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TFESPlHLPto&t=2s
사람들이 나치즘 발생의 책임을
루터의 국가론에 돌리는 일이 있다고 하는데,
그의 국가론은 실증적인 이론으로
통치자는 신에 의해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복종해야 한다는 것이군요.
루터에게는 시민의 평등이나 자유에 관한 자연법이 존재하지 않았고
실증법만이 있었네요.
종교개혁자들은 17세기나 18세기에 나타난 국가라는 개념 대신에
`위에 있는 권위` 에 관한 문제였지
국가라는 조직이나 민주주의적 원리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군요.
그리스도교적 평화주의자들은 무정부 상태를 실현 하려고 노력하는데
루터는 국가의 권력이 현실적 존재를 지킬수 있고,
사랑에 대항하는 모든 공격을 막아줄수 있다고 생각했네요.
그는 주어진 현실을 `섭리`의 선물로서 받아 들인거군요.
나치즘 발생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은 전혀 부당하며
나치즘이 독일에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던것은
루터의 보수주의와 관계가 있다고 말할수 있네요.
혁명에 대한 원칙적 거부는 나치즘을 강화하는데 공헌했을지도 모르지만
나치즘의 이데올로기는 루터의 견해와는 반대되는것 이군요.
민족적 이데올로기, 인종적 이데올로기는 알지 못했다고 하네요.
헤겔에게서 국가란 나치와 같은 일당 독재국가나 종족 국가가 아니고
죄를 억제하기 위해 봉사하는 사회구조를 말하는군요.
무정부 상태와 혁명은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요.
그런점에서 루터의 국가관은 시민의 평등과 자유를 바탕에 두는
민주주의 사회가 오기전 까지는 있어야 할 국가관이라고 할수 있겠네요.
사람들이 나치즘 발생의 책임을
루터의 국가론에 돌리는 일이 있다고 하는데,
그의 국가론은 실증적인 이론으로
통치자는 신에 의해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복종해야 한다는 것이군요.
루터에게는 시민의 평등이나 자유에 관한 자연법이 존재하지 않았고
실증법만이 있었네요.
종교개혁자들은 17세기나 18세기에 나타난 국가라는 개념 대신에
`위에 있는 권위` 에 관한 문제였지
국가라는 조직이나 민주주의적 원리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군요.
그리스도교적 평화주의자들은 무정부 상태를 실현 하려고 노력하는데
루터는 국가의 권력이 현실적 존재를 지킬수 있고,
사랑에 대항하는 모든 공격을 막아줄수 있다고 생각했네요.
그는 주어진 현실을 `섭리`의 선물로서 받아 들인거군요.
나치즘 발생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은 전혀 부당하며
나치즘이 독일에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던것은
루터의 보수주의와 관계가 있다고 말할수 있네요.
혁명에 대한 원칙적 거부는 나치즘을 강화하는데 공헌했을지도 모르지만
나치즘의 이데올로기는 루터의 견해와는 반대되는것 이군요.
민족적 이데올로기, 인종적 이데올로기는 알지 못했다고 하네요.
헤겔에게서 국가란 나치와 같은 일당 독재국가나 종족 국가가 아니고
죄를 억제하기 위해 봉사하는 사회구조를 말하는군요.
무정부 상태와 혁명은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요.
그런점에서 루터의 국가관은 시민의 평등과 자유를 바탕에 두는
민주주의 사회가 오기전 까지는 있어야 할 국가관이라고 할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