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카리스마 공동체, 8월21일

기타 조회 수 10319 추천 수 31 2005.08.21 23:13:58
성경본문 : 로마서 12:1-8 
http://wms.kehc.org/d/dabia/8.21.MP3http://wms.kehc.org/d/dabia/8.21.MP32005. 8.22.          
롬 12:1-8
카리스마 공동체

몸의 예배
바울은 로마서 1-11장에서 하나님의 구원이 이방인들과 유대인 모두에게 임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지적했습니다. 그의 논리는 명백합니다. 선민 유대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배척함으로써 이방인들이 오히려 새로운 이스라엘이 되었으며, 이런 사태에 시샘을 느낀 유대인들이 정신을 차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다는 것입니다. 율법에 의해서 유대인과 이방인이 구별되었지만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의해서 그런 구별이 철폐되고 모든 사람들이 구원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신학적인 색채가 농후한 ‘칭의론’ 문제를 정리한 다음에 바울은 12장에서 참된 예배가 무엇인지에 관한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글쓰기의 순서는 매우 자연스럽습니다. 기독교의 교리는 교리 자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그런 교리를 배운 사람의 삶을 목표로 하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인의 삶은 바로 예배로부터 시작합니다. 예배는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고, 교회 전체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개인도 예배를 드리고, 공동체 전체도 예배를 드립니다. 1절 말씀을 보십시오. “여러분 자신을 하느님께서 기쁘게 받아주실 거룩한 산 제물로 바치십시오. 그것이 여러분이 드릴 진정한 예배입니다.” 공동번역은 ‘여러분 자신을’이라고 번역했지만, 이 단어는 원래 ‘여러분의 몸’을 가리킵니다. 2절에서 이 세상을 본받지 말고 새 사람이 되라고 권면한 다음에 이어서 하나님의 뜻에 맞는 삶이 무엇인지 분별하라고 가르칩니다.
바울이 1,2절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결국 구원받은 사람의 삶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의 몸을 하나님께 제물로 드리는 것이 곧 진정한 예배라거나, 새 사람이 된다거나, 완전한 것을 분간한다는 것은 모두가 바로 구원받는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가르침입니다. 이런 가르침은 옳습니다. 기독교 신앙은 단지 자신의 개인적인 영혼 문제에만 머무르지 않고 구체적인 삶, 특히 더불어 공동체를 꾸려야할 구체적인 삶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않고 능력에 있다.”(고전 4:20)는 바울의 주장은 옳습니다.
우리는 늘 이런 성찰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 우리의 신앙이 과연 실제적인 삶의 현장에서 능력으로 나타나는가를 말입니다. 단지 형식적으로 드려지는 이런 예배에만 만족할 게 아니라 우리의 삶 자체가 예배로 승화되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았다는 그런 증거들이 우리의 삶에서 체화되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이건 단지 종교적인 차원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 세상의 학문도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요? 여러분이 무슨 공부를 하셨든지 그것이 참된 진리라고 한다면 여러분의 삶에서 구체화할 것입니다. 음악을 전공한 사람은 그 음악이 자신의 삶에서 어떤 능력으로 나타나겠지요. 지금 우리의 모습에는 예배와 삶의 일치, 몸과 제물의 일치, 진리와 삶의 일치, 말과 행위의 일치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서 몸의 예배나 새 사람이라는 용어를 오해하기 쉽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칫 이런 성서 용어를 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경제 정의를 실천한다거나 노숙자를 돕는다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는 삶이 곧 구원받은 사람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삶의 모습들이 물론 가치 있는 것이긴 하지만, 우리는 지금 성서의 가르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바울이 지금 그런 것들을 염두에 두고 말하는 걸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런 건 바울이 극복하려고 했던 율법주의에 가깝습니다. 그렇다면 몸의 예배라는 게 이런 율법이나 도덕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걸 말하나요?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여기에 바로 기독교 신앙과 삶에 긴장이 있습니다. 도덕주의나 율법주의는 아니지만 율법과 도덕을 폐기하지도 않는 ‘삶의 예술’이 바로 기독교인의 삶을 추동합니다. 바로 이 대목에서 많은 평신도들만이 아니라 교회 지도자들이 길을 잃기 쉽습니다. 성서에는 도덕적이고, 율법적인 삶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도 있고, 그런 것이 완전히 무시되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도 있기 때문입니다. 성서는 이런 현상적인 것을 통해서 훨씬 근원적인 것을 전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이런 훨씬 근원적인 것이 어떻게 설명되고 있을까요?

카리스마의 토대
3절 말씀을 읽어보십시오. “나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은 사람으로서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말합니다. 여러분은 자신을 과대평가하지 말고 하느님께서 각자에게 나누어 주신 믿음의 정도에 따라 분수에 맞는 생각을 하십시오.” 바울은 자신을 가리켜 ‘은총’을 받은 사람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6절에서 그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은총의 선물이 있다고 했습니다. 3절에서 사용된 ‘카리스’라는 헬라어와 6절에서 사용된 ‘카리스마’라는 헬라어는 약간 구별됩니다. 은총이라는 뜻의 카리스는 하나님이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베푸신 선물이라고 한다면, 은사라는 뜻의 카리스마는 개인들에게 특별하게 베푸신 선물이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에게서 카리스를 받았다고 한다면 그건 구원을 받았다거나 사랑을 받았다는 뜻이지만, 카리스마를 받았다는 건 설교의 능력이나 봉사의 능력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6-8절에서 일곱 가지의 구별된 은사를 나열하고 있습니다. 예언, 봉사, 가르침, 격려, 희사, 지도, 자선. 이런 카리스마는 각자의 취향이나 성향에 따라서 다르게 주어진 하나님의 선물들입니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은총과 은사를 받은 사람들입니다. 특히 오늘 바울이 강조하는 것에 따른다면 우리 모두는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선물을 받은 사람들입니다. 아마 이런 이야기는 여러분도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주일학교 때부터 ‘달란트 비유’를 통해서 이런 은사의 쓸모에 대해서도 자주 들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선물을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사람에게는 더 많은 선물이 주어질 것이고, 그것을 묵혀두는 사람에게는 먼저 주어진 것마저 빼앗긴다는 식으로 들었습니다. 이건 옳은 말입니다. 수영선수는 매일 그 기술을 갈고 닦아야만 일류 선수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학교 선생들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가르치는 내용이 계속해서 심화되어야만 그는 선생의 역할을 지켜낼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우리는 카리스마를 그런 정도의 생각으로 마무리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의 삶이 곧 하나님의 카리스마로 여긴다는 것은 이 세계를 근본적으로 새롭게, 또는 다르게 본다는 뜻입니다. 무슨 말입니까? 아주 간단한 말입니다. 카리스마는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입니다. 카리스마는 우리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 것입니다. 카리스마는 근본적으로 나의 소유가 아니라 하나님의 소유입니다. 이 말이 무슨 의미인지 생각해보십시오. 내 소유가 아니니까 남을 위해서 봉사하라는 뜻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이렇게 생각해도 좋지만, 한 걸음 더 들어가서 생각해보십시오.
그렇습니다. 카리스마는 그 토대가 하나님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모든 카리스마는 존재론적으로 동일하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에게서 온 것인데, 좋은 게 있고 나쁜 게 있을까요?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더 좋은 게 있고 덜 좋은 게 있을까요? 그럴 수가 없습니다. 하나님에게서 온 것은 모두가 똑같은 정도로 가치가 있습니다. 이런 카리스마의 원리를 우리 삶과 연결시킨다면, 결국 우리의 삶은 결코 가치론적으로 구별될 수 없다는 말이 됩니다.
여러분은 모든 삶이 평등하다거나 인권이 천부적이라는 말을 평소에 자주 들었을 겁니다. 문제는 우리가 그런 말을 정보로 간직하고 있을 뿐이지 실제적인 삶의 능력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데에 있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서울대학교나 이곳 하양에 있는 대구가톨릭대학교나 똑같다고 한다면 누가 곧이듣겠습니까? 사람들은 좋은 것과 나쁜 것, 가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명백하게 구분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모든 삶이, 모든 소질과 모든 재주가 결국 존재론적으로 똑같다는 말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오해하지 마십시오. 학문적인 진지성이 무의미하다거나 삶에 대한 성실성이 무의하다는 뜻으로 이렇게 말씀드리는 게 아닙니다. 지금 우리는 우리의 삶에 개입되어 있는 하나님의 선물이 본질적으로 똑같이 귀하다는 것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지 그것에 대한 인간의 태도까지 똑같다는 게 아닙니다. 하나님의 선물은 우리 눈에 크게 보이든 작게 보이든, 가치 있어 보이든 아니든 전혀 개의치 않고 동일하게 최선이라는 뜻입니다. 화원에서 비싸게 팔리는 꽃이나 길가에 흔한 민들레나 그것들이 ‘꽃’이라는 점에서 똑같이 귀하다는 사실과 같습니다.
만약 우리의 삶이 바로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사실을 명백하게 인식하고, 그 근본을 깨우칠 수만 있다면 우리는 이 세상을 전혀 다르게 살아갈 수 있을 겁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실체적으로 깨우칠 수만 있다면 우리는 분명히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을 겁니다. 그 무엇을 부러워하지도 않을 것이며, 그렇다고 그 무엇으로 자랑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내가 자랑한 만한 것이나 내가 남에게 부러워하는 것이나 아무런 차이가 없다면 결국 우리는 그런 것에 집착하는 게 아니라 그것의 근원인 하나님에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카리스마의 적용
아마 로마 교회에는 이런 카리스마의 문제가 심각했던 것 같습니다. 이방인 기독교인들과 나중에 합세한 유대인 기독교인들 사이에 교권이나 교회 행정 업무를 중심으로 다툼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아주 높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기가 잘난 척하고 떠들어대지 않았을까요? 그래서 그런지 바울은 이렇게 권면했습니다. “여러분은 자신을 과대평가하지 말고 하느님께서 각자에게 나누어 주신 믿음의 정도에 따라 분수에 맞는 생각을 하십시오.”(3b절).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게 바로 인간의 본성인지 모르겠습니다. 정치인들이 자기를 과대 포장하거나, 기업가들이 자기 회사를 과대 광고하는 것은 그러려니 할 수 있지만 교회와 신자들이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런 현상에 대해서 저는 이 시간에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대신 오늘 우리의 설교 주제와 연관해서, 왜 이렇게 자기를 과대평가하는 일들이 벌어지는가에 관해서 바울의 설명에 따라서 한 마디 짚겠습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2장에서도 역시 오늘 본문과 거의 비슷한 구조로 교회와 카리스마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교회 공동체를 ‘몸’으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몸에는 많은 지체가 있듯이 교회에도 역시 여러 카리스마가 있다는 것입니다. 4,5절 말씀을 보십시오. “사람의 몸은 하나이지만 그 몸에는 여러 가지 지체가 있고, 그 지체의 기능도 각각 다릅니다. 이와 같이 우리도 수효는 많지만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을 이루고 각각 서로 서로의 지체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바울의 비유는 매우 생생합니다. 손가락도 몸에 붙어 있고, 눈동자로 몸에 붙어 있습니다. 여기서 각각의 지체가 유기적으로 한 몸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이 말은 곧 손, 발, 심장, 귀 등등, 이런 모든 지체를 통 털어서 몸이라고 한다는 뜻입니다. 몸의 한 부분이 병들었을 경우에는 몸 전체가 이 병든 현상에 연루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요즘은 흔하지 않지만 옛날에는 손톱과 닿아있는 부분이 곪는 ‘생인손’이 많았습니다. 생인손에 걸려서 적시에 치료하지 못하고 덧나게 되면 밤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고통스러웠습니다. 우리 몸의 일부가 병들었지만 결국 몸 전체가 고통스럽습니다.
몸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눈치 채고 있는 사람들은 있겠지만, 교회 공동체, 더 나가서 사회 공동체도 역시 그렇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습니다. 예컨대 교회 안에서, 또는 사회에서 빈익빈부익부라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어도 우리는 아무런 고통을 받지 않습니다. 생태계가 허물어져도 자신의 집에 정수기와 공기정화기만 있으면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기를 과대평가하기 위해서 온몸을 던지며 살아갈 뿐입니다. 이렇게 사분오열된 공동체는 결코 카리스마 공동체가 아닙니다. 카리스마 공동체가 아니면 결국 생명은 죽게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생명은 오직 하나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교회는 참된 의미에서 이런 유기적인 단일성을 회복하고 있을까요? 이런 카리스마 공동체 정신이 교회 안에서 확산되어가고 있나요? 더 나아가 기독교인들은 이런 카리스마 공동체의 의미를 이 세상에 삶과 몸으로 전달하고 있을까요? 여러분, 교회의 미래는 바로 이런 카리스마 공동체를 지향하는지 아닌지에 달려 있습니다. 왜냐하면 카리스마 공동체만이 생명 지향적 공동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1495
253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916
252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2, 6-14) [7] 2019-06-30 5246
251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 파송 (눅 10:1-11) [2] 2019-07-07 6661
250 성령강림절 아들과 죄 용서 (골 1:3-14) [6] 2019-07-15 9815
249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314
248 성령강림절 살아계신 하나님 (호 1:2-10) [4] 2019-07-28 5036
247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911
246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235
245 성령강림절 "정의" (사 5:1-7) [6] 2019-08-18 5277
244 성령강림절 안식, 해방, 연민 (눅 13:10-17) [6] 2019-08-25 5061
243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924
242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7030
241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378
240 창조절 양자택일 (눅 16:1-13) 2019-09-22 5436
239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248
238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224
237 창조절 말다툼과 진리의 말씀 (딤후 2:8-15) [2] 2019-10-14 5962
236 창조절 갈급한 영혼 (눅 18:1-8) [8] 2019-10-20 10122
235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775
234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962
233 창조절 두려워 말라! (학 1:15-2:9) 2019-11-10 5692
232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7042
231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932
230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945
229 대림절 알곡과 쭉정이 (마 3:1-12) [6] 2019-12-08 12311
228 대림절 "파루시아" (약 5:7-10) [5] 2019-12-16 6692
227 대림절 예수와 임마누엘 (마 1:18-25) [5] 2019-12-22 9700
226 성탄절 영광과 찬송 (눅 2:8-20) 2019-12-25 9813
225 성탄절 환난에 동참하시는 하나님 (사 63:7-9) [2] 2019-12-29 5791
224 성탄절 하나님을 본 사람 (요 1:10-18) 2020-01-05 6727
223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7111
222 주현절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7] 2020-01-19 4984
221 주현절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2] 2020-01-26 5332
220 주현절 가난한 사람과 하늘나라 (마 5:1-12) 2020-02-02 9663
219 주현절 십자가에 못 박힌 이 (고전 2:1-12) [8] 2020-02-10 5887
218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270
217 주현절 영광스러운 미래의 생명 (마 17:1-9) 2020-02-23 4221
216 사순절 의와 생명 (롬 5:12-19) [2] 2020-03-01 5750
215 사순절 영생과 예수 (요 3:1-17) 2020-03-08 5481
214 사순절 생존의 위기 앞에서 (출 17:1-7) 2020-03-15 6388
213 사순절 예수는 심판 주다! (요 9:35-41) [2] 2020-03-22 6878
212 사순절 여호와의 손과 영 (겔 37:1-14) [2] 2020-03-29 5454
211 사순절 주의 손과 주의 얼굴 (시 31:9-16) [6] 2020-04-05 5778
210 부활절 "위의 것을 찾으라!" (골 3:1-4) [2] 2020-04-12 8893
209 부활절 예수의 손과 옆구리 (요 20:19-29) [2] 2020-04-19 8991
208 부활절 눈이 밝아진 제자들 (눅 24:13-35) [2] 2020-04-26 6618
207 부활절 성찬 예배 공동체 (행 2:42-47) [2] 2020-05-03 4235
206 부활절 어두운 데서 기이한 빛으로! (벧전 2:2-10) [4] 2020-05-10 5183
205 부활절 사랑과 계명 (요 14:15-21) 2020-05-17 6139
204 부활절 영광과 영생 (요 17:1-11) [4] 2020-05-24 5512
203 성령강림절 성령 공동체의 길 (고전 12:4-13) [2] 2020-05-31 4714
202 성령강림절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고후 13:11-13) [4] 2020-06-07 5464
201 성령강림절 못 하실 일이 없는 하나님 (창 18:1-15) [6] 2020-06-14 6666
200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9) 2020-06-21 5615
199 성령강림절 냉수 한 그릇의 궁극적 의미 (마 10:40-11:1) [2] 2020-06-28 6045
198 성령강림절 쉼 (마 11:16-19, 25-30) [2] 2020-07-06 8566
197 성령강림절 에서와 야곱 이야기 (창 25:19-34) [4] 2020-07-12 13716
196 성령강림절 몸의 속량을 기다리며… (롬 8:12-25) [2] 2020-07-19 5119
195 성령강림절 하늘나라 (마 13:31-33, 44-52) [5] 2020-07-26 5526
194 성령강림절 "브니엘"에서 (창 32:22-31) [5] 2020-08-02 5549
193 성령강림절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마 14:22-33) [2] 2020-08-09 7975
192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긍휼하심 (롬 11:1-2a, 29-32) [4] 2020-08-16 5045
191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5] 2020-08-23 4909
190 성령강림절 "사탄아!" (마 16:21-28) [2] 2020-08-30 5335
189 창조절 "급히 먹으라!" (출 12:1-14) [2] 2020-09-06 5757
188 창조절 용서, 그 불가능한 명령 (마 18:21-35) [9] 2020-09-13 8211
187 창조절 복음, 은혜, 믿음, 고난 (빌 1:21-30) [2] 2020-09-20 5833
186 창조절 대제사장과 장로, 세리와 창녀 (마 21:23-32) [2] 2020-09-27 9463
185 창조절 자기 의(義)와 하나님의 의 (빌 3:4-14) [2] 2020-10-04 8103
184 창조절 청함과 택함 "사이" (마 22:1-14) 2020-10-11 7479
183 창조절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 (출 33:12-23) [4] 2020-10-18 11344
182 창조절 삶의 견고한 토대 (시 90:1-6, 13-17) [4] 2020-10-25 6340
181 창조절 함께하시는 여호와 하나님 (수 3:7-17) [2] 2020-11-01 10223
180 창조절 생명 완성의 때 (마 25:1-13) [2] 2020-11-08 8232
179 창조절 '주의 날'과 일상 (살전 5:1-11) [4] 2020-11-15 8653
178 창조절 영벌인가, 영생인가! (마 25:31-46) [3] 2020-11-22 8228
177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 (고전 1:3-9) 2020-11-29 9088
176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2020-12-06 11426
175 대림절 "너는 누구냐?" (요 1:19-28) [4] 2020-12-13 11442
174 대림절 "은혜를 받은 자여!" (눅 1:26-38) [2] 2020-12-20 10532
173 성탄절 행위에서 존재로! (갈 4:4-7) [5] 2020-12-27 8649
172 성탄절 영광-찬송 (엡 1:3~14) [2] 2021-01-03 6171
171 주현절 하늘로부터 … (막 1:4~11) [3] 2021-01-10 9603
170 주현절 하늘이 열리고 … (요 1:43-51) [7] 2021-01-17 8034
169 주현절 세상의 외형 (고전 7:29-31) 2021-01-24 4823
168 주현절 선지자의 운명 (신 18:15-20) [2] 2021-01-31 6518
167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9~39) [2] 2021-02-07 3917
166 주현절 하나님의 빛, 하나님의 공의 (시 50:1~6) [2] 2021-02-14 4473
165 사순절 예수와 복음 (막 1:9~15) [9] 2021-02-21 6641
164 사순절 아브라함의 믿음, 우리의 믿음 (롬 4:13~25) [2] 2021-02-28 6048
163 사순절 십계명 "너머" (출 20:1~17) [7] 2021-03-07 6530
162 사순절 "나는 영생을 믿습니다!" (요 3:14~21) [15] 2021-03-14 6509
161 사순절 순종과 영원한 구원 (히 5:5~10) [6] 2021-03-21 4594
160 사순절 "일어나라, 함께 가자!" (막 14:32~42) 2021-03-28 6069
159 부활절 빈 무덤 앞에서 (막 16:1~8) [3] 2021-04-04 6475
158 부활절 그는 "변호인"이다 (요일 1:1~2:2) [1] 2021-04-11 6147
157 부활절 회개 (행 3:12~19) 2021-04-18 5864
156 부활절 선한 목자 (요 10:11~18) 2021-04-25 5191
155 부활절 하나님 사랑, 형제 사랑 (요일 4:7~21) [2] 2021-05-02 4796
154 부활절 예수 사랑 안에! (요 15:9~17) [5] 2021-05-09 464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