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제일교회를 떠나며!

1986년 6월 하순경에 현풍으로 이사를 왔으니까 지금 까지 11년 반을 여기서 산 셈이다. 그때 18개월 된 큰딸 지예가 벌써 중학교 1학년이다. 세월이 물처럼 흐른다는 걸 다시 실감하게 된다. 십일 년 반이니까 최소한 강산이 한번 쯤 변한 세월이다. 나 개인적으로 볼 때도 서른네 살에 와서 이제 마흔 다섯이 됐고, 집사람은 스물아홉에서 마흔이 됐으니 참으로 좋은 시절을 여기서 보낸 셈이다.
현풍은 고향이나 마찬가지다. 신학대학을 졸업하던 1977년에 1월에 서울을 떠난 후 대구에서 1년, 다시 서울에서 2년, 군대 3년, 독일 2년, 대전에서 1년을 살다가 86년부터 계속 현풍에서 지냈다. 이곳에 오기 전 까지는 장인어른의 고향이란 정도만 알았을 뿐이지 아주 생소한 곳이었는데, 이제는 거의 현풍 사람이 다 되어서 떠나게 되었다.
내 글에 간혹 등장하지만 현풍은 비슬산이 있어서 한층 멋진 동네로 생각된다. 사시사철 다양한 모습으로 의연하게 서 있는 비슬산은 나로 하여금 현풍에 살고 있다는 현실감을 확인해 줄 뿐만 아니라 사는 맛을 더해 주었다. 여러 번 비슬산에 갔다. 혼자서 간 적도 있고, 가족과 함께, 혹은 찾아온 벗들과 함께, 그리고 교우들과 함께 갔다. 봄에도 갔고, 여름에도 갔고, 가을과 겨울에도 갔다. 심심해서 가기도 했고, 이런 저런 일 때문에 가기도 했다. 갈 때 마다 비슬산이 현풍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게 얼마나 큰 행복인가, 하는 생각을 했다. 대개는 유가사 정도 까지만 산보처럼 다녀왔고, 정상 까지 올라간 건 세 번인가, 네 번 정도 된다. 교회학생, 청년, 교우들과 올라간 적이 있고, 그리고 가까운 곳에 함께 살고 있는 현풍 토박이 약사와 함께 이른 새벽 등반한 적이 있다. 비슬산 정상 까지 올라가는 걸 우습게보면 안 된다. 1천 미터 약간 넘는 높이 때문만이 아니라 상당히 가파르기 때문에 웬만한 끈기를 갖지 않으면 도중에 포기하기 마련이다. 금년 1월1일에는 날씨가 아주 나쁜데도 교회식구들과 함께 정상 까지 올라갔다. 바람이 많이 불고 구름이 많이 낀 날씨였다. 구름의 흐름에 따라서 산 아래 현풍과 화원의 모습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했다. 비슬산은 내가 현풍을 아름답게 기억하게 하는 요인 중에 으뜸이다.
낙동강이 현풍을 휘돌아 감고 흐른다. 페놀사건으로 유명한 낙동강은 현내벌을 기름진 땅으로 만들고 있다. 국도를 따라 현풍으로 들어오다 보면 낙동강 변로를 거치게 되는데 길이가 짧아서 그렇지 멋진 드라이브 코스임에 틀림없다. 안개가 짙게 깔렸을 때는 더욱 아름다운 정취를 느끼게 한다. 아쉬운 것은 물이 더러워서 여름철에 물놀이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모래사장은 눈부시게 빛나는데도 그저 멀리 바라다 볼 뿐이지 백사장에 뒹굴 수도 없고, 수영도 할 수 없다는 건 비극이다.
현풍제일교회에서 담임목사로 십일 년 반을 지냈다. 그 이전에도 교회 일을 보기는 했지만 전도사나 부목사였기 때문에, 현풍제일교회에서의 생활이 본격적인 목회자의 길이었다. 지난 십여 년을 돌아보면 아쉬움만 남아있는 것 같다. 조금만 여유를 가졌으면, 조금만 더 성실했으면 많은 게 달라졌을 텐데 그렇지 못한 게 후회스럽다. 후회라기보다는 그게 바로 나의 한계니까 그대로 받아들일 뿐이다.
처음 여기서 목사생활을 시작할 때 함께 했던 분들 중에서 지금 까지 함께 있는 분들도 있지만, 이런 저런 사정으로 교회를 떠난 분들도 적지 않다. 교회가 신앙공동체이기는 하지만 그 이전에 인간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교회 밖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문제들이 교회 안에서도 그대로 간직되거나 드러났다. 결국 목회는 신앙의 본질적인 차원 보다는 주변적인 일을 어떻게 잘 처리해 나가는가 하는 문제가 더 중요한 것 같다. 이런 현상은 본말이 뒤바뀌는 것이라서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회철학은 구원론적 차원이다. 목사 스스로가 우선 구원론적 지평을 확고히 해야 한다. 구원론이라는 게 단순히 ‘예수 믿고 구원 받으라.’는 명제를 도그마적의 차원에서 외우거나 강요하는 건 아니다. 교회론적 지평을 뛰어넘는 인간구원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이런 구원론적 시각을 갖게 되면 전통적인 교회론과 상충되는 경우가 생기게 마련이다. 이것이 바로 내가 이곳 제일교회에서 십여 년 동안 목회를 하면서 겪었던 가장 어려운 일이 아니었는가 생각된다. 전통적인, 굳어진 교회 틀을 벗어나서 있는 그대로, 사실 그대로, 진리론적 차원의 구원을 어떻게 실현해나가는가 하는 생각이 정착되기 힘들었다.
그동안 적지 않은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어느 정도 새로운 교회 상을 정립했다고 생각한다. 주변에서는 이런 식의 교회가 될 수 있는가 하는 의아심이 많았지만, 그들의 눈에는 파격적인 교회로 보였던 것 같은데, 그래도 우리 교회는 우리 나름의 특성을 가진 교회로 자리를 잡았다. 앞으로도 계속 이런 모습의 교회로 자라났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하다.
십여 년 동안 함께 신앙적으로, 인간적으로 깊이 사귄 우리 교우들에게 마음 속 깊이 감사한다. 사랑이 부족한 목사를 인내해 주신 많은 분들이 있다. 이곳 제일교회에서의 삶이 앞으로 내 목회 길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여기에 이름을 일일이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분들의 신앙, 성격, 얼굴모습 등이 아주 오랫동안 나에게서 떠나지 않을 것이다. 비슬산을 바라보고 서 있는 제일교회당 지하에서 예배드리던 순간들이 가슴 속 깊이 새겨져 있다. 오랫동안 정들었던 제일교회를 떠나면서, 모두에게 주님의 축복이 함께 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1997.12.28.>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