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후기
한국교회의 저력은 신자들이 스스로 열심히 성경을 읽기도 하고 성경공부에 참여한다는데 있습니다. 각 교회마다 성경통독이나 성경쓰기, 그리고 이런저런 이름을 가진 성경공부를 설치운영하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프로그람이 교회부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아마 이런 현상은 우리가 <오직 성서>라는 종교개혁정신에 철저하려는 신학적 노력만이 아니라 성경이 실제적으로 신자들의 신앙과 삶에 매우 실용적으로 다가간다는 경험에 근거하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런 성경에 대한 열심이 한국 기독교를 역동화시킨 동인이었다는 점에서는 이의를 달고 싶지 않지만, 한편으로는 성경공부에 대한 그런 정도의 열심이 신자들 개개인의 삶과 사회와 역사의 변혁에 거의 무능력하다는 오늘의 현실에서 볼 때 어떤 진단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성경 이야기가 단순히 그것을 읽는 이들의 마음을 종교적으로 위로해 주거나 아니면 도덕적인 감동을 주는 정도에 머물러 있는 것 같습니다. 기독교신자들이 성경에서 얼마나 강한 인상을 받는가에 상관 없이 그 이야기들은 항상 삶의 주변에 머물러 있을 뿐입니다. 흡사 가정주부들이 티비 연속극에서 코끝 시큰한 감동을 받아도 그게 자기 삶에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도로테 죌레와 루이제 쇼트로프는 오늘날 가장 다이나믹하게 신학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신학자 중의 한 사람들입니다. 이 책은 1985년6월 독일의 중부도시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된 <선교대회>(Kirchentag)에서 죌레와 쇼트로프가 진행한 성서연구 내용을 묶은 것입니다. 당시 뮌스터에 유학중이던 필자는 독일 친구와 함께 이 성서연구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대중집회인데도 불구하고 성서연구는 매우 진지하게 진행됐습니다. 우리 같으면 부흥회나 신앙간증으로 일관했을텐데 그들은 신학대학 강의실 같은 분위기 속에서 강사나 청중 모두 성서말씀에 대한 집중력이 대단했습니다. 벌써 십여년이 지났습니다만 그때 받은 신선함은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들이 그렇게 성서에 접근할 수 있던 이유는 성서를 철저하게 오늘의 현실과 역사지평 안에서 읽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그들에게서 배워야할 성서공부의 방법론이자 오리엔테이션입니다.
죌레와 쇼트로프는 이 책에서 창8:20-9:17, 레25:1-13, 골1:15-23을 해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해석을 통해서 고대 유대인들의 세계이해와 초대기독교인들의 정치 경제적 상황이 무엇이었는가를 공부할 수 있으며, 생태학과 여성신학, 그리고 평화운동과 해방운동의 성서신학적 접근 내지 그것의 당위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우리로 하여금 성서에 이르는 새로운 길을 제공해주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물론 이들의 해방신학적 해석학만이 성서연구의 유일한 길은 아닙니다만, 지나치게 관념의 차원에 떨어져 있는 한국교회를 위해서는 놓칠 수 없는 전망을 전달해 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중을 향한 성경공부의 현장감을 조금이라고 살리기 위해서 존칭어로 번역했음을 알려드립니다.
1997년 주현절 첫주일
비슬산 아랫 동네 현풍에서
정용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