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2

만나가 멎는 날

사순절 조회 수 12503 추천 수 84 2007.03.18 15:44:05
성경본문 : 여호수아 5:10-12 
mms://wm-001.cafe24.com/dbia/070318.mp32007.03.18. 수 5:10-12
만나가 멎는 날

요단강을 건넌 후
오늘 본문의 역사적 배경은 요단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지금 이스라엘은 요단강을 건넌 직후입니다. 요단강 이전과 이후는 전혀 다른 상황입니다. 우리가 장례식 때 자주 부르는 찬송가 “요단강 건너가 만나리.”가 바로 이 대목을 가리킵니다. 고대 이스라엘은 이집트를 빠져나와서 광야에서 40년 동안 유목생활을 하다가 요단강을 건넜습니다. 요단강을 건넌 사건은 마치 홍해를 건넌 것과 비슷합니다. 홍해 사건은 이집트로부터의 완전한 탈출을 의미한다면, 요단강은 광야로부터의 완전한 탈출을 의미합니다. 홍해는 모세의 지팡이가 물을 칠 때 갈라졌으며, 요단강은 언약궤를 멘 사람들의 발이 물이 닿자 갈라졌습니다. 홍해를 건넌 이스라엘 사람들 앞에는 광야가 놓여 있었다면, 요단강을 건넌 그들에게는 가나안이 기다렸습니다. 그들은 이집트 시대로부터 홍해를 거쳐서 광야 시대로 돌입했고, 요단강을 거쳐 가나안 시대로 돌입했습니다.
요단강을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여호수아는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된 할례를 베풀었습니다. 여호수아 5:2절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를 나올 때 군인 연령층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모두 광야에서 죽었고, 광야에서는 할례를 베풀지 못했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군인 연령층이라고 한다면 대략 18세 이상을 가리키겠지요. 요단강을 건너 길갈에 집결한 이들은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하면 모두 대략 50살 아래입니다. 그들은 이집트 정신에서 자유로운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순전히 광야에서 새로운 정신으로 무장한 사람들입니다. 이집트 정신으로는 가나안으로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이는 마치 우리의 역사를 보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식민지 역사관에 젖어 있는 사람들은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한민족의 새로운 시대에 들어갈 수 없겠지요. 냉전의 사고방식에 물들어 있는 사람은 남북평화와 세계평화의 시대를 끌어갈 수 없겠지요. 가부장적 질서에 묶여 있는 사람들은 남녀평등과 상호적 질서를 받아들일 수 없겠지요. 요단강을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새로운 정신으로 앞으로 열어가야 할 가나안 시대를 준비했습니다.
그들이 광야에서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 땅에 발을 디뎠다는 것은 아주 시급한 상황에 직면했다는 의미입니다. 광야는 딱히 주인이 없는 땅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전입신고를 하지 않아도 아무데나 텐트를 치고 살면 됐습니다. 그러나 가나안은 이미 주인이 버티고 선 땅입니다. 주인이 땅을 나눠주지 않는다면 싸워서 빼앗을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의 시각으로 본다면 이스라엘 민족은 강도떼와 비슷합니다. 4백 년 동안 이집트에서 살다가 이제 와서 가나안 땅을 하나님이 자신들에게 약속으로 준 땅이라고 우기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3천 년 전이라는 고대사회를 염두에 두고 이 말씀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의미의 국가는 없었습니다. 국경도 없었습니다. 씨족과 부족들이 서로 더불어서 경쟁하면서 살았습니다. 가나안에도 그런 부족들이 많았습니다. 이제 그 싸움판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끼어든 것입니다. 이제 그들은 여리고와 아이 성을 공격해야만 했습니다. 만약 성공하면 가나안에서 한 자리를 마련할 수 있겠지만, 실패하는 날이면 그들은 완전히 끝장입니다. 그들은 지금 백척간두(百尺竿頭)에 올라선 것과 같은 상황에 처했습니다.

누룩 안 든 빵
이런 위기의 순간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무언가 결연한 의지를 보여야 합니다. 그런데 성서기자는 약간 맥 빠지게 하는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본문의 10절 말씀은 이렇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길갈에 진을 쳤다. 그리고 그 달 십사일 저녁때에 예리고 평야에서 과월절을 지켰다.” 이 긴박한 시기에 왜 과월절을 지켰을까요? 도대체 과월절이 무엇입니까?
과월절, 혹은 유월절이라고 불리는 이 절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엑서더스와 연관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을 데리고 광야로 나가서 야훼 하나님께 예배를 드려야겠다는 모세의 요청을 거절하던 파라오에게 하나님이 열 번째의 마지막 재앙을 내리셨습니다. 죽음의 천사가 이집트를 휩쓸면서 모든 가정의 장자와 집짐승의 맏배를 죽입니다. 그러나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른 이스라엘 사람들의 집에는 이런 재앙이 지나갔습니다. 지나갔다(pass over)는 뜻으로 유월절이라고 부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기본적인 신앙은 바로 죽음이 “지나갔다.”는 사실에 놓여 있습니다. 홍해가 갈라진 것도 역시 죽음이 지나갔다는 의미이고, 요단강 사건도 역시 그렇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의 달력으로 첫 달인 니산월 십사일 저녁때 유월절 의식을 거행했습니다. 니산월을 오늘의 태양력으로 바꾸면 3-4월입니다. 우리의 전통적인 절기로 본다면 정월 대보름입니다. 오늘 장면을 상상해보십시오. 그들은 정처 없이 떠돌던 광야 40년 생활을 겨우 버텨냈습니다. 함께 이집트를 탈출했던 어른들은 모두 세상을 떴습니다. 앞으로 가나안에서 어떻게 터를 잡고 사는가 하는 문제로 여전히 마음이 불안합니다. 정월 대보름의 달빛을 받으며 그들은 40전 전 엑서더스 사건을 기억하면서 유월절 의식을 행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마음이 무엇에 사로잡혔을지 우리는 충분히 상상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은 밤을 가장 환히 밝혀줍니다. 교교한 달빛 아래서 그들은 하나님이 죽음과 같은 상황에서도 자신들의 생명을 지켜주신다는 사실을 깊이 깨달을 수 있었겠지요.
유월절의 유래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출애굽기 12장에 따르면 이집트를 떠나기 전날 밤 이들은 불에 구운 양고기와 “누룩 없는 빵과 쓴 나물”을 먹었습니다. 이런 전통에 따라서 오늘 본문의 유월절 의식에서도 이들은 누룩 안 든 떡과 볶은 곡식을 먹었습니다. 이들이 유월절 다음날 이것을 먹었다는 본문의 설명은 약간 이상해보입니다. 이런 설명은 누룩 안 든 빵을 먹은 것이 유월절 의식과 관계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관계가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오랜 역사 과정을 통해서 전승된 것이고, 여러 번에 걸쳐서 개작된 것이기 때문에 그 표현이 아주 포괄적입니다. 이 말은 곧 이런 진술에 유월절 의식과 추수감사 축제 사건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루되었다는 뜻입니다. 모든 나라의 절기가 그렇듯이 이스라엘의 유월절도 기본적으로는 엑서더스라는 정치, 종교적 사건이지만 가나안의 농경문화와 깊숙이 연결됩니다. 그런 복합적인 역사배경이 11절에 모두 담겨 있습니다. 어쨌든지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맞은 니산월 십사일에 첫 유월절을 지켰으며, 그들이 누룩 안 든 빵을 먹었다는 것입니다.
누룩 없는 빵은 우리의 꽁보리밥이나 개떡과 같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유월절 때마다 이것을 먹습니다. 그 빵은 가장 질이 나쁜 먹을거리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최고의 먹을거리이기도 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최악이지만 실제로는 최고입니다. 참으로 신기한 일입니다. 어떻게 최저가 최고일까요? 그게 바로 성서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가장 중요한 신앙입니다. 그게 오늘 우리가 배워야 할 영성이기도 합니다.
유월절은 이스라엘이 이집트의 생활을 끝내고 광야로 들어서야 할 바로 그 순간에 하나님이 자신들의 생명을 지켜주셨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절기입니다. 그때 그들이 누룩 없는 빵을 먹었다는 것은 생명이 오직 하나님으로부터만 주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신앙고백입니다. 그들은 이제 광야로 들어서야 합니다. 더 이상 먹을 게 정기적으로 공급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최소한으로 먹고 사는 법을 배워야하겠지요. 그게 바로 누룩 없는 빵입니다.
구약성서 이야기를 조금 알고 있는 분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누룩 없는 빵이 아니라 만나를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겁니다. 만나는 달착지근한 맛을 가진 꽃씨입니다. 그들이 광야생활을 하는 동안 매일 아침 만나가 광야에 떨어졌습니다. 성서가 그렇게 기록하고 있지만 그들이 반드시 만나만 먹었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들은 아마 야생에서 나는 모든 것을 먹었을 겁니다. 행상꾼들을 만나면 이집트에서 갖고 나온 돈이나 패물을 주고 먹을거리를 사먹기도 했겠지요. 그러나 그런 것들은 모두 임시조치에 불과했습니다. 늘 먹을거리가 없었습니다. 광야에서 그들이 먹은 만나는 누룩 없는 빵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먹을거리입니다. 이것을 하나님이 채워주셨습니다. 그렇습니다. 만나와 누룩 없는 빵은 생명을 보장하는 하나님의 은총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은총이 긷든 빵! 이것보다 더 풍요로운 식탁은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오늘 우리는 이런 식탁을 모두 상실한 채 살아갑니다. 지금처럼 자신의 소유와 자신의 업적에 매달려서 살아가는 한 우리는 결코 가장 낮은 것, 가장 작은 것, 가장 어려운 형편에서도 존재론적으로 최고인 하나님의 은총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누룩 넣지 않은 빵이 바로 생명이라는 사실을 알아야겠지요. 생명, 생존의 차원에서는 가장 먹기 불편한 이런 빵이 최고의 먹을거리라는 영적이고 실제적인 차원을 알아야겠지요. 그게 신앙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런 신앙교육을 위해서 유월절을 지켰습니다. 매년 유월절 때마다 그들은 누룩 없는 빵을 씹으며 고된 세월에서 자신들의 생존을 지켜주신 하나님의 은총을 기억했습니다.  

유월절 식탁과 성만찬    
예수님도 유월절 의식을 지키셨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과 나누신 마지막 만찬이 곧 유월절 식사였습니다. 예수님은 빵과 포도주를 제자들에게 주시면서 그것을 자신의 몸과 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의식이 오늘 우리에게는 성만찬입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의식은 예수님을 통해서 초기 기독교에게, 그리고 우리에게까지 이어집니다. “지나갔다.”는 유월절의 의미는 오늘 우리 기독교인들에게도 똑같습니다. 예수님의 몸과 피를 통해서 우리에게 죽음이 지나갔습니다. 우리의 육체가 죽는 건 분명하지만 다른 생명으로 우리는 삽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죽음이 “지나갔습니다.” 유월절이 죽음으로부터 건짐 받은 것에 대한 의식인 것처럼 성만찬도 역시 그렇습니다. 유월절이 죽음과 삶의 경계에 직면하는 의식인 것처럼 성만찬도 역시 예수님의 사건을 통한 죽음과 삶에 직면하는 의식입니다.
여러분, 빵과 포도주가 예수님의 살과 피라는 게 무슨 뜻인지 깊이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예수님을 하나님이라고 믿는 사람들입니다. 성만찬의 빵이 예수님의 살이라고 한다면 빵이 곧 하나님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누룩 없는 빵, 꽁보리밥, 개떡은 바로 하나님입니다. 빵이라는 물질 자체가 하나님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밥이 곧 하나님의 은총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은 은총으로 존재하시는 분이십니다. 그렇다면 그 은총이 임하는 빵이 곧 하나님의 존재론이기도 합니다. 성만찬은 예수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의식입니다. 그렇습니다. 빵을 먹는다는 건 곧 하나님을 먹는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저의 설명이 이상하게 들리시는 분들을 위해서 물리학적인 예를 하나 들어야겠군요. 우리가 먹는 밥이 어디서 왔습니까? 태양 빛과 탄소와 물이 물리 작용을 일으켜 벼가 자라고 쌀이 생겼습니다. 그 쌀은 다시 물과 결합하고 열을 받아서 밥이 됩니다. 이런 차원에서 본다면 우리가 밥을 먹는다는 것은 곧 태양을 먹는다는 것과 다를 게 하나도 없습니다. 생각해보면 참으로 엄청난 사건입니다. 이 말은 곧 우리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서만 생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것의 종교적인 상징이 곧 유월절과 성만찬 식탁입니다.

가나안 땅의 소출
유월절 의식을 설명하는 오늘 본문에서 강조되고 있는 단어는 “먹었다.”입니다. 11,12절에서 반복해서 나옵니다. 특히 가나안 땅의 소출을 먹은 게 중요합니다. 그게 바로 성서기자의 주된 관심이었습니다. 가나안 땅의 소출을 먹게 되자 만나는 그쳤습니다. 만나는 일종의 ‘패스트후드’와 같습니다. 그것은 임시방편의 음식입니다. 그러나 그것도 생존의 차원에서 하나님의 엄청난 은총이었습니다. 그러나 가나안의 소출 앞에서 그것은 더 이상 필요 없습니다.
지금 우리는 광야의 만나를 먹고 사는 중입니다. 언젠가 만나는 멎습니다. 영원한 양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만나가 멎는 날, 영원한 양식의 실체가 공개될 것입니다. 아직은 하나님의 비밀입니다. 대신 지금 우리는 예수님을 통해서 그 영원한 양식을 미리 당겨서 먹고 사는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이 우리의 참된 양식이고 음료입니다. 이런 영적인 맛을 아는 사람은 광야의 만나를 먹으면서도 이미 참된 생명의 양식에 참여한 사람들입니다. 여러분이 바로 그런 사람들입니다.  

profile

[레벨:3]수우

March 19, 2007
*.9.84.15

설교가 안 들려요
profile

[레벨:24]임마누엘

March 19, 2007
*.67.140.208

아이가 처음부터 끝까지 우는군요...
그런데도 끝까지 흔들림 없이 설교 할 수 있는건..
참 대단한 거 같아요...^^

강도 때..라는 부분에서..잠시 흠짓 놀랐습니다...
한번도 그렇게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profile

[레벨:23]브니엘남

March 19, 2007
*.236.180.63

만나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방황할 때 하늘에서 내려온 양식이었습니다. 만나는 먹는 사람이 얻기 위해 수고할 필요가 없는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선민에게 주시는 하늘에 속한 양식이신 그리스도를 예표합니다(요 6:31-35).

그러나 약속된 땅의 소산은 하나님의 선민이 가나안에서 싸울 때 하나님께서 주신 양식이었습니다. 이 양식 또한 하나님께서 주신 생명의 양식이신 그리스도를 예표하며, 그들은 그것을 얻기 위해 수고해야 했습니다. 이 음식은 오직 하나님과 동역을 통한 농사에서 나왔습니다.

좋은 땅,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의 소산물로 예표되는 단계의 생명의 양식이신 그리스도는 만나로 예표되시는 그리스도 보다 더 깊고 풍성하고 충만합니다. 요한복음 6장에서는 우리를 먹이기 위해 하블로부터 내려오신 만나이신 그리스도를 말하지만, 서신서에서는 그리스도는 더 이상 만나가 아니라 좋은 땅,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의 소산물로 예표되는 단계의 생명의 양식이신 그리스도를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히브리서의 단단한 식물이십니다(히 5:12). 그 땅의 소산은 훨씬 더 크고 풍성하고 충만하였습니다.

이 양식은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동역을 통하여 얻어집니다.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동역을 통하여 얻어지는 양식은 젖과 같이 값없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고하여야 얻어질 것입니다.

우리가 어린 아이일 때는 젖이나 만나를 먹지만 자라서는 수고의 열매인 단단한 식물을 먹어야 합니다.

우리의 생명의 양식이신 주님은 만나이시고 젖이시고 단단한 식물이십니다. 우리는 만나이시고 젖이시고 단단한 식물이시 되시는 우리의 생명의 양식이신 그리스도를 먹어(요 6:57) 생명 안에서 성장하고 성숙해야 합니다. 이것이 요 5:57절의 "나를 먹는 그 사람은 나로 인하여 살리라"는 뜻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새 예루살렘에서 가서는 우리의 영원한 양식이신 생명 나무의 열매를 먹을 것입니다(계 22:2).

그날을 사모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9, 2007
*.150.14.164

수우 님,
설교듣기가 안 되는 건
나도 마찬가지에요.
이길용 박사 왈,
그런 컴퓨터 문제라고 하네요.
위의 설교듣기는 이 박사가 올려주었어요.
지금 나는 다른 일로 바빠서
인터넷, 컴퓨터 기술을 배울 시간이 없네요.
그리고 그런 쪽으로 감각도 무디구요.
더 쉽게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기도하고 있답니다.
감사.
profile

[레벨:23]브니엘남

March 19, 2007
*.236.180.63

위에 설교 듣기를 클릭하니 듣깁니다
profile

[레벨:11]가을소풍

March 21, 2007
*.121.220.125

눈으로만 들르다가 처음 글 남깁니다.
한 수저의 밥에 담긴 하나님의 은총, 마음에 남습니다.
물리적인 은혜와 함께, 한그릇의 밥이 따뜻하게 차려져서 일상적으로 내 상 위에 오르기까지는
이 세상의 모든 노동과 수고, 그리고 관계와 맺음들이
오묘한 섭리속에서 작용해야만 가능하단 걸 생각할 때마다
한수저의 밥을 입에 넣을 자격에 대해 묵상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감사의 묵상이
나에게 있어서는 때때로 사회적 존재로서의 능동적 생산성을 저해하기도 한다는 점이죠.
뭔 말이냐, 목사님께서 말한 거친 먹거리, 가장 질이 낮은 삶의 조건을 선택하고픈
유혹에 시달리기도 한단 말입니다.
(게으름에 대한 변명도 수준급이죠?
사실은 은혜 받음과 사회적 성취의 동기 부여를 동일시하는 수많은 설교들에 대한
일종의 알레르기 반응이기도 합니다.)
설교 말씀과 별 상관 없는 글이지만 먹고 사는 일과 은혜를 기억하는 자세와의
'평화로운 동행'에 대해 생각하며 인사삼아 올립니다.
좋은 말씀 주시는 목사님께 감사드리며....

profile

[레벨:3]코람데오

March 22, 2007
*.109.125.151

설교의 내용이 본질은 비켜나가고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특히.
유월절 식탁과 성만찬 부분에서도 주님을 먹고 마신다의 의미를
"우리 육신의 생존"문제와 결부 시키는 부분에서는 할말을 잃어 버리게
됩니다..

유월절의 정신이 우리육신의 생존을 위해서 태양을 통해 곡식을 자라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총이라는 식의 결론은 참으로 당황스러운 느낌입니다.

요한복음 6장 말씀과는 너무 거리가 먼 해석이 아닐까?생각 합니다.
신약성경의 저자들중 누구도 유월절의 규례와 만나와 성만찬에 관해
이런식으로 해석하는 경우를 본적이 없습이다..
profile

[레벨:28]첫날처럼

March 23, 2007
*.104.195.210

어떻게 위의 설교가 코람데오님처럼 이해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설교를 끝까지 다 안읽어보셨나요?
profile

[레벨:28]첫날처럼

March 23, 2007
*.104.201.179

육적, 자연적 사건과 영적인 진리의 묘한 오버랩이 느껴지는데요, 저는...
profile

[레벨:3]코람데오

March 23, 2007
*.109.125.151

첫날처럼님의 글을읽고 모사님 설교 다시 읽고 묵상 하였습니다.
첫날처럼님의 말씀 잘 이해가됩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자연적 사건과 영적인 진리의 절묘한 오버랩이 본래 의도와는
달리 육적인 쪽으로 치우져 이해되어버릴지 쬐금 염려되긴 하구요^^

예수를 먹고마시는 의미가 말씀이신 예수그리스도인 요한복음의주제와 관련되어
조금 더 강조 되었으면 하는게 제 바람 입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28]첫날처럼

March 23, 2007
*.85.66.79

잘 알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0105
752 기타 사도 바울의 자유 [2] 2006-02-05 13725
751 성령강림절 악령으로부터의 해방 (눅 8:26-39) [15] 2013-06-24 13673
750 기타 거룩한 두려움, 7월9일 2006-07-09 13630
749 성령강림절 에서와 야곱 이야기 (창 25:19-34) [4] 2020-07-12 13598
748 창조절 헛되고 무익한 것 (렘 2:4-13) [16] 2013-09-01 13595
747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578
746 창조절 예레미야의 눈물 (렘 8:18-9:1) [8] 2013-09-22 13574
745 성령강림절 생명의 날 [17] 2009-06-15 13565
744 사순절 실패의 길을 가자! [9] 2007-03-04 13532
743 기타 야훼 찬양! (욜 2:21-27) [3] 2006-11-19 13515
742 성령강림절 영과 구원 file [9] 2010-10-24 13472
741 성령강림절 믿는 자는 성전이다 [13] 2009-08-03 13430
740 성령강림절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14] 2011-07-10 13429
739 기타 하나님의 자녀, 4월30일 [1] 2006-04-30 13388
738 기타 해방과 자유 [2] 2006-03-05 13387
737 창조절 심판의 하나님 (출 12:1-14) [12] 2011-09-05 13381
736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마 16:21-28) [7] 2014-08-31 13369
735 성령강림절 나의 자랑 예수의 십자가 [13] 2007-07-15 13366
734 부활절 죽음을 무너뜨리리라! [7] 2009-04-13 13340
733 주현절 하늘이 열리다! [5] 2008-01-13 13337
732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322
731 기타 믿음의 실체 [6] 2006-03-12 13302
730 대림절 메시아 질문 (마 11:2-11) [17] 2013-12-15 13293
729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17] 2013-06-16 13293
728 창조절 바디매오의 구원 이야기 (막 10:46-52) [4] 2018-10-28 13276
727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이다 (요 10:22-30) [8] 2013-04-22 13274
726 성령강림절 예수와 유령 사이에서 [9] 2008-08-03 13272
725 주현절 캄캄한 땅을 비추는 빛 [4] 2008-01-27 13270
72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얼굴 [8] 2008-07-27 13263
723 부활절 영광과 찬송을 받으실 분 [4] [1] 2010-04-18 13228
722 기타 살아계신 주님 [5] 2006-04-16 13209
721 성령강림절 율법과 사랑 [9] 2008-08-31 13198
720 성령강림절 인자가 오리라! (눅 12:35-40) [5] 2013-08-12 13166
719 부활절 몸의 부활 (눅 24:36-48) [12] 2015-04-19 13159
718 성탄절 나사렛 사람 예수 (마 2:13-23) [6] 2017-01-01 13153
717 기타 하나님 나라의 감춤과 드러남, 2월12일 [3] 2006-02-12 13150
716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3132
715 대림절 마지막 ‘때’ [11] 2008-12-01 13126
714 성령강림절 예레미야의 소명 (렘 1:4-10) [9] 2016-08-21 13112
713 성탄절 솔깃한 말, 터무니없는 말 [7] 2006-12-31 13077
712 창조절 광야에서 만나를 만나다 (출 16:2-15) [4] 2014-09-21 13075
711 주현절 주는 영이시다 [3] 2010-02-15 13056
710 사순절 축제의 능력 [5] 2010-03-15 13052
709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3046
708 부활절 빈 무덤과 예수 부활 (요 20:1-18) [10] 2014-04-20 13043
707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3037
706 주현절 시몬의 하나님 경험 [21] 2007-02-04 13022
705 성령강림절 승리주의를 넘어 생명으로 [20] 2009-07-20 13021
704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3017
703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눅 9:37-43) [8] [2] 2013-02-10 12951
702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믿음 (마 15:21-28) [7] 2017-08-20 12950
701 부활절 평화의 복음, 부활의 능력 [4] 2007-04-08 12936
700 사순절 마리아를 가만 두라! (요 12:1-8) [16] 2016-03-13 12895
699 사순절 그날이 오리라! [12] 2009-03-30 12882
698 기타 영원한 구원의 근원 2006-04-02 12875
697 기타 행복한 삶과 신앙, 1월1일 [1] 2006-01-01 12860
696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2859
695 성령강림절 닫힘과 열림 [21] 2009-09-21 12827
694 창조절 복음은 싸움이다! [6] 2011-09-19 12818
693 창조절 만나와 메추라기 이야기 (민 11:4-15) [6] 2018-09-30 12816
692 성령강림절 벌과 복 [3] 2007-07-01 12785
691 기타 영적인 인식론 [2] [1] 2004-07-02 12773
690 창조절 명령하시는 하나님 (출 20:1-11) [16] [1] 2011-09-26 12765
689 기타 낯섬의 출처 2004-06-30 12761
688 성령강림절 형제관계의 자리로! [11] 2008-10-26 12760
687 성령강림절 두려움과 하나님 찬양 [6] 2007-06-17 12719
686 창조절 낮춤과 높임의 역설 (마 23:1-12) [14] 2017-11-05 12692
685 성령강림절 마리아의 영성 [8] 2007-07-29 12687
684 기타 자유로움의 세계로! [2] [1] 2004-07-02 12686
683 부활절 희망은 기다림이다 (벧전 1:13-21) 2005-04-10 12683
682 창조절 그리스도교 윤리의 근거 (마 18:21-35) [6] 2011-09-11 12682
681 기타 살아계신 하나님 경험, 10월30일 [2] 2005-10-30 12679
680 성령강림절 생명이란 무엇인가? [25] 2008-10-05 12669
679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663
678 창조절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8:18-9:1) [9] 2016-09-18 12644
677 성령강림절 윗자리와 끝자리 [13] 2007-09-09 12629
676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7] 2013-02-18 12602
675 부활절 상호내주의 비밀 (요 17:20-26) [5] 2013-05-12 12597
674 기타 풍요로움의 근거, 11월20일 [4] 2005-11-20 12587
673 사순절 떠돌이 아람인의 후손 [15] 2007-02-25 12580
672 성령강림절 인간의 불순종과 하나님의 구원신비 [4] 2008-08-10 12569
671 성탄절 크게 기뻐하라! [11] 2009-01-05 12556
670 성령강림절 여호와의 이름을 찬송하라! [22] [1] 2009-11-16 12542
669 부활절 믿음과 희망 (벧전 3:13-22) [4] 2017-05-21 12533
668 성령강림절 거룩한 하나님의 질투 [5] 2008-11-02 12529
667 창조절 신앙과 소금 (막 9:38-50) [6] 2015-09-27 12525
» 사순절 만나가 멎는 날 [11] 2007-03-18 12503
665 기타 비뚤게 보기와 바로 보기 [1] [1] 2004-07-02 12486
664 주현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2] 2008-01-20 12477
663 주현절 예수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2] 2007-02-18 12473
662 부활절 예수는 참 포도나무다 (요 15:1-8) [8] 2015-05-03 12466
661 부활절 그리스도의 영광과 교회 일치 [3] 2010-05-17 12459
660 성탄절 종이냐, 자녀냐 [26] 2008-12-29 12451
659 기타 차별이 없으신 하나님 [1] 2004-07-02 12441
658 성탄절 마리아의 노래 (눅 1:46-56) [1] 2004-07-02 12438
657 창조절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출 17:1-7) [4] 2017-10-01 12401
656 기타 새로움의 원천, 2월19일 [2] 2006-02-19 12355
655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 송영 (골 1:15-23) [2] 2013-07-21 12332
654 기타 사울의 어리석음 [1] 2004-07-02 12320
653 부활절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 (고전 15:19-26) [7] 2016-03-27 12316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