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과 세상 경험


지금 우리는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그런 세계만 알고 있다.

작은 예를 든다면

너무 큰 소리나, 너무 작은 소리를 듣지 못하고,

어둠 속에서 사물을 인식할 수 없다.

물질의 소립자를 경험하지 못하고

우주 전체를 조망하지 못한다.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전자 현미경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으로 무한히 작은 미시의 세계를 확인할 수 없으며,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전자 망원경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으로 무한히 큰 거시의 세계를 확인할 수 없다.

아니 우리는 지금 무한히 작은 세계와 무한히 넓은 세계를

관념으로만 추정할 뿐이지 실제로는 경험할 수 없다.

아니 무한은 관념적으로도 우리에게 설득력이 있는 게 아니다.

우주가 무한하다면 얼마나 무한할까?

그 무한히 넓은 우주에 1mm만 더 넓으면 그 무한 개념은 파괴된다.

이런 미시와 거시는 우리의 일상에서 너무 먼 이야기니까 접어두고,

그냥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것들을 생각해보자.

이 지구에는 왜 물(水)이 있을까?

지금 내가 잘 알지도 못하는 물리, 화학문제를 설명하려는 게 아니다.

그냥 상식적인 차원에서 물을 직관하려는 것뿐이다.

나무나 돌은 그냥 자기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는 데

왜 물만 일정한 형식이 없을까?

물론 현상적으로만 본다면 액체의 성질이 바로 그 대답일 것이다.

그러나 왜 그게 이 지구에 존재하게 된 것인지,

그게 신기하다는 말이다.

물론 과학자들이 나름의 대답을 주긴 하겠지만

그것이 곧 왜 그래야만 하는지에 대한 최종적인 대답은 아니다.

과학자들은 현상에 대한 논리적 설명만 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것의 과정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이다.

왜 그래야만 하는지에 대한 궁극적인 차원은

그들에 의해서 열리지 않는다.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그렇게 창조했다고 대답할 것이다.

만약 그 주장이 단지 교리적으로만 외쳐진다면

그것도 역시 과학자들의 현상적 설명과 다를 게 없다.

과학은 실증적으로만 접근하는 것이며,

신학은 도그마의 지평에서만 접근하는 것이다.

실증도 아니며 도그마도 아닌 접근은 무엇일까?

우리는 어떻게 이 세상을 이해해야만 하는가?

이 대답은 뒤로 미루고

이 세상이 왜 이런 모습인가, 하는 점을 한번 짚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대답이 주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금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들은 왜 이런 모습일까?

토끼와 감나무 중간 쯤 되는 생명체는 왜 없는 것일까?

왜 이 세상은 식물과 동물이 구분되었으며,

인간은 왜 남자와 여자로 구분되었을까?

일본 애니메이션 작가 미야자키의 작품에 종종 나오지만

새처럼 날아다니거나 노루처럼 뛰어다니는 나무가

이 세상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나님이 지금 이런 모습으로 창조하셨기 때문이라거나

진화의 방식이 이런 결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라고 대답하면

우리는 더 이상 생각할 필요가 없겠지만

이 문제가 그렇게 간단하게 해결될 수 없다는 데에

그 심각성이 있다.

우리는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이 세상을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새는 날아야 하고

뱀은 기어야 하고

사자는 달려야 한다.

우리의 오랜 경험이 그것을 절대화하고 있다.

조금 생각을 바꿔보자.

지금 우리가 경험하는 이 세상은

처음 시작했을 때 이미 이렇게 프로그램화한 세상은 아니다.

우리가 도저히 예측할 수 없는 그런 여러 가능성 중에 하나가

지금 이런 세계로 발전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흡사 수십만 마리의 정자 중에서 한 마리가 수정되어 한 생명체가 시작되고

그 뒤로 오랜 세월을 걸쳐 한 인간이 세상에 나오는 것과 비슷할 것이다.

인간의 코가 두 개일 가능성도 있었으며

눈이 하나일 가능성도 있었고,

날개를 가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지금도 간혹 여섯 개의 손가락을 갖고 태어나는 어린이들이 있는 것처럼

지금의 인간 모습과 전혀 다른 모습의 인간이 될 수도 있었다는 말이다.

물론 이런 생각들이 어떤 사람들에게 말도 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말도 되지 않는 그 무엇이 오늘 우리가 경험하는 이 세상이다.

여기 컵이 하나 있다고 하자.

이게 무얼까?

이 컵을 구성하고 있는 소립자와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소립자는

동일한 입자이다.

컵과 인간은 서로 교환될 수 있는 소립자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을 화학분해하면 철, 인, 우라늄, 탄소 등등이 나오는 것처럼

물질과 인간 몸은 서로 하나다.

어떻게 컵과 인간이 하나라는 건 말이 되지 않지만

실제로는 그런 걸 어쩌겠나.

다만 다른 건 이런 소립자,

혹은 원소들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다.


헬라 신화에는 신과 인간 사이가 매우 친밀하며,

동물 모습을 한 인간,

거꾸로 인간 모습을 한 동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성서에도 천사와 악마가 등장한다.

많은 문학작품들은 기본적으로 신화를 기본 소재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이 세상에서 경험할 수 없는 그런 세계가

여러 종교와 문학에 등장한다는 것은

그만큼 이 세상이 중층적이라는 뜻이다.

신화의 방식이 아니면 도저히 해명될 수 없는 이 세상,

이런 운명, 이런 역사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

나름으로 대답을 찾아보려는 노력들이 바로 문학, 예술, 종교이다.

이제 우리는 위에서 잠시 뒤로 미뤘던 대답을 찾은 것 같다.

이 세상은 실증과 도그마가 아니라

신비 안에서 조명되고 해명되어야 한다.

신비는 곧 영적인 세계를 가리킨다.

종말에 이르기까지 은폐되어 있지만

현재에도 여전히 신비로운 방식으로 이 세상을 이끌어가는 영적인 능력이야말로

이 세상을 바로 보려는 사람들이 확보해야 할 인식론의 가장 궁극적인 토대이다.

우리 기독교인들은 그 영적인 능력을 성령이라고 한다.

그 성령은 바로 하나님의 영이며, 그리스도의 영이다.

안타깝게도, 아니 당연하게도 우리는 아직 그 성령을 모두 아는 게 아니다.

그가 어떻게 이 세상을 끌어가고 있는지 마음을 열고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게 곧 신학자의 기본 태도이며, 설교자의 기본 태도이다.

이런 태도는 곧 이 세상을 신비롭게 만나는 데서 시작되는 게 아닐는지.

그것이 곧 ‘영성’이 아닐는지.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