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기타 조회 수 10215 추천 수 35 2004.10.17 23:21:13
성경본문 : 누가복음 17:7-10 
2004. 10.17.                      
제자도(道)의 본질
눅 17:7-10

주인과 종
예수님은 삼년 동안의 공생애 중에 많은 사람들을 만나서 함께 먹고 마시면서 어울리기도 하고, 여러 병을 고치시키고 하셨으며,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유의 가르침이나 신앙과 종교의 본질에 관한 가르침을 많이 주셨습니다. 그런 가르침 중에서는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것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마저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 적이 있으니까 그 형편을 알만 합니다. 이제 2천년이 지난 오늘 우리가 그 말씀을 정확히 이해한다는 것은 것의 불가능할지도 모릅니다. 지난 2천년이라는 세월의 틈이 너무 멀기도 하지만 그 가르침을 왜곡한 역사가 너무 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오늘 우리가 읽은 말씀도 우리가 따라가기 쉽지 않으며, 더구나 왜곡될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일단 우리의 어떤 고정된 신앙적 경험의 틀을 잠시 내려놓고, 이것을 우리는 ‘선험적’(a priori)이라고 말하는데, 이 말씀 자체와 직접 부딪칠 필요가 있습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주인과 종의 비유’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너희 가운데 누가 농사나 양치는 일을 하는 종을 데리고 있다고 하자.”(7절). 고대 사회에서 주인과 종의 관계는 지금 우리가 상상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주인은 종을 인격체로 다루지 않고 소나 돼지처럼 자신이 마음대로 처리할 수 있는 소유물로 생각했습니다. 고대까지 갈 필요도 없이 2백 년 전만 하더라도 미국에서는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팔려온 흑인들이 있었습니다. 소가 우시장에서 팔리듯이 흑인들은 노동력에 따라서 값이 매겨졌습니다. 백인 주인들은 노예들을 자기들과 똑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현상이 여러분의 눈에는 이상하게 보이겠지만 그때는 당연했고 자연스러웠습니다. 이렇게 최근의 역사에서도 노예가 물건처럼 다루어졌으니까 로마가 지배하던 2천년 전의 상황은 우리의 생각을 뛰어넘습니다. 제가 어느 책에서 읽은 기억으로는 남자 노예가 앞에 있어도 여자 주인은 스스럼없이 속옷을 갈아입을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옆에 있는 남자 노예가 사람으로 보이는 게 아니라 귀여운 강아지쯤으로 보였다는 것입니다. 주인과 종에 대한 예수님의 비유는 이렇게 오늘 우리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그런 상황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그 종이 하루 종일 농사나 양치는 일을 하다가 저녁때가 되어 집에 돌아왔지만 주인은 그에게 ‘어서 밥부터 먹게’ 하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인이 먹을 저녁밥을 지어야 하고, 주인이 먹는 동안 시중을 든 다음, 모든 집안일이 끝난 다음에야 겨우 자기 일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주인이 집안에서 일하는 종을 따로 두지 않은 걸 보면 아마 그렇게 큰 부자는 아닌 것 같습니다. 만약 집안일을 하는 종이 따로 있었다면 하루 종일 밭이나 들에서 일하다 지친 몸을 끌고 집으로 돌아온 종들이 좀 쉴 수 있었을 테지요.
예수님은 이 비유에 대해서 이렇게 주석을 달았습니다. 이 주인의 무리한 명령을 종이 그대로 따랐다고 해서 주인이 종에게 고마워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입니다. 아무리 종이지만 거의 기계처럼 주인에게 봉사했다면 주인이 마땅히 고맙게 생각할 것 같은데, 그럴 이유가 없다는 예수님의 주석은 좀 이해하기 곤란합니다. 강아지도 귀여워해주고, 소도 시간 맞추어 먹을거리를 주어야 하는데 하물며 인간을 이렇게 함부로 다루어도 괜찮다는 말인가요?. 위에서 언급한대로 고대사회에서 주인과 종의 관계는 이런 게 상식적인 것이었습니다. 물론 제도나 법이 그런 걸 가능하게 했지만 인간의 의식 자체가 그렇게 고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종을 아무렇게나 다루면서도 주인은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물론 종을 자기 자식이나 동생처럼 생각한 특별한 경우도 없지는 않았겠지만 일반적으로 주인은 종이 감당해야 할 비인간적인 고통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노예윤리
예수님은 이 비유의 결론을 이렇게 맺으셨습니다. “너희도 명령대로 모든 일을 다 하고 나서는 ‘저희는 보잘 것 없는 종입니다. 그저 해야 할 일을 했을 따름입니다’ 하고 말하여라.”(10). 종이 하루 종일 노동에 시달린 몸으로 집에 돌아와서 저녁 내도록 주인을 시중들었대도 주인이 전혀 칭찬 한 마디, 고맙다는 말 한 마디 없다면 좀 짜증이 날만도 한데도 무조건 자기를 낮추는 게 바로 종이 지녀야 할 바른 태도인 것처럼 예수님은 하나님 앞에서 우리도 이런 태도를 지녀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런 가르침이 오랜 세월동안 기독교인의 미덕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일단 이런 가르침 자체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인간의 교만이 하늘 끝까지 닿았다는 점에서 보면 종처럼 자기를 낮추는 태도야말로 우리 기독교인들이 반드시 배워야 할 신앙적 자세입니다. 예수님께서 다른 자리에서도 늘 겸손을 강조하셨으며, 당신 자신이 십자가에 달려죽기 까지 자기를 낮추셨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우리는 자학적인 수준에 이르는 수고를 기울였어도 자랑하지 말고 끝까지 자기를 낮추어야 할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원칙적인 관점에서 옳습니다만 이 가르침이 우리의 생명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확대 적용되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앞에서 미국의 노예제도를 지적했는데, 만약 오늘의 본문을 통해서 미국의 역사에 있었던 그런 노예제도를 합리화한다면 그것은 말씀에 대한 오해이며 왜곡입니다. 이렇게 극단적인 문제를 거론할 필요도 없이 기본적으로 기독교 신앙이 이 가르침에 근해서 일종의 노예윤리로 작용할 가능성은 많습니다. 예컨대 정상적인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포기하면서까지 교회 일에 매달리게 하는 일들이 우리에게 종종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종이니까 다른 일은 거들떠보지 말고 오직 교회 일에만 생명을 걸어야 한다는 논리가 그렇습니다. 이런 상태가 더 왜곡되면 교회 지도자를 주인처럼 따르는 게 곧 신앙인 것처럼 강요됩니다. 이런 신앙적 정서는 교회가 기독교인들의 죄책감을 자극하는 것과 맞물려 상승됩니다. 노예의 심리에는 기본적으로 열등감이 구조적으로 자리 잡고 있듯이 기독교 신자들에게는 죄책감이 그런 작용을 합니다. 주인이 그 어떤 요구를 해도 기계적으로 따라가는 그런 노예윤리를 기독교 신앙으로 착각하는 일이 우리의 현실에서 허다합니다.

바리새인들을 향한 경고
거의 노예윤리와 흡사한 것처럼 들리는 오늘의 가르침은 우리 모두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어떤 특정한 상황과 사람들을 대상으로만 설득력이 있습니다. 즉 이 가르침은 기독교 신앙이 노예 심리라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절대적인 사건이라 할 신앙을 사물화하고 상대화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입니다. 그들은 곧 바리새인들이었습니다.
예수님 당시의 바리새인들은 자신들의 신앙행위를 통해서 하나님으로부터 보상을 받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 유명한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 비유에 보면 바리새인은 자기가 죄 많은 세리와 달리 “일주일에 두 번이나 단식하고 모든 수입의 십분의 일을 바칩니다.”라고 자기의 업적을 늘어놓았습니다. 구조적으로 경건하게 살아갈 수 없었던 세리에 비해서 매우 월등한 삶의 조건 안에서 살아갔던 바리새인은 그런 조건을 무시한 채 하나님이 자신들을 특별하게 대우해 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이런 걸 기득권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에게는 어느 정도 그런 마음들이 있습니다. 지금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자기들만 구원받을 거라고 믿습니다. 그렇게 믿는 것까지야 어찌할 수 없거나 신앙의 속성상 필요한 대목이기도 하지만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을 배타적으로 여기는 것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런 생각은 구원과 하나님의 나라를 자기들의 좁은 범주 안에 가두어두고 자기들 방식으로 독점하려는 것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에 가서도 등급의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마당이니 유구무언입니다. 만약 하나님 나라에서도 그 사람의 능력과 업적에 따라서 차등이 있다면 그것은 절대적인 생명이 완성된 하나님의 나라가 결코 아닙니다.
요즘 대입 수시모집에서 고교등급제 적용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시골에 있는 고등학교와 서울 강남에 있는 고등학교 사이에 실제로 학습 수준의 차이가 있으니까 그것을 입시에 반영하겠다는 유수의 사립대학교와 그것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교육부 사이의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 이전에도 이미 고교 평준화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상당히 강하게 제기되었습니다. 대학의 발전을 위해서 성적이 좋은 학생들을 선발하겠다는 대학 측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그게 바람직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고교 평준화 정책이 전체적인 실력 하락을 불러왔다고 하면서 공정한 경쟁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미 서울 강남과 하양 사이에 교육 조건이 불합리한 가운데서 어떤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다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설령 그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고등학교 때의 점수만으로 대학입학의 자격을 매긴다는 그 제도 자체가 완벽하지 않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독일도 그렇지만 네덜란드의 경우에 의학대학 입시는 단지 최고 수준의 성적을 받은 학생부터 차례대로 뽑는 게 아니라 그 이하의 학생들도 일정 부분 선발하도록 제도화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의 이 비유는 잘났기 때문에 특별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리새인을 향한 경고입니다. 하나님 앞에서는 잘난 사람과 못난 사람의 차이가 하나도 없다는 뜻입니다. 교회가 이런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지향하는 공동체라고 한다면, 그런 하나님의 뜻이 이 땅에 이루어지기를 위해서 기도하는 공동체라고 한다면 이 세상을 향해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는지 대답은 나와 있습니다..

존재론적 기쁨
오늘 본문을 단지 업적과 상벌 중심의 사유에 빠져있는 바리새인들을 향한 경고라고 보는 것은 말씀에 대한 소극적인 해석입니다. 부정적인 의미에서 소극적이라는 게 아니라 말씀의 어두운 면이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이제 이 말씀의 적극적인, 또는 밝은 면을 보아야 합니다. 주인과 노예의 관계는 아무리 뜯어봐도 밝은 부분은 없을 것 같지만 우리의 영적인 시각을 조금만 아래로 돌리면 그 세계가 들어올 것입니다. 그게 무엇일까요?
노예가 자기의 행위를 전혀 내세우지 않았다는 말은 그 행위 자체가 그의 존재론적 토대라는 뜻입니다. 노동을 통해서 자기를 발견하는 노예는 그 노동을 내세우지 않습니다. 그 노동을 통해서 그가 구원을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저는 노예적인 삶을 미화하거나 추상화하는 게 아닙니다. 오늘의 가르침도 노예의 삶 자체에 대한 합리화가 아닙니다. 자기의 행위에서 이미 존재론적 토대를 발견한 사람의 영적인 깊이를 가리킵니다. 이런 경험은 우리의 일상에서도 가능합니다. 참된 작곡가는 그 작곡 행위를 통해서 기쁨과 구원을 경험합니다. 시인들도 그렇고 철학자와 신학자들도 그렇습니다. 만약 반대급부를 통해서만 자기의 행위에 값을 매기려는 예술가나 학자들이 있다면 그들은 사이비입니다. 거꾸로 이런 보상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행위에서 인간은 전혀 기쁨과 구원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보상에 관계없는 행위, 값으로 측정되지 않는 행위, 그러니까 그것 자체로 진정한 기쁨과 구원을 경험할 수 있는 행위야말로 우리가 이 땅에서 추구해야 할 가장 소중한 것입니다. 그런 것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일까요? 그것은 각각의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구체화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영적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제가 알아서 선택하며 살아갑니다.
우리가 오늘 본문에서 종의 수고를 고마워하지 않은 주인의 태도를 보면 이런 사실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주인이 종에게 시킨 노동은 종으로 하여금 구원을 경험하게 하는 행위 자체입니다. 그것이 절대적이고 결정적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보상이 필요 없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한다는 사실 말고 우리가 받아야 할 것은 이 세상에 아무 것도 없습니다. 만약에 우리가 어떤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또한 기독교인들이 하늘나라에 가서 다른 사람보다 더 큰 상을 받아야 된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하나님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 말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더 시급하고 더 절실한 일은 전혀 없습니다. 아무 보상을 받지 않아도 이렇게 하나님 안에서 존재하는 것만으로 여러분의 삶은 충분히 행복하고 즐겁습니까? 그런 영성이 확보되어 있나요? 그게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제자도(道)의 본질입니다.

profile

[레벨:11]권현주

October 22, 2004
*.208.101.249

자신의 행위에서 연유된 현실적인 보상 따위에 의해
자신의 행위내용을 결정한다는 것의 천박성을 경고하고있다는 해석이 빛납니다.

묵묵하게 자신의 몫을 다해간다는 것은
존재론적 토대로서, 기쁨의 원천이 된다는 것이죠.

이럴때 항상 남는 의문은
나의 몫을 어떻게 발견하느냐? 라는 것입니다.

특히 감동적인 해석이었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0813
253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875
252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2, 6-14) [7] 2019-06-30 5210
251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 파송 (눅 10:1-11) [2] 2019-07-07 6627
250 성령강림절 아들과 죄 용서 (골 1:3-14) [6] 2019-07-15 9790
249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274
248 성령강림절 살아계신 하나님 (호 1:2-10) [4] 2019-07-28 5000
247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863
246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198
245 성령강림절 "정의" (사 5:1-7) [6] 2019-08-18 5246
244 성령강림절 안식, 해방, 연민 (눅 13:10-17) [6] 2019-08-25 5017
243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872
242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7001
241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346
240 창조절 양자택일 (눅 16:1-13) 2019-09-22 5397
239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213
238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180
237 창조절 말다툼과 진리의 말씀 (딤후 2:8-15) [2] 2019-10-14 5927
236 창조절 갈급한 영혼 (눅 18:1-8) [8] 2019-10-20 10071
235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736
234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916
233 창조절 두려워 말라! (학 1:15-2:9) 2019-11-10 5653
232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7003
231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893
230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869
229 대림절 알곡과 쭉정이 (마 3:1-12) [6] 2019-12-08 12219
228 대림절 "파루시아" (약 5:7-10) [5] 2019-12-16 6624
227 대림절 예수와 임마누엘 (마 1:18-25) [5] 2019-12-22 9615
226 성탄절 영광과 찬송 (눅 2:8-20) 2019-12-25 9764
225 성탄절 환난에 동참하시는 하나님 (사 63:7-9) [2] 2019-12-29 5731
224 성탄절 하나님을 본 사람 (요 1:10-18) 2020-01-05 6677
223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7061
222 주현절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7] 2020-01-19 4940
221 주현절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2] 2020-01-26 5287
220 주현절 가난한 사람과 하늘나라 (마 5:1-12) 2020-02-02 9613
219 주현절 십자가에 못 박힌 이 (고전 2:1-12) [8] 2020-02-10 5838
218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221
217 주현절 영광스러운 미래의 생명 (마 17:1-9) 2020-02-23 4171
216 사순절 의와 생명 (롬 5:12-19) [2] 2020-03-01 5695
215 사순절 영생과 예수 (요 3:1-17) 2020-03-08 5434
214 사순절 생존의 위기 앞에서 (출 17:1-7) 2020-03-15 6339
213 사순절 예수는 심판 주다! (요 9:35-41) [2] 2020-03-22 6820
212 사순절 여호와의 손과 영 (겔 37:1-14) [2] 2020-03-29 5405
211 사순절 주의 손과 주의 얼굴 (시 31:9-16) [6] 2020-04-05 5734
210 부활절 "위의 것을 찾으라!" (골 3:1-4) [2] 2020-04-12 8849
209 부활절 예수의 손과 옆구리 (요 20:19-29) [2] 2020-04-19 8948
208 부활절 눈이 밝아진 제자들 (눅 24:13-35) [2] 2020-04-26 6572
207 부활절 성찬 예배 공동체 (행 2:42-47) [2] 2020-05-03 4192
206 부활절 어두운 데서 기이한 빛으로! (벧전 2:2-10) [4] 2020-05-10 5137
205 부활절 사랑과 계명 (요 14:15-21) 2020-05-17 6077
204 부활절 영광과 영생 (요 17:1-11) [4] 2020-05-24 5453
203 성령강림절 성령 공동체의 길 (고전 12:4-13) [2] 2020-05-31 4666
202 성령강림절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고후 13:11-13) [4] 2020-06-07 5426
201 성령강림절 못 하실 일이 없는 하나님 (창 18:1-15) [6] 2020-06-14 6623
200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9) 2020-06-21 5584
199 성령강림절 냉수 한 그릇의 궁극적 의미 (마 10:40-11:1) [2] 2020-06-28 6005
198 성령강림절 쉼 (마 11:16-19, 25-30) [2] 2020-07-06 8517
197 성령강림절 에서와 야곱 이야기 (창 25:19-34) [4] 2020-07-12 13661
196 성령강림절 몸의 속량을 기다리며… (롬 8:12-25) [2] 2020-07-19 5079
195 성령강림절 하늘나라 (마 13:31-33, 44-52) [5] 2020-07-26 5487
194 성령강림절 "브니엘"에서 (창 32:22-31) [5] 2020-08-02 5508
193 성령강림절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마 14:22-33) [2] 2020-08-09 7922
192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긍휼하심 (롬 11:1-2a, 29-32) [4] 2020-08-16 5013
191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5] 2020-08-23 4865
190 성령강림절 "사탄아!" (마 16:21-28) [2] 2020-08-30 5291
189 창조절 "급히 먹으라!" (출 12:1-14) [2] 2020-09-06 5714
188 창조절 용서, 그 불가능한 명령 (마 18:21-35) [9] 2020-09-13 8164
187 창조절 복음, 은혜, 믿음, 고난 (빌 1:21-30) [2] 2020-09-20 5799
186 창조절 대제사장과 장로, 세리와 창녀 (마 21:23-32) [2] 2020-09-27 9425
185 창조절 자기 의(義)와 하나님의 의 (빌 3:4-14) [2] 2020-10-04 8051
184 창조절 청함과 택함 "사이" (마 22:1-14) 2020-10-11 7435
183 창조절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 (출 33:12-23) [4] 2020-10-18 11303
182 창조절 삶의 견고한 토대 (시 90:1-6, 13-17) [4] 2020-10-25 6297
181 창조절 함께하시는 여호와 하나님 (수 3:7-17) [2] 2020-11-01 10182
180 창조절 생명 완성의 때 (마 25:1-13) [2] 2020-11-08 8179
179 창조절 '주의 날'과 일상 (살전 5:1-11) [4] 2020-11-15 8612
178 창조절 영벌인가, 영생인가! (마 25:31-46) [3] 2020-11-22 8172
177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 (고전 1:3-9) 2020-11-29 9007
176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2020-12-06 11331
175 대림절 "너는 누구냐?" (요 1:19-28) [4] 2020-12-13 11347
174 대림절 "은혜를 받은 자여!" (눅 1:26-38) [2] 2020-12-20 10439
173 성탄절 행위에서 존재로! (갈 4:4-7) [5] 2020-12-27 8592
172 성탄절 영광-찬송 (엡 1:3~14) [2] 2021-01-03 6098
171 주현절 하늘로부터 … (막 1:4~11) [3] 2021-01-10 9569
170 주현절 하늘이 열리고 … (요 1:43-51) [7] 2021-01-17 7991
169 주현절 세상의 외형 (고전 7:29-31) 2021-01-24 4769
168 주현절 선지자의 운명 (신 18:15-20) [2] 2021-01-31 6467
167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9~39) [2] 2021-02-07 3862
166 주현절 하나님의 빛, 하나님의 공의 (시 50:1~6) [2] 2021-02-14 4420
165 사순절 예수와 복음 (막 1:9~15) [9] 2021-02-21 6596
164 사순절 아브라함의 믿음, 우리의 믿음 (롬 4:13~25) [2] 2021-02-28 6002
163 사순절 십계명 "너머" (출 20:1~17) [7] 2021-03-07 6481
162 사순절 "나는 영생을 믿습니다!" (요 3:14~21) [15] 2021-03-14 6455
161 사순절 순종과 영원한 구원 (히 5:5~10) [6] 2021-03-21 4542
160 사순절 "일어나라, 함께 가자!" (막 14:32~42) 2021-03-28 6015
159 부활절 빈 무덤 앞에서 (막 16:1~8) [3] 2021-04-04 6431
158 부활절 그는 "변호인"이다 (요일 1:1~2:2) [1] 2021-04-11 6114
157 부활절 회개 (행 3:12~19) 2021-04-18 5820
156 부활절 선한 목자 (요 10:11~18) 2021-04-25 5151
155 부활절 하나님 사랑, 형제 사랑 (요일 4:7~21) [2] 2021-05-02 4750
154 부활절 예수 사랑 안에! (요 15:9~17) [5] 2021-05-09 4584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