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4

예배로서의 삶

기타 조회 수 19862 추천 수 107 2006.09.03 15:51:44
성경본문 : 에베소서 5:15-20 
http://wms.kehc.org/d/dabia/06.09.03.MP32006. 9.3. 엡 5:15-20
예배로서의 삶

극우와 극좌
이런 상상을 해보십시오. 예수님을 믿기만 하면 세상에서 겪어야 할 모든 삶의 조건들로부터 해방된다고 말입니다. 돈을 벌지 않아도 되고, 밥을 먹지 않아도 되고, 누구한테도 싫은 소리를 듣지 않을 수 있다고 말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마음이 늘 기쁨과 평화로 가득하게 된다는 생각도 곁들여보십시오. 만약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교회는 사람들로 터져나갈 겁니다. 그렇지만 불행하게도, 또는 다행스럽게도 그리스도인은 세상 사람들과 똑같이 이 세상의 모든 문제와 모순을 안고 살아갑니다. 어느 누구도 여기에 예외는 없습니다. 삶의 현실은 믿는 사람에게도 똑같이 아주 엄중하게 다가옵니다.
이런 엄중한 현실 앞에서 두 가지 극단적인 태도가 있습니다. 하나는 그 모든 구체적인 현실들을 완전히 부정하고, 오직 교회 안에서만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들은 모든 시간을 거의 교회나 기도원 같은 곳에 거의 모든 시간을 보냅니다. 방언, 신유 같은 신비적 현상에 모든 관심을 쏟습니다. 그들은 빈부격차가 심화되어도, 남북분단 체제가 공고해져도, 외국노동자들과 동성애자들 같은 사회 마이너리티가 인간 존엄성을 훼손당해도 아주 상관없는 것처럼 살아갑니다.
다른 하나는 현실의 어려움에 완전히 압도당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세상 사람들과 똑같은 방식으로 투쟁하고, 참여합니다. 그리스도교의 영성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완전히 사회과학적인 방식으로만 이 세상을 해석하고 그런 방식으로만 대처합니다.
이 두 극단적인 태도는 그리스도인에게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왜 바람직하지 않은지는 제가 여기서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겁니다. 한 마디만 하지요. 전자에 속한 사람들의 문제는 하나님의 창조한 세상과 그 역사를 방기한다는 것이며, 후자에 속한 사람들의 문제는 그리스도교의 신앙이 무의미해진다는 것입니다. 양측 모두에게 해당되는 문제는, 이게 사실 가장 본질적인 문제인데, 그들의 영성이 심화되거나 풍요로워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전자에 속한 사람들의 영성은 삶의 리얼리티가 없기 때문에 관념적이며, 후자에 속한 사람들의 영성은 하나님으로 주어지는 은총과 단절되기 때문에 결국 허무합니다. 양측 모두 그리스도교적 영성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우리는 어떻게 삶의 현실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그리스도교적인 삶의 깊이로 들어갈 수 있는 걸까요? 앞의 이야기를 듣고 이미 여러분들은 어느 정도 방향을 잡았을 겁니다. 이 양 극단의 중간 정도 되는 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겠지요. 그러나 그런 길이 확실하게 눈에 보이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모든 구체적인 삶의 문제가 극우, 극좌, 중도로 구분되는 것도 아닙니다. 성서는 그런 방식이 아니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혜
오늘 본문 말씀은 “빛의 자녀”인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그리스도인은 미련한 사람이 아니라 지혜로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5절 말씀을 보십시오. “그러므로 여러분은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깊이 생각해서 미련한 자처럼 살지 말고 지혜롭게 사십시오.”
성서기자가 깊은 생각과 지혜로움을 언급한다는 것은 그가 구체적인 세상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그리스도인이 현실과 아무런 상관없이 홀로, 골방에서, 사막에서, 허공에서 고고하게 살아가도 된다면 그는 굳이 깊이 생각하거나 지혜로워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두 발을 땅에 딛고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서 함께 숨 쉬어야 하고, 함께 먹어야 하고, 신경전을 벌여야 합니다. 이 세상의 모든 문제와 투쟁하면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깊은 생각과 지혜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세상은 16절 말씀에 따르면 “악합니다.” 2천 년 전 사람들은 순박하기 때문에 요즘 우리에 비해서 훨씬 착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던가봅니다. 그게 바로 인간 본질입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또는 앞으로 2천년 후나 인간 세상에는 악이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성서는 인간을 악하게 만드는 원천적인 힘이 작용한다고 가르칩니다. 창세기의 타락설화는 그것을 뱀 형상으로 설명하고, 욥기서는 사탄으로 설명합니다. 성서의 이런 진술들은 우리가 저지른 잘못의 책임을 다른 데로 돌리려는 게 아니라 악의 존재론적 힘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악이 지배하는 악한 시대는 우리의 모든 걸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이 시대가 악하다.”는 성서기자의 진술을 추상적으로만 생각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이런 가르침을 막연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 인간은 죄인이야, 또는 세상은 말세야 하고 말입니다. 그렇게 생각할 뿐이지 악이 실제로 자기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는 별로 깊이 생각하지 않습니다. 더구나 그 악과 죄라는 것을 어떤 뿔 달린 괴물로 생각하기 때문에 죄의 구체성을 놓치기 쉽습니다.
여러분, 악은 괴물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아름다운 모습을 취할 때가 많습니다. 성서기자가 말하는 그 시대는 핵심적으로 로마 제국을 가리킵니다. 로마의 법, 군사, 예술이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그 시대의 번영은 아직 이탈리아 로마 및 식민지로 삼았던 지중해 연안의 중요 도시에 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오늘 모든 세계는 바로 이 로마 제국을 흉내 내고 있습니다. 경제, 군사 만능주의가 우리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릴 때부터 무한경쟁 체제에서 살아가는 대한민국은 이런 점에서 가장 전형적인 나라인 것 같습니다. 우리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이런 악한 시대에 자신의 영혼을 파는 사람으로 살아가는지 모릅니다. 깊이 생각하지 않고, 지혜롭지 않으면 우리는 그걸 전혀 분간할 수 없습니다. 마치 돌팔이 약장사의 그럴듯한 속임수에 속는 사람들처럼 이 시대의 요구에 눈이 먼다는 것입니다.

주님의 뜻
그렇다면 지혜롭다는 게 무엇을 의미할까요? 지혜라는 단어 자체는 철학적인 용어입니다. 철학(philosophy)이라는 단어는 ‘필로스’(사랑)과 ‘소피아’(지혜)의 합성어입니다. 지혜를 사랑하는 게 곧 철학입니다. 성서 기자는 이런 지혜를 지금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물론 그리스도인이 그런 철학적인 의미에서의 지혜를 부정하는 건 아니지만 그것에 매달리지는 않습니다. 세상의 지혜는 우리가 참고할 사항이지 따라야 가르침은 아닙니다. 성서는 그것보다 훨씬 궁극적인 지혜를 말합니다.
본문이 말하는 지혜는 “텔레마 투 퀴리우”(주님의 뜻)이 무엇인지 아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님은 물론 예수님을 가리킵니다. 이런 대답이 너무 진부하다고 생각할 사람들도 있겠군요. 예수 믿는 사람들은 입만 열었다 하면 “주님의 뜻” 운운하는데, 너무 일반론적이고 상투적이라고 말입니다. 옳은 이야기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주님의 텔레마는 너무나 고정된 모범 대답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도인에게는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주님의 텔레마는 그들의 삶을 실제적으로 추동해가는 영적인 리얼리티였습니다.
여러분은 주님의 텔레마가 무엇인지 대충 알고 있습니다. 교회에 잘 나오고, 전도하고, 사람들과 평화롭게 사는 것이겠지요. 이게 틀린 말은 아니지만 충분한 말은 아닙니다. 충분하지 않다면 틀릴 수도 있는 말이겠지요. 이런 것들은 일종의 율법입니다. 물론 좋은 뜻의 율법입니다. 바로 여기에 그리스도교 신앙이 율법 신앙과 맞서있는 미세한 경계선이 있습니다. 율법은 옳은 삶의 기준이며 태도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모두 담아내지 못합니다. 만약 율법이 이러한 한계 안에 머물러 있다면 그것은 우리에게 좋게 작용할 것입니다. 그게 아니라 그것이 절대화하면 결국 그리스도 신앙의 본질을 훼손하게 됩니다. 옳은 것이지만 여전히 본질이 아닌 것을 움켜쥐고 있다면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주님의 뜻은 몇 가지 행동의 기준이 아니라 훨씬 근원적인 것입니다. 주님의 십자가와 부활이 단순히 우리의 삶을 개량하거나 계몽하는 게 아니라 우주론적 구원으로 끌어들이는 사건인 것처럼 말입니다. 이 말은 곧 우리가 주님의 텔레마를 명시적으로 알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서로 모순적인 주장처럼 들릴 겁니다. 우리가 명시적으로 알지 못하는 주님의 뜻을 알아야 한다고 하니까 말입니다.
아무래도 여기서 ‘모른다’는 말을 조금 설명해야겠군요. 우리는 하나님의 나라, 그 통치를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아는 게 없습니다. 생명이 완성되는 그런 세계를 완전히 유한한 세계 안에 던져진 우리가 알 수 있겠습니까? 부활을 우리가 아직 완전하게 해명할 수 없는 것도 이와 같은 이야기입니다. 중세기 때 로마 교황은 십자군 전쟁을 주님의 텔레마라고 생각했습니다. 엄청난 착각입니다. 지금도 주님의 뜻이라고 용감하게 부르짖는 분들을 보면 위태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무얼 어떻게 하라는 말이냐, 당신 이야기 때문에 더 혼란스러워졌고 생각할지 모르겠군요.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뜻입니다. 우리가 주님의 뜻을 재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성령이 하십니다. 진리의 영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일을 사람들에게 알리십니다. 그래서 오늘 본문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술 취하지 마십시오. 방탕한 생활이 거기에서 옵니다. 여러분은 성령을 가득히 받아야 합니다.”(18절) 영에 사로잡히는 것이 곧 주님의 뜻을 알 수 있는 길입니다. 본문이 포도주를 언급한 이유는 예배 중에 술에 취하는 이교집단의 종교의식을 비판하는 것이겠지요. 또한 성령 충만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대조입니다.

찬양과 감사
우리는 주님의 뜻을 아는 지혜로운 삶이 성령과 연결된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나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니라 영에게 의존한다는 의미입니다. 흡사 시인들이 언어의 존재론적 힘에 사로잡히듯이 그리스도인들은 영의 힘에 사로잡힌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성령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며, 성령에게 순종하는 것입니다. 음악공부는 소리가 내 영혼을 울릴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처럼 그리스도교 신앙은 궁극적으로 성령이 내 영혼을 울리게 내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서는 성령을 가득히 받아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우리는 성령이 주도적으로 활동하도록 준비하는 일을 잘 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기가 앞장 서는 것에 익숙해져있기 때문입니다. 말로는 주님의 뜻을 따른다거나 성령에게 귀를 기울인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자기의 뜻, 자기의 의도가 중요합니다. 우리가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힘을 주면 힘을 줄수록 이 세상은 망가지기만 합니다. 오늘의 문명이 지구를 얼마나 위태롭게 하는지는 이미 잘 드러난 사실입니다. 하나님의 일을 자기가 하겠다고 사명감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많을수록 교회는 자기 업적에 취하고 맙니다.
성령을 가득히 받는다는 게 무엇인지 오늘 본문 19,20절이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성시와 찬송가와 영가를 모두 같이 부르십시오. 그리고 진정한 마음으로 노래 불러 주님을 찬양하십시오. 또 모든 일에 언제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드리십시오.” 이 말씀이 어떻게 들렸습니까? 오늘 우리가 함께 드리는 예배에 대한 묘사입니다. 찬양과 기도와 감사가 바로 성령을 가득하게 받은 사람의 삶이고, 거꾸로 성령을 가득하게 받는 길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세 가지가 언급되었습니다. 첫째, 믿는 사람들이 함께 찬송가를 불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의 진정한 일치가 여기서 경험될 것입니다. 둘째, 주님을 찬양해야 합니다. 인간과 모든 생명체의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셋째, 예수의 이름으로 하나님께 감사해야 합니다. 이는 곧 우리의 삶을 하나님이 책임지신다는 신뢰를 가리킵니다. 이런 사실을 담고 있는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성령 안에 거하게 되고, 주님의 뜻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예배는 바로 성령 사건이며, 생명 사건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런 예배는 단순히 예배 시간만이 아니라 우리 그리스도인 삶 전체를 관통해야 합니다. 가정, 학교, 노동 현장, 투병의 현장 등등, 우리의 일상이 바로 예배가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에게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성령이 우리 영혼을 사로잡습니다. 그리고 무엇이 주님의 뜻인지 가르쳐주십니다. 이런 예배의 신비가 여러분의 일상에서 살아나기를 바랍니다.
profile

profile

[레벨:1]똑소리

September 04, 2006
*.144.20.6

예배 중에 술에 취하는 이교집단의 종교의식을 비판했다는 대목이 새롭군요.
그 정도로 초기 기독교 예배 분위기가 심각했나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04, 2006
*.150.14.172

똑소리 님,
별로 중요하지 않은 걸 짚어셨네요.
초기 기독교 예배 분위기가 심각했다기보다는
그럴 위험성에 대한 미연의 방지책이라고 보아야겠지요.
아직 리터지가 확립되지 못한 시기이구요,
더구나 초창기의 열광주의적 분위기가 여전히 남아있을 때니까
한 마디 콤멘트를 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profile

[레벨:1]박상열

September 05, 2006
*.114.22.38

어느샌가 부터,
찬송가가 부르기 싫어지고
입 모양만 맞추고 있는것 같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는 마음은 있는데,
같이 찬양을 부르는건 예전 같지 않군요.(찬송가 리듬에 질려버렸나 봅니다)
신앙 적으로 위기가 될 수 있는 건가요?
'사람과 사람의 진정한 일치'도 중요한데...흠..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05, 2006
*.150.14.17

박상열 님,
찬송가 부르기가 진부해졌다는 건 솔직한 말이군요.
일단 우리가 사용하는 찬송가들이
그리스도교 영성을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도 있습니다.
18-19세기 영미 부흥찬송가들이 대부분이죠.
새로 나올 찬송가는 괜찮을는지 모르겠네요.
찬송가 부르기의 진부성은 찬송가 그것만이 아니라
개신교 신자들이 리터지 영성을 잘 모른다는 것도 한 이유입니다.
그게 좀 훈련이 필요하거든요.
흡사 클래식을 감상하기 위해서 전이해가 필요하듯이 말이죠.
우리가 찬송가 부르기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가사와 곡조에 말이죠.
나도 찬송가 부를 때 간혹 다른 생각을 할 때가 있어요.
어떤 신자가 찬송가를 건성으로 부르는 모습이 보이면
왜 저럴까 하는 생각도 해요.
어떤 때는 찬송가를 부르면서 설교 할 내용이 생각날 때도 있어요.
이런 건 모두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것들이죠.
그런 걸 모두 신앙의 위기라고 말하기는 힘들어요.
물론 그렇지 않다면 좋겠지요.
같은 목소리도 찬송가를 부를 때
어떤 초월적인 경험이 따라오는 게 가장 좋을 텐에요....
profile

[레벨:1]박상열

September 06, 2006
*.114.22.38

정용섭목사님 코멘트 감사합니다.^^
찬송가 가사와 찬양 부르기에
꾸준히 집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3425
154 기타 하나님 나라의 감춤과 드러남, 2월12일 [3] 2006-02-12 13312
153 기타 사도 바울의 자유 [2] 2006-02-05 13894
152 기타 예언 전통 앞에서, 1월19일 2006-01-29 11338
151 기타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것, 1월22일 [2] 2006-01-22 15088
150 기타 믿음의 토대, 1월15일 [3] [1] 2006-01-15 10996
149 기타 하나님의 창조와 말씀, 1월8일 [1] 2006-01-08 11807
148 기타 행복한 삶과 신앙, 1월1일 [1] 2006-01-01 13022
147 기타 오시는 구원의 하나님, 12월25일 [1] 2005-12-25 11610
146 기타 영혼의 노래, 12월18일 [1] 2005-12-18 11622
145 기타 역사의 영성을 향해!, 12월11일 [1] 2005-12-11 9598
144 기타 새 하늘과 새 땅 12월4일 [1] 2005-12-04 10733
143 기타 종말의 현재, 11월27일 [1] 2005-11-27 9912
142 기타 풍요로움의 근거, 11월20일 [4] 2005-11-20 12718
141 기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 11월13일 2005-11-13 11817
140 기타 그 날과 그 시간, 11월6일 2005-11-06 14306
139 기타 살아계신 하나님 경험, 10월30일 [2] 2005-10-30 12827
138 기타 사람의 영광, 하나님의 영광, 10월23일 [6] 2005-10-23 12047
137 기타 카이사르의 것과 하나님의 것, 10월16일 [1] 2005-10-16 17215
136 기타 금송아지와 야훼의 노, 10월9일 2005-10-09 11738
135 기타 높은 곳에서의 부르심, 10월2일 2005-10-02 11494
134 기타 경건주의의 함정, 9월25일 [1] 2005-09-25 11868
133 기타 만나의 영적 의미, 9월18일 [6] 2005-09-18 15064
132 기타 최후심판과 오늘, 9월11일 [3] [2] 2005-09-12 10044
131 기타 죄를 어찌할 것인가? 9월4일 [1] 2005-09-04 10507
130 기타 모세의 하나님 경험, 8월29일 [8] [2] 2005-08-28 11187
129 기타 카리스마 공동체, 8월21일 [1] 2005-08-21 10424
128 기타 희망의 눈, 2005. 8.15. [1] [1] 2005-08-14 10700
127 기타 요셉의 침묵, 8월7일 [1] 2005-08-07 10692
126 기타 바울의 역사인식, 7월31일 [3] 2005-07-31 9278
125 기타 하늘나라와 일상, 7월24일 [2] 2005-07-24 11684
124 기타 야곱의 두려움, 7월17일 [4] 2005-07-17 10626
123 기타 총체적 구원의 길, 7월10일 [2] 2005-07-10 10548
122 기타 삶과 행위, 7월3일 2005-07-04 10903
121 기타 평화의 은총, 6월26일 [1] 2005-06-26 11298
120 기타 죄로부터의 해방, 6월19일 [2] 2005-06-20 11431
119 기타 일꾼을 위한 기도, 6월12일 [3] [2] 2005-06-13 12170
118 기타 약속과 순종의 상호성, 6월5일 [1] [2] 2005-06-05 10969
117 기타 '법'을 넘어서, 5월29일 [2] 2005-05-29 9861
116 기타 삼위일체의 신앙, 5월22일 [2] [2] 2005-05-22 10393
115 기타 영에 속한 사람, 5월15일 [3] 2005-05-17 10945
114 기타 가족공동체를 넘어서, 5월8일 [2] 2005-05-08 10424
113 기타 생존과 번성의 토대, 5월1일 [4] 2005-05-01 10572
112 기타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신가? 4월24일 2005-04-24 10707
111 기타 신앙의 현실과 삶의 현실, 4월17일 [2] [2] 2005-04-18 10168
110 부활절 희망은 기다림이다 (벧전 1:13-21) 2005-04-10 12786
109 기타 부활의 증인 공동체, 4월3일 [1] 2005-04-04 10184
108 기타 부활을 증거하는 여인 [1] 2005-03-27 9120
107 기타 갈릴래아 나자렛 사람, 3월20일 [1] 2005-03-20 9153
106 기타 하나님의 영광의 신비, 3월13일 [1] 2005-03-13 10301
105 기타 야훼가 말씀하시는 통로, 3월6일 [1] 2005-03-07 9541
104 기타 나는 야훼다, 2월27일 [1] 2005-02-27 9264
103 기타 영은 바람이다, 2월20일 [2] 2005-02-20 9257
102 기타 자유의 길, 분열의 길, 2월13일 2005-02-13 8746
101 기타 환상와 현실, 2월6일 [1] [2] 2005-02-07 9376
100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236
99 기타 말의 한계, 1월23일 [2] [2] 2005-01-23 9789
98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3186
97 기타 야훼 하나님의 종, 1월9일 [1] [1] 2005-01-10 9657
96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839
95 기타 절대 긍정, 12월26일 [1] [1] 2004-12-26 9794
94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714
93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9142
92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315
91 기타 새로운 세상, 11월28일 [1] [1] 2004-11-29 9608
90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9294
89 기타 만나 이후, 11월14일 [1] 2004-11-14 9553
88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490
87 기타 공간, 울림, 하나님, 10월31일 [1] 2004-10-31 9562
86 기타 기다림의 이중성, 10월24일 [1] 2004-10-24 9863
85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355
84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540
83 기타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2] [1] 2004-10-04 9545
82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485
81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10119
80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9391
79 기타 시나이 산에서 시온 산으로! 9월5일 [3] [2] 2004-09-06 9616
78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680
77 기타 생존의 길로서의 순종 2004-08-22 9573
76 기타 모세의 소명, 2004.8.15. 2004-08-16 9883
75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3005
74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809
73 기타 믿음과 사랑의 뿌리, 7월25일 2004-07-25 9544
72 기타 다가온 하나님의 나라 2004-07-18 9830
71 기타 엘리야의 하나님 야훼여! [1] 2004-07-11 9808
70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526
69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662
68 기타 메시아적 행위와 교회 [1] 2004-07-02 9578
67 기타 돌무더기에 얽힌 사연 [1] 2004-07-02 9858
66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819
65 기타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1] 2004-07-02 9936
64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9210
63 기타 영광의 경험 [3] 2004-07-02 9564
62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10232
61 기타 노동하는 인간(1) 2004-07-02 9723
60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10234
59 기타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2004-07-02 12258
58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686
57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639
56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586
55 기타 세계의 토대 2004-07-02 1232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