2017-02-13 10648
529 주현절 법과 자유 (마 5:13-20) [18] 2014-02-09 10651
528 창조절 '예수 따름'의 문제 (막 10:17-31) [8] 2015-10-11 10678
527 대림절 그는 목자시다 (사 40:1-11) [2] 2014-12-08 10703
526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712
525 대림절 물 세례와 불 세례 (마 3:1-12) [5] 2016-12-04 10717
524 성령강림절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 (골 3:1-11) [10] 2013-08-04 10725
523 대림절 기뻐하고 노래하라! (습 3:14-20) file [10] 2015-12-13 10734
522 창조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살전 4:13-18) [8] 2014-11-09 10745
521 성령강림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4] 2018-06-03 10753
520 성령강림절 성령 가득한 삶 (엡 5:15-20) [10] 2015-08-16 10764
519 주현절 가난한 사람들 [9] 2009-01-25 10767
518 기타 삶과 행위, 7월3일 2005-07-04 10774
517 기타 민중의 소리와 하나님의 통치 [2] 2006-06-25 10779
516 기타 영에 속한 사람, 5월15일 [3] 2005-05-17 10787
515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794
514 주현절 구원의 현실화 (눅 4:14-21) [9] 2019-01-27 10807
513 기타 약속과 순종의 상호성, 6월5일 [1] [2] 2005-06-05 10822
512 부활절 저 분은 주님이십니다! [8] 2007-04-22 10831
511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837
510 기타 믿음의 토대, 1월15일 [3] [1] 2006-01-15 10849
509 부활절 회개, 세례, 성령 (행 2:36-41) [8] 2014-05-04 10860
508 주현절 복과 화 (눅 6:17-26) [4] 2019-02-17 10862
507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872
506 성령강림절 우리는 하나다! [9] 2007-08-12 10874
505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907
504 성령강림절 지혜와 평화 [9] 2009-10-05 10920
503 창조절 끝까지 견디는 자 (마 24:1-14) [5] 2014-11-03 10947
502 창조절 욥의 운명, 욥의 믿음 (욥 1:1, 2:1-10) [14] 2015-10-04 10950
501 기타 생명 상실의 두려움을 넘어서 [2] 2009-01-01 10952
500 대림절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7] 2016-12-11 10956
499 성령강림절 성령의 도우심(롬 8:22-27) [14] 2015-05-24 10979
498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0985
497 성령강림절 하나님과 정의 [6] 2008-09-28 10998
496 성령강림절 정의로운 안식일 [6] 2007-09-02 11044
495 성령강림절 하나님과 계명 [4] 2007-07-22 11059
494 창조절 하나님의 평화, 평화의 하나님 (빌 4:4-9) [15] 2013-11-18 11069
493 기타 모세의 하나님 경험, 8월29일 [8] [2] 2005-08-28 11074
492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098
49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절망 (사 5:1-7) [1] 2013-08-18 11118
490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166
489 기타 평화의 은총, 6월26일 [1] 2005-06-26 11172
488 대림절 "깨어 있으라!" (막 13:24-37 [5] 2017-12-03 11172
487 창조절 서기관과 과부 (막 12:38-44) [14] 2015-11-08 11182
486 기타 예언 전통 앞에서, 1월19일 2006-01-29 11195
485 성령강림절 기쁨에서 평화까지 [14] 2007-11-18 11201
484 창조절 죄의 심연 (딤전 1:12-17) [6] 2013-09-15 11247
483 성령강림절 이스라엘과 브니엘 (창 32:22-31) [12] 2014-08-04 11262
482 창조절 삶과 죽음의 경계 (눅 20:27-38 [8] 2013-11-10 11281
481 창조절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 (출 33:12-23) [4] 2020-10-18 11292
480 창조절 왜 복음인가? (롬 1:8-17) [7] 2017-10-29 11300
479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2020-12-06 11302
478 기타 죄로부터의 해방, 6월19일 [2] 2005-06-20 11312
477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322
476 대림절 "너는 누구냐?" (요 1:19-28) [4] 2020-12-13 11326
475 기타 그리스도의 얼굴의 빛 [5] 2006-02-26 11330
474 성령강림절 교회와 성령 충만 (행 2:1-13) [11] 2017-06-04 11359
473 기타 높은 곳에서의 부르심, 10월2일 2005-10-02 11376
472 부활절 죽임과 살림 (행 5:27-32) [14] 2013-04-07 11424
471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435
470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437
469 창조절 청함 받은 자와 택함 받은 자 (마 22:1-14) [7] 2017-10-16 11437
468 성령강림절 인간화해의 길 [9] 2007-09-16 11445
467 기타 오시는 구원의 하나님, 12월25일 [1] 2005-12-25 11470
466 기타 영혼의 노래, 12월18일 [1] 2005-12-18 11488
465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496
464 주현절 "회개하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4] 2017-01-22 11496
463 주현절 무화과 나무와 하늘 [9] 2009-01-19 11508
462 주현절 하나님 나라와 제자도 (마 4:12-23) [4] 2014-01-26 11509
461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11] 2016-10-23 11528
460 성령강림절 믿음의 위험성 [9] 2008-09-21 11554
459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557
458 기타 하늘나라와 일상, 7월24일 [2] 2005-07-24 11563
457 사순절 영원한 생수는 예수다! (요 4:5-26) [10] 2014-03-23 11580
456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587
455 주현절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다. (출 24:12-18) [14] 2014-03-03 11591
454 기타 금송아지와 야훼의 노, 10월9일 2005-10-09 11604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