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신학대학교에서의 공부는 최소한의 준비에 불과하다.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이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앞으로 평생 공부할 준비를 한 것뿐이다. 양적으로도 그렇고 질적으로도 그렇다. 그런 준비를 마친 사람은 목사의 직을 끝낼 때까지 신학공부를 손에서 놓지 말아야 한다. 그가 하나님에게 관심이 있다면 저절로 그렇게 할 것이다.
이런 신학공부의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한 가지의 방법만 있는 건 아니다. 내가 보기에 최선은 신학책읽기다. 이것도 간단한 게 아니다. 일단 책을 고르는 게 어렵다. 책을 고를 수 있는 안목을 갖추려면 상당한 훈련을 받아야 한다. 내가 신학생들에게 책읽기의 기술에 대해서 가끔 이야기하는데, 그 내용을 간추려서 설명하겠다.
책을 고를 때 가장 먼저 봐야 하는 게 저자다. 가능하면 국내 저자의 책이 좋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권위 있는 신학자들이 많이 배출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아무래도 외국 저자들의 이름을 먼저 보게 된다. 번역자도 물론 중요하다. 과거에는 명망이 있는 신학대학 교수들이 조교에게 번역을 시켜서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책들은 벌써 표시가 난다.
한국교회는 번역 작업을 좀더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전문 번역자를 키우는 게 급선무다. 한국교회는 해외 선교사 파송에는 열을 내지만 전문 번역자 양성에는 아예 관심이 없다. 내가 보기에 해외 선교사 숫자를 대폭 줄이고 그 숫자만큼 전문 번역자를 확보하는 게 한국교회의 내일을 위해서 훨씬 바람직하다. 번역 사업이 신학공부에서 왜 중요한지는 여기서 길게 설명하지 않겠다. 번역만 잘 해 놓으면 비싼 돈 들여서 외국 유학을 가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일본 사람들이 박사 학위 공부를 위해서 외국으로 잘 나가지 않는 이유도 일본의 번역 문화에 있을지 모르겠다. 신학 책만 해도 그렇다. 우리에 비해서 기독교인 숫자가 턱없이 적는 나라지만 신학책 번역은 우리보다 몇 배 앞섰다. 예를 들어 우리는 지금에서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 전집을 번역 중에 있지만 일본은 진작 다 끝냈다. 내가 전공한 판넨베르크 책 번역은 아직도 멀었다.
책을 읽을 때 중요한 것은 모든 내용을 다 파악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부터의 해방이다. 다 몰라도 괜찮다. 일단 머리에 들어오는 것만큼 이해하고 넘어가면 된다. 그런 책읽기가 축적되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신학적 사유도 깊어진다. 책읽기는 등산과 비슷하다. 처음부터 높은 산을 오를 수는 없다. 자신이 오를 수 있는 정도만큼 올라가다보면 등산의 내공이 생기고, 점점 높은 산을 오를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기술은 읽기의 반복이다. 신학생 시절에 읽은 책을 나이가 들어 다시 읽으면 더 많은 내용들이 들어온다. 이런 과정을 수행하다보면 책읽기의 기쁨을 얻게 될 것이다.
목사님 오늘의 묵상은... 딱 제가 요즘 고민하고 있는 내용들입니다.
평소 좁은 풀장에서의 책읽기에 만족하다가 어느 날 넓은 대양으로 나왔더니... 참 막막합니다^^
저같은 평신도는 책들의 높이를 가늠할 수 없어 우왕좌왕 하다가
처음부터 너무 높은 산을 오르려고 했는지... 요즘 자꾸 미끄러지는 느낌이고
목사님께서 다비아에 추천해주셨던 주옥같은 책들 중 상당수는 시중에서 구하기도 어렵네요.
(참고로 요즘 판넨베르크의 사도신경 해설과 바르트의 복음주의 신학입문을 붙들고 있습니다)
책읽기의 부담감에서 해방되어 머리에 들어오는 것만큼 이해하고 넘어가다 보면
언젠가는 이 책들 속에서 꿀맛같은 생명의 기쁨을 누릴 수 있을까요??
그래도 바라옵기는 낮은 산, 높은 산을 좀 정리해주시면 저같은 평신도에게는
정말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평안한 하루 되시구요~^^
판넨베르크의 <사도신경해설>과
바르트의 <복음주의 신학입문>을 붙들고 있다니,
멋지고 놀랍군요.
아마 따라가기가 만만치 않을 겁니다.
특히 바르트의 저 책은 번역이 너무 무책임하게 되어서
읽기가 짜증 날 정도입니다.
그러니 웬만하면 당분간 그건 덮어두세요.
얼마 있으면 대구샘터교회 수요일에 하는
저 책의 강독 녹음 파일을 올리게 될 텐데,
그때 들으면서 읽는게 좋을 겁니다.
판넨베르크 저 책의 번역은 그런대로 괜찮은데, ㅎㅎ
신학적인 전이해가 없으면 좀 어지러울 겁니다.
그래도 한번 스스로 읽어내면
뭔가 남는 게 있을 겁니다.
감사드립니다~ ryan72@hanmail.net
네 부탁합니다.
신학책 읽기의 어려움을 느끼는 평신도인 저에게
위로와 격려가 되면서 용기를 주시는 거 같습니다...
2년 전부터 중국고전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
도저히 혼자 읽을 수 없는 두껍고 어려운 중국철학 책을
한 번 읽고 나니까 기억에 남는 건 없지만 얻은게 있다면
어떤 책이라도 읽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거든요....
이 경험이 계속 공부할 수 있게 하는 힘을 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신학책읽기도 이와 같은 과정과 노력이 필요하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 "신학공부" 책을 읽는데 글이 눈에 전혀 들어오지 않아서
한 쪽에 치워 놓아 두었거든요....ㅠㅠ
.
이번 묵상의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 몰라도 괜찮다. 일단 머리에 들어오는 것만큼 이해하고 넘어가면 된다"
감사합니다.
저도 부탁드립니다.
내용을 다 파악해야 한다는 부담감.....제 얘기네요..
명심하겠습니다.